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구제제도와 그 기구

 1  한국사 구제제도와 그 기구-1
 2  한국사 구제제도와 그 기구-2
 3  한국사 구제제도와 그 기구-3
 4  한국사 구제제도와 그 기구-4
 5  한국사 구제제도와 그 기구-5
 6  한국사 구제제도와 그 기구-6
 7  한국사 구제제도와 그 기구-7
 8  한국사 구제제도와 그 기구-8
 9  한국사 구제제도와 그 기구-9
 10  한국사 구제제도와 그 기구-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구제제도와 그 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진휼제도
1) 진휼정책
2) 진휼기구

2.의료제도
1)의료시책

가. 내의원
內醫院는 고려의 尙藥局을 계승한 것으로서, 조선 초기에 內藥局 또는 藥局이라 하던 것을 세종 25년 이조의 건의로 내의원이라 개칭하고 정원 16명을 두었다.
내의원은 국왕을 비롯한 왕족의 치료와 어약의 조제가 그 임무였지만, 궁중은 물론 종친 및 2품 이상 고관의 치료도 담당하였다. 내의원 의관은 왕실과 가까이 지냈기 때문에 여러 가지 특혜를 받아 불만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의관의 자질은 3의사 중 가장 우수하였다.

나. 전의감
典醫監은 고려의 典醫寺를 계승한 것으로, 태조 원년에 설치되 것이다. 전의감은 국가 의료기관의 중추적 기관으로서 朝官의 진료․賜與藥材의 관리․약재의 재배와 채취․외국약재의 구입과 판매․민질의 구료․의서편찬․의학교육․취재 등 국가의 의료사업을 모두 관장하였다. 또한 淸心圓․蘇合圓․保命丹 등 구급약의 제조도 전의감의 주요 임무의 하나였다. 이와 같이 전의감은 국가의 중신 의료기구로서 모든 의료업무는 물론 의료정책의 입안과 시행까지도 주관하던 기구였다.

다.혜민서
惠民署는 처음에는 혜민국이라 하던 것으로 고려의 惠民典藥局을 계승한 것이다. 이것은 태조 원년에 설치된 이후 그 직제는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쳐 성종 때 완성되었다.
혜민서는 약을 전매하고 서민을 구료하기 위해 설치된 기관으로 병자의 요청이 있을 대 가서 치료하거나, 활인소․한증소․구료서 등에 의원을 보내 치료를 맡게 하였다.
세조 6년 제생원이 혜민국에 합속되자 기아․고아의 護養과 의녀의 교육도 담당, 민간의 질병치료도 담당하였다.
하고 싶은 말
한국사 구제제도와 그 기구에 관하여 조사 했습니다.

목차 및 미리보기 참조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