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 한국 사회의 희생양에 관하여

 1  [사회학] 한국 사회의 희생양에 관하여-1
 2  [사회학] 한국 사회의 희생양에 관하여-2
 3  [사회학] 한국 사회의 희생양에 관하여-3
 4  [사회학] 한국 사회의 희생양에 관하여-4
 5  [사회학] 한국 사회의 희생양에 관하여-5
 6  [사회학] 한국 사회의 희생양에 관하여-6
 7  [사회학] 한국 사회의 희생양에 관하여-7
 8  [사회학] 한국 사회의 희생양에 관하여-8
 9  [사회학] 한국 사회의 희생양에 관하여-9
 10  [사회학] 한국 사회의 희생양에 관하여-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학] 한국 사회의 희생양에 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그들의 정체는 무엇인가?
2. 본론
1) 희생 제의의 특징
- 희생양의 출현
- 희생양의 특징
2) 한국 사회의 긴장
- 현대인의 불만
3) 인터넷 마녀사냥
- 최진실 자살사건
4) 창작물속의 못난이들
- 무한도전
5) 가까운 곳에서 볼 수 있는 사례들
- 시범 케이스
- 못난이 삼촌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 그들의 정체는 무엇인가?

MBC 프로그램 『무한도전』이 인기를 끌면서 7년째 장수 행진을 하고 있다. 인기의 비결이 무엇인지에 관해서는 여러 의견들이 있지만, 『무한도전』만의 독특한 캐릭터들이 인기에 한 몫 한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을 듯싶다. ‘유재석’에서 시작해 ‘박명수’, ‘정준하’ 등의 등장인물들이 표현하는 캐릭터들은, 마치 하나의 소집단을 연상케 한다. 특히 그 중에서도 눈여겨보아야 할 인물유형은 ‘하하’와 ‘길’이 표현하는 인물이다. 유머러스한 발언을 해도 어딘지 재미가 없고 다른 멤버들의 장난에 쉽게 넘어가기도 하면서 어리숙하고 동정을 받는 처지에 있는, 어디에나 한명쯤 있을 법해 보이는 이러한 인물들은 시청자의 웃음과 동정심을 동시에 불러일으킨다.
그 양상은 사안마다 다르지만, 대개 어느 집단 내에서든 희생양의 위치에 해당하는 구성원들이 나타나는 것 같다. 멀리는 너무나 잘 알려진 중세 유럽의 마녀 사냥으로부터 나치 시대의 유태인, 가까이는 한국의 반공 이데올로기 피해자들, 최근에는 인터넷 여론에 의한 피해자들 역시 이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렇다면 왜, 어느 집단에서든 희생양들이 나타나며 또 그들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 여기에서는 주로 현대 사회에서 - 가 문제로 대두된다.
참고문헌
[중앙일보] 2008년 10월 09일(목) 오후 06:57
『최진실 루머유포 증권사 여직원 "무섭다"』

위키백과 『최진실』 항목

르네 지라르 著, 김진식·박무호 譯, 『폭력과 성스러움』, 민음사, 1993, 9-104, 289-332

로버트 프레이저 著, 이용대 譯, 『황금가지』, 한겨레신문사, 2001, 602-638, 639-764

김현주 著 『토테미즘의 흔적을 찾아서』, 2009, 서강대학교 출판부, 17-44, 247-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