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상] 맹자

 1  [동양사상] 맹자-1
 2  [동양사상] 맹자-2
 3  [동양사상] 맹자-3
 4  [동양사상] 맹자-4
 5  [동양사상] 맹자-5
 6  [동양사상] 맹자-6
 7  [동양사상] 맹자-7
 8  [동양사상] 맹자-8
 9  [동양사상] 맹자-9
 10  [동양사상] 맹자-10
 11  [동양사상] 맹자-11
 12  [동양사상] 맹자-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사상] 맹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맹자(孟子 : B.C. 372-289)의 생애
2.맹자의 성선론(性善論)
3. 성선론(性善說)의 심리적 근거 : 사단지심(四端之心
4. 맹자의 心과 문왕의 德.
5. 맹자의 心과 공자의 忠恕.

본문내용
1. 맹자(孟子 : B.C. 372-289)의 생애

“맹가(孟軻)는 추(鄒)나라 사람으로,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 : B.C. 483-403)의 제자에게서 학업을 전수받았다. 도(道)에 통달하게 되자, 제(濟)나라 선왕(宣王)에게 유세하여 그를 섬기고자 했으나, 선왕이 그를 등용하지 않았다. 양(梁)나라에 갔을 때에도 혜왕(惠王)은 그가 말하는 것을 실천에 옮기지 않았다. 그의 말이 현실과 거리가 멀고 물정에 어둡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당시 진(秦)나라는 상앙(商鞅)을 등용하여 부국강병(富國强兵)을 추구하였고, 초(楚)나라와 위(魏)나라는 오기(吳起)를 등용하여 약소국을 전쟁으로 제압하였으며, 제(濟)나라의 위왕(威王)과 선왕(宣王)은 손자(孫子)나 전기(田忌)의 무리를 등용하여, 제후들로 하여금 동쪽을 향해 제나라에 조회(朝會)하게 하였다. 온 세상은 바야흐로 합종(合從)과 연횡(連橫)에 힘썼으며, 남을 공격하고 정벌하는 것을 현명하다고 여겼다. 그러나 맹가는 요․순 임금과 하․은․주 삼대의 덕을 천명하였기 때문에 가는 곳마다 그 임금들과 부합할 수 없었다. 결국 그는 물러나 만장(萬章) 같은 제자들과 함께, 『시경』․『서경』을 재해석하고, 중니(仲尼)의 뜻을 천명하여 『맹자(孟子)』7편을 지었다.”
맹자가 살던 시대 환경은 위와 같이 험난했다. 당시 사회 질서는 극히 문란했고, 민생은 핍박했으며 사풍(士風)은 극도로 타락한 상태에 있었다. 평민들은 죽음을 면하기에도 바빴으므로 예의(禮義)와 염치(廉恥)를 차릴 겨를이 없었고, 사대부들은 탐욕을 부리고 무심하기 이를데 없어 좋은 풍속은 모조리 파괴되어 가는 형편이었다. 그리고 제후국 군들은 다투어 서로 정벌은 일삼아 백성들의 생명을 초개같이 희생시키고, 제후 간에 서로 배신하는 것을 다반사로 여기고, 예의 같은 것은 버려둔 채 돌아버려 들지 않았던 것이다. 당시의 제후국 군들은 끝없는 사치와 탐욕, 그것에 따르는 수탈만을 일삼는 학정, 가실 줄 모르는 침략적 야욕과 보복주의에서 헤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무고한 평민들은 밖으로부터는 늘 전쟁의 위협을 받아야 했고, 안에서는 부패하고 잔인무도한 정치에 시달려야 했다.
공자의 시대에는 인간성의 선․악이 중요한 문제가 아니었다. 그러나 공자가 죽고 난 후 100년 뒤에 태어난 전국시대 말 사람인 맹자가 살던 시대에는 위와 같은 문제에 직면하면서, 인간에 대한 불신의 사건들이 난무했기 때문에 ‘인간이 도덕적인 존재인가?’, ‘도덕적인 존재라면 그 근거가 무엇인가?’와 같은 담론이 상당히 많이 존재했다. 맹자의 성선설을 비롯한 여러 가지 이론들은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서 탄생한 것이지만 그가 죽고 난 후 1200년이 지나서 송나라 때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에 대해서 성찰했으며, 인간이 인(仁)을 실현하는 가능성을 ‘인간의 내적 가능성’에서 찾았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