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조직론] Glaxo SmithKline 기업사례 분석

 1  [경영조직론] Glaxo SmithKline 기업사례 분석-1
 2  [경영조직론] Glaxo SmithKline 기업사례 분석-2
 3  [경영조직론] Glaxo SmithKline 기업사례 분석-3
 4  [경영조직론] Glaxo SmithKline 기업사례 분석-4
 5  [경영조직론] Glaxo SmithKline 기업사례 분석-5
 6  [경영조직론] Glaxo SmithKline 기업사례 분석-6
 7  [경영조직론] Glaxo SmithKline 기업사례 분석-7
 8  [경영조직론] Glaxo SmithKline 기업사례 분석-8
 9  [경영조직론] Glaxo SmithKline 기업사례 분석-9
 10  [경영조직론] Glaxo SmithKline 기업사례 분석-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영조직론] Glaxo SmithKline 기업사례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기업소개

2-1.제약산업의 전통적 R&D조직
2-2.합병이전 GSK의 R&D구조 및 특징

3. 환경변화 분석

4. 기존 제약업체의 R&D 조직구조의 문제점

5-1 CEDD 구조의 정의와 등장배경
5-2 CEDD구조 특징과, 각 특징에 따른 강점과 약점
5-3 CEDDs신설을 핵심으로 하여 R&D 조직의 재구조화를 도입, 실행하기 위한 방안

6. CEDD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Yamada가 직면하게 될 도전

7. 우리의생각

8.참고문헌



본문내용

1.기업소개
GSK(GlaxoSmithKline)는18세기 초 출범하여 오랜 역사의 기술과 자원을 겸비한 연구개발 중심의 세계적인 선도적 제약회로 현재 전 세계적으로 전문의약품과 백신, 일반의약품, 구강관리 제품, 건강음료 분야에서 마켓리더로 인정받고 있는 다양한 제품들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연구개발 중심의 제약기업인 GSK는 pre-merger와 2000년 성사된 GSK merger, 즉 두 번의 합병 과정을 통해 지금의 모습을 이루게 되었다.
우리는 GSK의 합병전이 Glaxo Wellcome 및 SmithKline의 R&D구조와 2000년 합병을 통해 현 모습을 갖춘 후, 강행한 R&D 부분의 재구조화를 통한 CEDD구조의 특징을 중심으로 GSK 조직구조를 분석해보았다.

2-1.제약산업의 전통적 R&D조직
흔히 전통적인 제약 산업을 주도해 온 기업들의 R&D조직은 하부에 생물학, 임상실험 등의 개별적인 기능별 부서들이 존재하고 상부의 소수자들에 의해 통제되고 관리되는 피라미드형 조직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형태는 많은 과학자들이 소수의 경영자에 의해 관리되면서 관료제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수직적 경로를 통해 상위에서 통합되는 형태이므로 부서 간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 또한 대두되었다. 즉 기능적 구조 내부와 구조를 가로지르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상당부분 미비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경영자들은 빠르게 변하는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통솔력을 상실했다.

2-2.합병이전 GSK의 R&D구조 및 특징
(1)구조
합병이전의 GSK, 즉 Glaxo Wellcome 과 SmithKline의 R&D구조는 매트릭스 구조형태였다. Glaxo Wellcome 과 SmithKline는 매트릭스 R&D기관의 일부로서 이중보고 체계를 취했다. 즉 과학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부서와 매트릭스 형태로 관련되는 두 개의 상위부서의 담당자에게 모두 보고를 했어야 했다.
(2)특징
①매트릭스 구조를 통해 보고받는 두 개의 부서가 가지는 영향력의 차이
매트릭스 구조로 인한 이중 보고체계에도 불구하고, 예산 등의 결정을 할 때에 보다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부서는 한곳에 편향되어 있다는 점이다.
②각 기능라인으로 구성된 단일 위원회의 개발진행 결정
Glaxo Wellcome 과 SithKline는 발견과 개발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혼합물의 개발진행 결정권한을 단일위원회에 부여했다. 그들은 각 기능라인, 예를 들어 유전학연구, 발견연구, 독성학, 임상 약물학, 전 임상 개발, 임상 개발 및 규제 사무와 같은 부서의 고위 경영진들로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단일위원회로 선정된 대부분의 사람들은 회사 전 부문에 걸쳐서 프로젝트의 사업적인 분석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그들이 어떠한 치료영역에 관한 전문가는 아니었기 때문에 발견연구자들과 위원회 간 상호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았다. 즉 연구와 개발은 충분히 밀접한 관계가 아니었다.
③발견 연구자들이 혼합물 후보들을 선정하면 그들의 직무가 끝났다고 가정
Glaxo Wellcome 과 SithKline는 발견연구자들이 적절한 혼합물 선정을 완료하면 그들이 책임을 다한 것으로 가정했다. 그리고 발견연구자들은 그들이 혼합물 후보들을 얼마나 잘 생산했는지에 따라 평가된다. 그러나 그 발견이후에 전 임상 평가를 거치고 인체실험과 FDA승인을 얻는 과정을 거치며 ‘개발’된 물질들 중 90%이상은 시장 진입에 실패한다. 결과적으로 시장진입에 실패하는 물질은 현저하게 적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견연구자들은 결과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갖지 않는다. 그들은 그들이 해야 할 발견을 이루어냈고 그 과정에 대해서만 평가를 받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정이 지속됨에 따라 그들에게는 성공적 약품개발이라는 궁극적 목표보다 단지 혼합물의 발견이라는 직무의 수행만 중요해졌다. Glaxo Wellcome 과 SithKline의 이러한 가정은 생산성 감소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거대제약사들이 직면한 문제에 대한 GSK의 문제해결방안 사례 분석」
『Dnog A Business Review』,「新藥이 돈 안된다고? 거대 제약사여, R&D를 재건하라」, 2008, 9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