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역사사회학의 과제와 전망

 1  교육역사사회학의 과제와 전망-1
 2  교육역사사회학의 과제와 전망-2
 3  교육역사사회학의 과제와 전망-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역사사회학의 과제와 전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먼저 자세하게 교육역사사회학의 과제와 전망을 살펴보기에 앞서 포괄적인 관점에서, 또 장기적으로 볼 때, 교육역사사회학의 당면 과제는 형성학파의 이름에 값하는 연구 성과의 축적에 있다. 이는 3원 형성 개념을 실증하는 가운데 이루어 질 것이다.
※ 앞으로의 연구 과제와 대상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기 전에 반드시 유념할 사항
교육역사사회학은 소위 말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창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학 학문 분류를 경직된 것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는 자성을 제기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한국교육의 형성을 탐구 대상으로 삼을 경우 교육사와 교육사회간의 간격에 구애받지 않고 이를 ①구조화 관점에서 통합하여 연구할 수 있다고 보았다. 통합은 반드시 두 영역간의 통합에 국한되지 않는다. 교육역사사회학은 과학적 교육학의 한 형태이므로, 과학화가 적용되는 탐구 영역 모두에 적용 될 수 있다. 또 3원 형성론에 따르면, 교육사회학과 교육심리학, 교육과정사회학 또한 통합될 수 있다.
Ex) 오늘의 한국인이 왜 어떻게 오늘날의 한국인으로 만들어졌는가?
→ 이를 밝히기 위해 의식과 도덕성 발달이론과 이데올로기 분석의 통합된 관점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다.
그런데 교육학의 학문 발전 역사를 반성적으로 되돌아보면, 물론 설명방법에서 차이가 있지만 통합의 맹아는 이미 운주 교육학에 내재되어 있었다.
교육역사사회학에서 주목하고 있는 교육의 사적 변천은, 종래 교육사학이 견지해 온 기본 자세와는 달리, 학교교육의 변화에 머물러 있지 않고 학교를 포함한 여러 교육의 장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지적, 도덕적, 심미적 행동의 변화가 주된 탐구 대상이다. 뿐만 아니라, 교육사는 사회사, 경제사, 문화사 등과 같은 수준의 부분사가 아니라 그 자체가 전체사이다(3원 형성론에 따르면). 또 종래 교육사 서술에서 학교교육의 기원과 변화에 관심을 두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편협한 연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학교 내의 소위 “비공식” 공간이나 학교 밖 다른 사회 공간 또는 가족과 지역사회 등 여러 장에서 이루어지는 인간 행동의 변화를 탐구할 필요가 있다. 공간적 확대 외에도, 인간 형성 그 자체에 관심이 있으므로, 심지어는 인간 내면에서의 심층적 변화 - 무의식, 감정구조, 마음의 상처나 한 등 -를 모두 교육역사사회학의 연구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과학화에 따른 쟁점 이외에, 또 다른 쟁점으로 ②“내재적 발전론은 견지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다.
그간 초기 연구에서는 각 시기마다 내재적 발전론 성립 여부를 이론적ㆍ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즉 타율적 사관이라 할 수 있는 외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이 어느 정도 견지 될 수 있는지를 계속 검토하였다. 결과 우리 교육의 발전은 외재적인 힘에 의해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우리 내부의 요인에 의해 때로는 더 큰 영향을 받았음이 밝혀졌다.
Ex) 개항기 외국의 교육 사상과 제도를 도입하는 과정 - 조선 정부, 만주ㆍ일본에서의 개신교 초기 개종자의 역할
Ex) 식민지시기에 총독부에 대항하여 한국인 단체와 학부모들이 벌인 적극적ㆍ능동적 교육행위
Ex) 군정기의 최고학부 설립과정에서 미소 군정과 외국군에 비해 국내 집단의 분열과 대립이 이후 대학의 분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점
내재적 발전론을 하나의 이론으로 재구성하기 위해 외국의 역사사회학 이론과 방법론을 적극 활용하였다(특히 마르크스의 역사이론에서 발전한 구조화의 문제의식). 따라서 역사를 만드는 행위자가 스스로 선택하지 않은 조건과 상황에서 개혁과 변신을 시도할 때 파생되는 복잡한 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관점을 확립하였다. 구체적으로 구조화의 문제의식을 구술사화 함께 활용하여, “안으로부터의 역사”를 서술하고 행위자 내면세계 “안으로부터의 역사”를 서술할 수 있다. 전자는 구조와 행위자를 좀 더 의미 있게 연결할 수 있는 안목과 방법을 제공하고, 후자는 객관적 사실과 주관적 경험을 좀더 의미 있게 연결할 수 있는 안목과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역사 탐구 대상의 폭과 깊이를 매우 확장할 수 있고 이것이 근대 한국교육의 형성이라는 큰 질문의 답하기 위한 방법이다. 요컨대, 근대 한국교육의 형성을 탐구하는 것은 여러 형태의 교육(또는 교육 세력)을 그 형식, 내용 및 기능이 시간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 변천을 기술, 분석 및 설명하는 것이다.
※ 3원 형성의 각 구성 요소별 연구과제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