[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

 1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1
 2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2
 3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3
 4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4
 5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5
 6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6
 7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7
 8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8
 9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9
 10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10
 11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11
 12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12
 13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13
 14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14
 15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15
 16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16
 17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17
 18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18
 19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19
 20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중세사상사] 승정제도의 정비와 운영 -승록사, 승과, 승계, 국사 왕사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승정제도와 승록사
1. 출가(出家)
2. 구족계(具足戒)
3. 승록사(僧錄司)

Ⅱ. 승과제도
1. 승과제도의 정의 및 형성과정
2. 승과제도의 분석
3. 응시자격과 급제자의 대우
4. 고려 후기 승과제도의 침체

Ⅲ. 승계
1. 僧階의 의의
2. 승계(僧階)의 시행형태
3. 시기에 따른 승계(僧階)의 변화양상

Ⅳ. 국사 · 왕사 제도
1. 국사(國師)·왕사(王師)제도(制度)의 기원과 의미
2. 고려전기 국사(國師)·왕사(王師)의 사례와 기능
3. 고려후기 국사(國師)·왕사(王師)의 사례와 기능의 변화
4. 국사(國師)·왕사(王師) 제도(制度)의 운영
5. 국사·왕사의 자격과 대우

Ⅴ. 결론
본문내용

2. 승과제도의 분석
가. 승과의 분류
가) 교종 : 예비고시인 성복선(成福選)과 최종고시인 대선(大選)이 있으며 합격하면 최하위의 승계인 대덕(大德)이 제수되었고 이후 주지로 파견하였다.
나) 선종 : 예비고시인 취석(藂席)과 최종고시인 선선(禪選)을 보았다.
다) 승과는 종파에 따라 선도(選度), 천태선(天台選), 태종선(台宗選), 조계종선(曹溪宗選) 등 다양한 명칭으로 치러진 것으로 보이지만 남아있는 사료에서 승과로 지칭된 빈도가 대선(大選)이 가장 많기에 대체로 승과라 하면 대선(大選)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나. 승과가 실시된 장소 및 고시관
가) 승과가 실시된 장소는 종파에 따라 달랐으며 선종선은 광명사(廣明寺)에서 열렸고, 교종선은 주로 왕륜사(王輪寺)에서 실시되었으나 봉은사(奉恩寺), 미륵사(彌勒寺)에서 실시된 경우도 있었다.
나) 숙종 6년에는 대각국사 의천이, 의종 19년 및 명종 22년에는 지칭(智偁)이, 명종 10년에는 정각승통(正覺僧統)이 고시관을 했다는 기록을 통해 고시관은 각 종파의 고승이 겸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으나 무신집권 이후에는 간혹 유학을 닦은 과거급제자도 고시관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무신정변 이후 큰 화를 입은 유학자들이 산속의 절에 숨어 승려들과 교류가 잦아진 데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다. 고시내용
가) 고려시대 과거제의 형식이 초기 유교경전에 대한 지식을 시험하다 문장력을 보는 형식으로 바뀌었듯이 승과의 내용도 시대의 요구에 맞춰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고려 문종시기까진 균여의 견해가 교종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졌는데 이후 의천은 균여의 교리해석을 몹시 비난하였고 균여의 저작이 산일(散逸)되었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시기마다 중시하였던 교리의 성격이 달랐던 것으로 볼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과 내용도 시기마다 달랐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나) 대각국사 문집을 살펴보면 출제방법의 변화양상을 엿볼 수 있는데 어사대(御史臺)는 경전의 암기와 해석위주의 시험방식을 반대하였으나 의천은 이에 대해 반박하였고 이는 시기마다 요구하는 승과의 내용이 달랐음을 알 수 있다.
다) 승과는 공개토론 방식의 시험형태로 실시되었는데 이는 어느 한 교리를 고집하는 것을 막아 불교교리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이에 따라 고려 전기 불교는 통
참고문헌


朴胤珍,『高麗時代 王師·國師 硏究』,景仁文化社,,2006
許興植, 「Ⅳ 高麗의 佛敎制度와 그 기능」『高麗佛敎史硏究』 一潮閣, 1986許興植,『韓國金石全文』아세아문화사, 1984
吉凞星, 「高麗時代의 僧階制度에 對하여」『규장각』7
남동신, 「나말려초 국왕과 불교의 관계」,『역사와 현실』56
원영만, 「고려시대 승관제 연구」, 동국대학교, 2010(박사학위논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