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

 1  [현대시]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1
 2  [현대시]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2
 3  [현대시]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3
 4  [현대시]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4
 5  [현대시]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5
 6  [현대시]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6
 7  [현대시]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7
 8  [현대시]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8
 9  [현대시]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9
 10  [현대시]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10
 11  [현대시]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11
 12  [현대시]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12
 13  [현대시]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13
 14  [현대시]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시]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
1. 전쟁 참여적 담론
1-1. 찬가
1-2. 격시(檄詩)
1-3. 결의시
1-4. 전투상황시
2. 전쟁 비판적 담론
2-1. 남한의 전쟁 비판시
2-2. 북한의 전쟁 비판시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전쟁의 개념과 정의는 시대와 관점에 따라 다르지만, 한 나라의 존망과 생사의 문제․전쟁을 하고자 하는 자의 의지에 의하여 출발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전쟁의 영향권에 놓여있는 전쟁문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분단문제와 정치적 갈등 등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전쟁문학에 대한 대략적인 개념은 전쟁이 소재․제재․주제가 되고 이를 고발하며 진단하는 문학 등으로 규정* 성균관대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백철, 「전쟁문학의 개념과 그 양상 : 주로 題名과 內容을 더듬어」,『世代』 13(1964.6) pp. 253-254. (위와 같이 규정할 경우 그와는 다른 독자적인 길을 걸어온 작품을 포함 시킬 것인가의 문제가 있고, 전쟁문학의 보편적 성격과의 조응문제도 대두될 수 있다)
하고 있다. 『한국문학대사전』(문원각)에서는 전쟁문학의 보편적 성격에 대해 전쟁이라는 현대적 병을 고발하고 진단하는 문학, 전쟁을 소재로 해서 진정한 인간상과 참다운 진실을 부각하는 문학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어느 한 가지로 정의하기 어렵다. 범벅하게나마 여러 견해의 공통점을 들어 전쟁문학을 정의한다면 전쟁문학은 말 그대로 전쟁과 관련된 문학이라 할 수 있다. 이때의 전쟁은 작품의 소재 차원에서 문학과 관련된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소재 이외의 것은 전쟁에 대한 이해관계에 따라 여러 가지 비평적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임도한, 「실존과 당위 사이 - 한국전쟁기 장편 전쟁시의 일면」, 『문학마당』(2003, 가을) p. 15.

남․북한의 갈등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전쟁시에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단문학의 대립상을 지양․극복하는 통합의 원리로 찾는데 중요한 참조점을 두고, 남․북한 전쟁시에 나타난 담론을 모든 시대별로 다루지 않고, 전쟁 시기를 중심으로 창작된 작품의 면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전쟁문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약 10여 편이 있다. 신익호, 「전쟁문학소고」,『3사논문집』 8(1978)
이동근, 「한국전쟁 시의 주제양상」,『3사논문집』 20(1985)
최진송, 「종군시의 의미와 분단극복」, 『동의어문논집』(1988.4)
이기윤, 「1950년대 한국소설의 전쟁체험 연구」, 인하대 박사논문 (1989.2)
박태일, 「1950년대 한국전쟁시 연구」, 『경남어문연구』 5(1992)
오세영, 「한국전쟁문학론 연구」, 『서울대인문논총』 28(1992)
임도한, 「한국전쟁기 전쟁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1994)
이지엽, 『한국 전후시 연구』(태학사, 1997)
신영덕, 「한국전쟁기 시인들의 종군활동 연구」, 『국어국문학』 122(1998 12)
홍용희, 「한국전쟁기, 남북한의 시적 대응 비교 고찰」, 경희대『인문학연구』 2(1998.12)
한정호, 「경인전쟁기 시의 가족 체험」, 『지역문학연구』 6(2000.10)
그 가운데 전쟁 시 나름의 의의를 긍정적으로 인정하는 견해는 문학사 정리 작업과 함께 등장한다. 전쟁시를 당대 문단의 필연적
참고문헌
각주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