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사회학과 도덕과학

 1  [사회학]사회학과 도덕과학-1
 2  [사회학]사회학과 도덕과학-2
 3  [사회학]사회학과 도덕과학-3
 4  [사회학]사회학과 도덕과학-4
 5  [사회학]사회학과 도덕과학-5
 6  [사회학]사회학과 도덕과학-6
 7  [사회학]사회학과 도덕과학-7
 8  [사회학]사회학과 도덕과학-8
 9  [사회학]사회학과 도덕과학-9
 10  [사회학]사회학과 도덕과학-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학]사회학과 도덕과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사회학과 도덕과학




서 론
본 론

1. 각 논문에 대한 평가와 요약
1) 에밀 뒤르케임과 도덕 과학의 전통
(1) 에밀 뒤르케임과 도덕 사회학
(2) 에밀 뒤르케임의 정치 사회학
(3) 사회학에서 보는 빈부와 노사문제


2) 사회주의의 도덕적 과학적 이해
(1) 죠르쥬 쏘렐과 산업 사회학의 도덕적 함의
(2) 마르쎌 모쓰와 볼쉐비즘의 사회학
(3) 꽁뜨의 사회학과 사회학주의

3) 후기 산업 사회의 도전과 사회학 패러다임의 변화
(1) 후기 산업 사회의 도전과 고전 사회학 전통의 재발견
(2) 뒤르케임의 [자살론] 연구의 현대적 의의

4) 상업 사회의 도전과 기독교 사회학의 등장
(1) 르쁠레와 뒤르케임
(2) 프랑스 사회주의와 사회 경제학
(3) 교회 : 자본주의의 수정과 국가 사회주의에의 대응

5) 한국 사회에의 적용을 위한 시도
(1) 한국 사회의 새로운 가치 합의를 위한 하나의 사회학적 시론
(2) 한국 사회의 중산층 논의에 대한 하나의 사회학적 고찰

2. 전체적 흐름의 분석과 나의 평가
3. 13개의 글을 보며...

결 론


본문내용
서 론

입학식날 총학에서 식장을 완전히 엎어버리는 바람에 행사가 중단되고 신입생들이 본관으로 몰려가서 뜻도 모르고 노래를 따라 부르고 '투쟁'이란 단어를 외쳤다. 대학생이니까 이제 사회의 문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한다는 생각은 있었지만 우리가 하는 행동들의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사회를 이끌어 가는 힘이 무엇인지를 알고싶었다. 앞에서 이끌어 가는 정치인들(학교에서 보면 총학의 간부들)부터 그 힘이 나오는지? 아니면 어떤 일이 있어도 전혀 동조해줄 것 같지 않은 수많은 민중들(학교에선 일반 학생들)로부터인지... 어떻게 생각하면 참 단순한 질문 같기도 하지만, 또 다르게 생각해 보니 결코 쉬운 답변을 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았다. 이 질문에 대한 짧은 생각에서부터 대학생으로서의 나의 사회에 대한 관심이 시작된 것 같다.
위의 질문으로부터 쉽게 생각해 볼 수 있는 또 하나의 궁금증은 '사회집단 내에서의 개인의 위치'에 관한 것이었다. 즉, '커다란 사회집단 내의 개인은 사회발전, 혹은 사회 변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 에 관한 의문이었다. 사회학적인 지식이 없는 내가 생각하기엔, 너무 커다란 사회집단에 종속되어 있는 개인은 사회 변화에 아무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 같지가않았다. 하지만 시간이 어느 정도 흐른 뒤 다시 생각해 보니 꼭 그런 것 같지만은 않았다. 왜냐하면 사회, 그 커다란 사회는 단일분자 격인 개인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시 수정되어 나의 결론은 '사회 변화는 여러 개인들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생각이 있은 후 나의 최고의 가치관은 개인, 즉 '나'였다. 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나'이고 '나'가 없는 세상은 아무런 가치를 가질 수 없다라는 생각이 나를 꽉 채우고 있었다. 하지만 그런 생각을 가졌다고 해서 내가 사회 집단에 대해 반항적이거나 탈선적인 생각을 했던 것은 아니다. 변명 같지만 나의 좀 더 큰 의도는 '나'를 확립한 후, 그 다음에 다른 사람, 즉 사회를 생각하자는 것이었다. '나'하나조차 제대로 세우지 못하고서 어떻게 다른 사람들을 생각할 수 있느냐는 의미였다. 어쨌든 나는 사회 변화와 관련하여 '위대한 개인' 만을 생각했던 것이다.
아직도 나의 최고의 가치관은 '나'이다. 하지만 이제는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사회 집단의 가치는 '개인의 모임'으로서 집단이 갖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 같다. 명확하게 어떤 개념이 서지는 않았지만 말이다. 이런 나에게 이번 리포트는 많은 도움을 주었다. 구체적으로 말할 수 없었던 많은 개념들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었고, 혼란스러운 사회를 위한 처방 - 이전에는 사회를 분석하는 것만으로도 능력의 한계를 느꼈기에 처방에 대한 생각은 일체 할 수가 없었다 - 까지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나는 이 사회가 올바로 서기 위해서는 사회와 개인간의 관계에 있어서 올바른 도덕성이 확립되어야 한다고 보고 '사회학과 도덕과학'이란 책을 도서관에서 골랐다. 사실 사회학 관련 저서들이 나에겐 모두가 부담스러웠기에 제목을 보고 어림짐작으로 내용을 생각해 보았다. 나는 이 글을 각 논문에 대한 평가와 요약, 전체적 흐름의 분석과 나의 평가, 그리고 나의 전반적인 생각의 순으로 전개하고자 한다. 나도 구체적인 사회에 대한 처방을 내려보고 싶었지만 그것은 나의 능력 범위를 벗어난 것이라고 생각되기에 자중하기로 했다. 사회학의 어떤 주제를 놓고 많은 자료를 찾아서 아주 멋지게 한편의 글을 완성하고 싶었지만 많은 자료를 찾아서 이해하는 것조차 나에게는 너무 힘겨운 작업이었다. 그래서 이 한 권의 책을 중심으로 요약, 정리하는 가운데 사회학에 대해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한 번도 이런 형식의 리포트를 써 본적이 없어서 형식과 내용 면에서 많은 실수가 있겠지만 너그러운 아량으로 이해하시리라 믿는다.


본 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민문홍 1994 '사회학과 도덕과학' 민영사
앤터니 기든스 1992 '현대 사회학' 을유문화사
막스 베버(박성주 옮김) 1988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정신'
이원규 1997 '종교 사회학의 이해' 사회비평사
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박재희 옮김) 1988 '독일 이데올로기' 청련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