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학사의 몸 담론

 1  한국 문학사의 몸 담론-1
 2  한국 문학사의 몸 담론-2
 3  한국 문학사의 몸 담론-3
 4  한국 문학사의 몸 담론-4
 5  한국 문학사의 몸 담론-5
 6  한국 문학사의 몸 담론-6
 7  한국 문학사의 몸 담론-7
 8  한국 문학사의 몸 담론-8
 9  한국 문학사의 몸 담론-9
 10  한국 문학사의 몸 담론-10
 11  한국 문학사의 몸 담론-11
 12  한국 문학사의 몸 담론-12
 13  한국 문학사의 몸 담론-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문학사의 몸 담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론 및 연구사
1.1 이론적 배경
1.2 연구사적 전개 양상
2. 한국문학 속에 나타나는 변신과 장애
2.1 문학 속 변신의 형상
2.1.1 문학 속 변신의 개념
2.1.2 주제에 따른 변신 분류
2.1.2.1 사회적 억압에 대한 여성의 열등감 표출
2.1.2.2 사회 혼란의 표상
2.1.3 변신연구의 한계
2.2 문학 속의 장애인 형상화
2.2.1 문학 속 장애연구의 방향과 목적
2.2.2 고전 문학에서의 장애인 형상화
2.2.2.1 초월적 존재자와의 소통의 매개체
2.2.2.2 풍자의 도구
2.2.3 근대 문학에서의 장애인 형상화
2.2.3.1 관리되는 신체
2.2.3.2 신체적 폭력과 제재를 감당해야 하는 존재
2.2.4 장애연구의 한계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전형 중 하나는 물질 만능의 풍조와 효율성을 무비판적으로 추구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흐름은 육체와 성을 상품화하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오늘날 우리는 우리의 ‘몸’을 하나의 상품이자 자본으로 본다. 몸은 더 이상 그 사람 자신을 나타내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소유와 교환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아름다운 몸, 건강한 몸을 위해 노력하는 우리들의 모습은 오늘날 몸이 가지는 지위와 개념을 되돌아보게 만든다. 최근 사회문화 전반에서 제기되는 몸 담론의 경향은 이미 일상 영역에 깊이 침투해 있는 몸에 대한 이러한 관심과 무관하지 않다.
문학은 작가 개인의 역량을 넘어 문학이 형성되는 사회에 그 토대를 두고 있다. 따라서 최근 우리의 문학사에선 몸을 하나의 탐구 대상으로서 인식하기 시작했다. 몸과 연관된 논의가 사회 전반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진 만큼 우리의 문학사에서도 몸의 개념을 주시하기 시작한 것이다. 몸 담론의 내용은 부분적으로는 서구의 이론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지만 90년대 이후 그간 소외되어 온 주변부(여성, 노인, 장애 등)의 담론을 탐구하는 우리의 연구흐름과 맞물려 독자적인 성과를 내놓기 시작했다. 이는 고전문학의 연구에 있어서도 다르지 않아 최근에는 고전문학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육체성과 관련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는 몸과 관련된 다양한 모티프 중 ‘변신’과 ‘장애’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데 이는 ‘변신’과 ‘장애’가 기존의 연구성과와 최근 진행되는 몸 담론의 새로운 연구흐름을 함께 살펴볼 수 있는 탐구 대상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본 발표는 우리의 문학사에서 최근 제기되는 몸 담론의 논의들 중에서도 고전문학의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몸’에 대한 탐구로 범위를 한정하여 논의를 하게 될 것이다. 그에 앞서 몸 담론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해준 서구 이론을 살펴보고 이것이 적용되어 나타난 몸 담론의 전체적인 연구사 전개 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이후 몸 담론의 다양한 연구 대상 중 ‘변신’과 ‘장애’를 논의하기로 한다.
참고문헌
김정현, 『니체의 몸 철학』, 문학과 현실사
홍은영, 『푸코와 몸에 대한 전략』, 철학과 현실사, 2004
김미란, 『고대소설과 변신』, 정음문화사, 1984
이병승, “몸에 대한 철학적 담론과 그 교육학적 示峻”(『교육철학』 제18집, 2000)
장명훈, 「현대소설에 나타난 몸 담론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김나영, 「고전소설에 나타난 변신모티프 구현 양상과 의미」,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김양진, 「한국고전문학의 노인 형상화 연구」,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이경미, 「고전 문학 속 여성의 해원으로서의 변이에 관하여」, 石堂論叢 43집, 2008
김미란, 「고대 소설에 나타난 여성 변신의 의미 -금방울전과 박씨전을 중심으로-」,문호제 8집
노동규,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장애인관」,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한만수, 「한국 서사문학의 바보인물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김도경, 「한국문학에서의 장애인 형상화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한혜선, 「한국 현대 소설의 인물 연구-신체적 결손징표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조성열, 「문학작품을 통해 본 한국인의 장애자관」, 단국대 석사학위논문, 1986.
김미순, 「한국소설에 나타난 장애자관」,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임헤련, 「우리 문학작품을 통해 본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화」,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이승희, 「문학 작품을 통해 본 장애인관」,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조양수, 「문헌설화를 통한 한국인의 장애인관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