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

 1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1
 2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2
 3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3
 4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4
 5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5
 6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6
 7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7
 8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8
 9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9
 10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10
 11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11
 12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12
 13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13
 14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14
 15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15
 16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16
 17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17
 18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불교와 국가관
1. 인도
2. 중국
Ⅲ. 고대의 불교
1. 삼국시대의 불교 수용
2. 무격적 불교 신앙
Ⅳ. 통일신라의 불교
1. 통일신라시기의 불교
2. 元曉
3. 義湘
4. 선종의 대두
Ⅴ. 고려의 불교
1. 광종대
2. 의천의 교관겸수론
3. 신앙결사운동
4. 원 간섭기 및 고려말
Ⅵ. 조선의 불교
1. 조선의 억불정책
2. 불교의 양적∙질적 하락
3. 문정왕후와 보우의 불교부흥책
4. 양란 때의 승려 의병의 활약
5. 서산 휴정과 태고법통설
Ⅶ. 근대의 불교
1. 개항 후~병합 전
2. 병합 후
3. 해방 이후
Ⅷ. 결론
Ⅸ.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인도에 그 기원을 둔 불교는 널리 퍼져 고대 동아시아의 문화는 물론 정치와 사회 등 여러 부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동아시아 불교권의 중심을 이룬 한역불교(韓譯佛敎)라고 한다. 중국의 불교는 동아시아 전역으로 전파되어 ‘동아시아 불교권’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 역시 불교 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통일신라기를 거치면서는 독창적인 한국의 불교 사상이 등장하여 한국 불교의 수준을 한층 높이기도 했다. 고려와 조선에 들어서는 불교가 융성하기도 하고 탄압당하기도 하는 등 왕조의 특징에 따라 그 위치가 다르게 변하기도 했다. 이렇듯 불교는 사상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한국사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불교 사상에 대한 개념과 흐름 파악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동아시아 불교사상을 살펴본 후 한국의 불교 사상을 전반적인 한국사의 흐름과 함께 알아보도록 한다.

Ⅱ. 불교와 국가관

1. 인도: 왕권계약설에서 왕권신수설로 변화된 왕자관
기원전 6세기 인도, 석가모니에 의해 시작된 불교는 성속이원론(聖俗二元論)의 사회관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사회관은 모순이 가득 찬 세속사회[俗, 世間]와 그것을 변혁시킬 성스러운 사회[聖, 出世間]로 양분하였음을 의미한다. 세간에 대하여 도덕적 우위를 갖는 출세간은 현실적으로는 불교교단의 모습으로 존재하며, 궁극적으로는 부처나 보살이 머무르는 이상향 즉, 정토(淨土)를 지향하였다. 그런데 교단의 유지를 위해서는 인적·물적 자원을 세속사회로부터 공급받지 않으면 안 되었다. 즉 불교교단은 세속사회를 지양하면서도 동시에 세속사회에 의존하고 있었다. 이러한 교단과 세속사회를 일원적으로 관철하는 것이 정법(正法, dharma)이었다. 정법은 작게는 개인의 일상사로부터 크게는 국가정치에 이르기까지 모두 그것에 의존한다고 생각되었다. 불교교단은 이러한 정법을 보호하고 전승하는 자인 데 비해 국가는 법을 운용하는 주체였다. 불교교단은 의연히 국가권력에 대해 주체성을 고수하면서 불교교단은 세속권력보다 도덕적 우위를 점하였으며, 치외법권의 특혜를 보장받았다. 그러나 세속의 국왕권이 차츰 전제화 하면서 불교는 국왕의 보호에 점점 의존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종래의 부정적이거나 계약설적인 국왕관을 탈피하고 새로운 군주상을 정립하여 나갔다.
기원전 3세기에서 4세기경 마우리아 왕조가 출현하여 인도대륙을 통합하는 강력한 왕권을 구축하자, 이를 반영하며 전륜성왕설(轉輪聖王說)이 등장하였다. 전륜성왕은 무력이 아니라 정법에 의해 통치한다는 세계적 정복군주였다. 전륜성왕은 기원전 3세기경에 실존하였던 마우리아 왕조의 아쇼카왕에 영향을 받아서 불교도들이 만들어낸 이상적인 군주상이었다.
참고문헌
· 한국사연구회, 2008, 『한국사 길잡이 上』, 지식산업사
· 한영우 외, 2003, 『한국사특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한국사특강편찬위원회, 2008, 『한국사특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한국역사연구회, 1997, 『한국사상사의 과학적 이해를 위해』, 청년사
· 국사편찬위원회, 1998, 『한국사 9 - 통일신라』, 국사편찬위원회
· 강만길 외 11명, 『한국사 6 - 중세 사회의 성립』, 한길사
· 강봉룡 · 서의식, 2002, 『뿌리깊은한국사 샘이깊은이야기-통일신라』, 솔
· 김두진, 2002, 『신라 화엄사상사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 김복순, 2008, 『新思潮로서의 신라 불교와 왕권』, 경인문화사
· 박종홍, 『한국 사상사』, 서문당
· 변태섭, 2007, 『한국사통론』, 삼영사
· 서윤길, 2006, 『한국불교사상』, 운주사
· 전호연, 1998, 「원효의 화쟁과 화엄사상」, 한국불교학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