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의이해 고려속요 연구- 정석가

 1  전통문화의이해 고려속요 연구- 정석가-1
 2  전통문화의이해 고려속요 연구- 정석가-2
 3  전통문화의이해 고려속요 연구- 정석가-3
 4  전통문화의이해 고려속요 연구- 정석가-4
 5  전통문화의이해 고려속요 연구- 정석가-5
 6  전통문화의이해 고려속요 연구- 정석가-6
 7  전통문화의이해 고려속요 연구- 정석가-7
 8  전통문화의이해 고려속요 연구- 정석가-8
 9  전통문화의이해 고려속요 연구- 정석가-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통문화의이해 고려속요 연구- 정석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속요
① 속요란?
② 형성과정
③ 정석가

Ⅱ. 정석가 내용 연구
① 정석가 원문과 해석
② 작품개괄
③ 정석가 제목의 의미에의 의문
④ 의미 구조와 형식
⑤ 역설
⑥ 대중문학적 성격
⑦ 작품이 끼친 영향

Ⅲ 기타 사항
① 악곡상
② 문헌상
③ 노랫말의 양상
본문내용
본문내용
Ⅰ.속요
① 속요란?
☞ 상층문화권의 정통가요인 가곡(歌曲) 혹은 시조 등에 비해, 정제되지 못한 노래나 아정(雅正 : 아담하고 바름)함을 잃은 노래. 일반적으로는 정가(正歌)와 대립되는 노래, 곧 잡스럽거나 속된 하층문화권의 노래라는 뜻으로 속가(俗歌) 또는 잡가(雜歌)라고도 한다.
그러나 한국문학사에서 ‘속요’라는 명칭은 경기체가(景幾體歌)와 더불어 고려시대 가요의 주요한 몫을 차지하는 특정한 장르 명칭으로 통용된다. 즉 조선 후기에 전문적인 소리꾼들에 의하여 집중적으로 창출된 잡가(속가)와는 별개의 장르로 다루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속요라 하면 일반적으로 고려시대에 경기체가와 더불어 공존하였던 노래들을 가리키며 속악가사를 통해 그 모습을 살필 수 있다. 한때 고속가(古俗歌)나 장가(長歌)로 불리기도 하였으나 별로 쓰이지 않고 있다.



위의 악보에서 드러나듯이 A~D에 이르기까지 두 곡은 선율의 양상, 유사 선율단위의 배열순서에 있어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이 사실은 두 곡이 동종이형(同種異形)임을 입증하는 자료가 되는데, 두 곡 중의 어느 한 곡이 선행하여 향유되었고, 다른 하나는 선행했던 곡에 약간의 변형을 가하여 ‘새로운 가사’를 얹어 불렀음을 알려준다 하겠다.
한편 정석가의 악곡은 서경별곡에 비교해 볼 때, 여음이 없어 실질적 내용만으로 가사가 배열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여음이 없는 사실로 미루어 정석가가 서경별곡에 후행한 것으로 판단된다. 새로운 가사를 얹을 때, 여음 부분에 적당한 가사를 얹는 것은 당시 문헌에 흔히 보이는 양상이기 때문이다.(예-서경별곡을 변개한 정동방곡, 청산별곡을 변개한 납씨가 등)

참고문헌
참고 자료 ( 파일내에 기재된 참고자료 목록입니다. )
고려속요집성
김명준 저 다운샘 2008.03.06
고려속요 사설시조의 새로운 이해
강명혜 저 | 북스힐 | 2002.11.05
같은 분야의 연관자료
[고려가요] 고려가요 연구
[고시가]정석가
[국어국문]고려가요의 갈래와 성격 리포트
하고 싶은 말
소개글
전통문화의이해 고려속요 연구- 정석가.hwp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