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

 1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1
 2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2
 3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3
 4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4
 5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5
 6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6
 7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7
 8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8
 9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9
 10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10
 11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11
 12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12
 13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13
 14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14
 15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15
 16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16
 17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신라의 통일 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들어가는 말

Ⅱ. 신라의 외교정책 - 김춘추의 관점에서
Ⅲ. 대야성 전투 - 백제 고립외교의 배경

Ⅳ. 신라·김춘추의 백제 고립 외교

1. 대 고구려 외교
2. 대 왜 외교

3. 대 당 외교

Ⅴ. 김춘추의 왕위등극
Ⅵ. 신라·김춘추의 외교 정책 소결론
Ⅶ. 삼국통일 전쟁사 연표
Ⅷ. 삼국통일의 긍정적 의의

1. 한민족의 기본 틀을 형성하였다.
2. 삼국통일을 위한 통일전쟁은 중앙집권적 영역국가체제 확립에 큰 영향을 주었다.

3. 정복전쟁이 일단락됨으로써 국력이 배가되어 국제사회에서의 경쟁력이 높아졌다.

4. 하나의 국가체제 속에서 국민의 응집력을 기반으로 자랑스러운 문화의 꽃피웠다.


Ⅸ. 부정적 의의

Ⅹ. 과제를 마치며
참고 문헌

본문내용
2. 대 왜 외교

고구려와의 연합구축에 실패한 김춘추는 계속적인 백제의 침략을 방어하기위해 당에게 원군을 요청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당 태종은 불확실한 답변을 주었고 당의 고구려 침략에 원군을 보내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려 하였으나 그 사이에 오히려 백제에게 당항성을 비롯한 7개의 성을 빼앗기는 사건이 발생된다. 이 사건은 당항성을 통한 당과의 외교에 차질을 빚게 하였고 고구려와 백제가 가까워지면서 신라는 큰 압박을 받게 되었다. 이것은 결국 김춘추의 생각했던 국제흐름에 반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이에 김춘추는 당과의 교류뿐만 아니라 주변 각국과의 외교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였다. 국제적으로 백제를 고립시켜 붕괴하는 좀 더 적극적인 백제로의 공격을 단행하는 것이 자신이 세운 백제 고립 외교의 성공책이라 여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곧 이어지는 왜와의 외교활동으로써 그 모습을 알 수 있다.
전통적으로 왜와 백제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김춘추가 왜로 건너갈 무렵의 왜는 친 백제적 정책을 추진하던 소아씨(蘇我氏)를 숙청하고 다이카개신(大化改新)이 이루어졌던 시기이다. 이렇게 새로이 등장한 다이카정권은 당과의 관계개선을 원하였고 이러한 왜의 변화에 관심을 갖게 된 김춘추는 왜로 건너가 고구려와의 외교 때처럼 내부의 정세를 파악하려 하였다. 그러나 왜에 대한 목적이 군사적인 목적은 아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비록 다이카개신 이후 왜가 신라나 당을 포함한 다른 나라들과의 다면적인 외교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왜와 백제는 전통적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 하고 있었고 소아씨 외에도 왜에는 다른
참고문헌
참고 문헌

-삼국통일 전쟁사,노태돈,서울대학교출판부,(2009.02.25)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나당전쟁사연구-약자가 선택한 전쟁,서영교,아세아문화사(2006.12.30)
-삼국통일의 정치학,구대열,까치글방(2010.12.07)
-김춘추 외교의 승부사 / 박순교 / 푸른역사 / 2006
-통일신라의 대외관계와 사상연구 / 백산학회 / 백산자료원 / 2000
-통일신라사연구 / 신형식 / 한국학술정보 /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