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개론] 개화기국어의 특징 - 높임법과 문장종결법의 변화

 1  [국어학개론] 개화기국어의 특징 - 높임법과 문장종결법의 변화-1
 2  [국어학개론] 개화기국어의 특징 - 높임법과 문장종결법의 변화-2
 3  [국어학개론] 개화기국어의 특징 - 높임법과 문장종결법의 변화-3
 4  [국어학개론] 개화기국어의 특징 - 높임법과 문장종결법의 변화-4
 5  [국어학개론] 개화기국어의 특징 - 높임법과 문장종결법의 변화-5
 6  [국어학개론] 개화기국어의 특징 - 높임법과 문장종결법의 변화-6
 7  [국어학개론] 개화기국어의 특징 - 높임법과 문장종결법의 변화-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학개론] 개화기국어의 특징 - 높임법과 문장종결법의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개화기 국어의 문장 종결법의 변화
1) 평서문
2) 의문문
3) 명령문
4) 청유문
5) 감탄문

3. 개화기 국어의 높임법 변화
1) 주체 높임법
2) 객체 높임법
3) 상대 높임법
4) 기타 높임법

4. 나가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개화기 국어의 특징 가운데 특히 문장 종결법과 높임법의 변화를 주목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개화기 국어의 문법 가운데 문장 종결법과 높임법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개화기 국어의 문장 종결법과 높임법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개화기 국어의 특징의 대강을 헤아려 보기로 한다.
문장 종결법에 따른 문장의 종류는 종결 어미가 보여 주는 서법에 따라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감탄문, 응낙문, 허락문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서법(달리는 문체법)에는 화자와 청자간의 상대 높임법에 따른 어미변화가 반드시 나타나게 되어 있으므로 문체법 논의에서는 상대 높임법에 따른 문체법의 변화도 다루어야 한다.
특히 개화기 국어는 중세 국어 문체법이 근대 국어 문체법을 거쳐 현대 국어 문체법으로 변화하면서 신분제 붕괴 등으로 인한 상대 높임법의 변동이 심화되기 시작한 때이므로 다른 문법 범주보다도 상대 높임법과 서법에 따른 문체법의 체계를 기술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참고로 예시에서 사용되는 문장들은 모두 개화기 당시의 주요 문헌들에서 발췌한 것으로 이를 주요 문헌 약호로 표기하였다. 귀 - 귀의성, 국소 - 국민소학독본, 빈 - 빈상설, 홍 - 홍도화, 혈 - 혈의루, 천로 - 천로역정, 추-추월색, 설- 설중매, 소학독본 - 소학, 심상 - 신정심상소학



2. 개화기 국어의 문장 종결법의 변화

1) 평서문
화자가 사태에 대한 단순한 의견을 진술하는 평서문의 종결 어미는 개화기 국어에서 ‘-더라, -지라, 이라, 이러라’처럼 ‘-라’체가 대표적으로 쓰이며 ‘-ㄴ다-다, -앗다-엇다’처럼 ‘-다’방식도 서서히 점증하기 시작한다.
중세 국어에서 상대높임법에 따르는 종결법은 쇼셔체, 야쎠체, 라체의 3등분이었는데, 이것이 근대 국어에 와서는 객체 높임법의 선어말 어미 ‘-/옵/오-, -/ 옵/ 오-, -/옵/오-’류가 상대 높임법의 선어말 어미로 기능 변화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들 형태가 들어 있는 것이 없는 형태보다 더욱 공손해짐으로써 하소서체와 합쇼체로 분화되고 야쎠체도 새로 오체와 게체로 분화된다. 또한 해요체도 희소하게 드러난다. 개화기 평서법은 이러한 근대 국어의 등분을 대체로 그대로 보여준다. 개화기 문헌의 평서법의 서술 방식을 보면 신소설의 지문이나 성서 번역체, 신문, 잡지 등 대부분의 경우 서술체는 해라체를 써서 ‘-더라, -지라, -
참고문헌
김광해 외, , 박이정, 2004.
김형철, , 경남대학교출판부, 1997.
국립국어연구원, , 1996.
국립국어연구원, , 1997.
국립국어연구원, ,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