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

 1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1
 2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2
 3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3
 4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4
 5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5
 6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6
 7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7
 8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8
 9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9
 10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10
 11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11
 12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12
 13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13
 14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14
 15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15
 16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16
 17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17
 18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18
 19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19
 20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학개론] 현행 표준어규정의 의의와 문제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표준어의 개념과 기능
1. 표준어의 개념
2. 표준어의 기능

Ⅲ. 현행 표준어 규정의 의의와 문제점
1. 표준어 규정의 체제
2. 표준어 규정의 의의
3. 표준어 규정이 지닌 문제점
(1) 체제 및 기술상의 문제
(2) 표준어 사정 원칙의 문제
(3) 표준 발음법의 문제

Ⅳ. 맺음말

< 국어 지식 응용 - 창의적 교수 학습지도안 제시 >
1. 교육과정에 나타난 표준어 교육
2. 교수-학습지도안 (고등학교 국어생활)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Ⅰ. 머리말

말은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바뀌기도 하고 새말이 만들어 지기도 하며 있었던 말이 없어지기도 한다. 그리고 지역, 계층, 시간에 따라 다르고 또 개인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말의 복잡성과 다양성으로 인해 말을 정리하고 규범화할 필요가 있다. 말의 규범화는 말의 변화에 뒤따라가서 변화된 말을 그대로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말의 변화에 앞장서서 나쁜 쪽으로 말이 변하는 것을 미리 막고 나아가 더 나은 언어생활을 할 수 있도록 말을 이끌어 가게 해야 한다. 우리말을 규범화 한 것으로는 ‘표준어 규정’ 및 ‘한글맞춤법’ 그리고 ‘외래어표기법’ 등이 있다.
우리는 일찍이 우리말에 대한 규정을 우리 손으로 만들지 못하고 나라 잃은 시대에 조선총독부가 제정한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1912.4), 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大要(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대요)(1921.3), 諺文綴字法(언문철자법)(1930.2)’ 이 있었다. 그 뒤 1933년 10월 29일에 우리 손으로 처음 우리말의 규범을 내놓게 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한글 마춤법 통일안’이었다.
이 ‘한글 마춤법 통일안’도 여러 번 개정을 거듭하게 되는데 1940년 6월 15일 ‘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 1946년 9월 28일 ‘한글 맞춤법 통일안 일부개정’이 나왔다. 이것이 근간이 되어 1970년 처음으로 정부제정 국어 정서법이 나오게 되었다. 이에 대한 자료는 김민수(1984, 國語政策論, 탑출판사) 참고.
그리고 1988년 1월 19일에 고시하여 1989년 3월 1일부터 시행하게 된 개정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이 나오기까지 우리는 근 반세기동안 1933년 한글학회에서 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따른 말 규범을 사용해 왔다. 북한의 철자법은 1954년까지는 남한과 같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사용하다가 1954년9월에 만든 ‘조선어 철자법’이 나오면서 남한과 달라지게 되었다. 그 후 1966년 6월 ‘조선어 철자법’을 다시 수정하여 ‘조선말규범집’을 공포하여 우리말과 더욱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그 후 1987년 5월 15일 새 규범집 ‘조선말규범집’을 다시 공포하였다.

1988년에 개정한 ‘한글 맞춤법’이나 ‘표준어 규정’은 반세기 동안 변화해 온 우리말을 다시 정리하고 규범을 새롭게 만든 것으로, 본론에서는 그 중에서도 ‘표준어 규정’의 의의와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보도록 하겠다.

Ⅱ. 표준어의 개념과 기능

1. 표준어의 개념
표준어(標準語 stancard language)는 한 나라의 공용어로 쓰이는 규범어로서 그 나라를 대표하는 언어이다. 표준어는 자연히 발생하여 성립되는 경우도 있지만, 인공적으로 제정하는 것이 원칙이며 이런 경우 수도나 문화중심지의 교양 있는 사람들이 쓰는 언어가 표준어의 기반이 되는 경우가 많다. 표준어는 한 나라의 국민을 언어적으로 통일시켜 주는 것으로 방언보다 품위가 있고 공적인 상황에 적합한 언어이다. 표준어의 설정은 일반적으로 지역과 계층의 차이에 따른 언어 상의 차이를 제거하여 언어의 통일을 기하고, 동시에 언어를 순화하려는 실용적 필요에 근거한 것이다. 오랜 역사적 전통을 갖고 있으며, 동시에 중앙집권적
참고문헌
, 1988.1, 국어 연구소
국어 연구소, , 국어 연구소, 1988.9
국어 연구소, , 문화부, 1990.9

남영신, 국어 천년의 실패와 성공, 한마당, 1998
----, 우리말 맞춤법, 표준어사전, 한강문화사, 1993
대교문화, 새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 대교문화, 1989
리의도, 오늘의 국어 무엇이 문제인가, 어문각, 1993
----, "과 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제어문학회, 1995
미승우, 맞춤법과 교정의 실제, 어문각, 1982
----, 새맞춤법과 표준어 해설, 지학사, 1988
민현식, 국어 정서법 연구, 태학사, 1999
박홍길, 국어 정서법 연구, 한국문화사, 1999
----, "맞춤법과 표준말의 논의점", 동의 어문 논집 제4집, 동의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8.4
서정욱, 국어 정서법의 이론과 실제, 문창사, 1996
이기문, 국어의 현실과 이상, 문학과 지성사, 1997
이상태, 국어 교육의 길잡이, 한신문화사, 1993
이은정, (개정한)한글 맞춤법 표준어 해설, 대제각, 1988
이익섭 외, 우리말 우리글 바로 쓰기, 동화서적, 2001
이현복, “표준말 재사정에 따르는 문제점”, 한글 제163호, 한글 학회, 1979.3
이희승·안병희, 고친판 한글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1994
임규홍, "개정 과 , 그 잘못에 대하여", 모국어교육 13호, 1995
조영희, 우리말을 바로 알고 바로 쓰자, 신아출판사,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