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구전서사시][오시앙서사시][인도서사시][함경도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 서사시와 구전서사시, 서사시와 오시앙서사시, 서사시와 인도서사시, 서사시와 함경도서사시 분석

 1  [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구전서사시][오시앙서사시][인도서사시][함경도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 서사시와 구전서사시, 서사시와 오시앙서사시, 서사시와 인도서사시, 서사시와 함경도서사시 분석-1
 2  [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구전서사시][오시앙서사시][인도서사시][함경도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 서사시와 구전서사시, 서사시와 오시앙서사시, 서사시와 인도서사시, 서사시와 함경도서사시 분석-2
 3  [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구전서사시][오시앙서사시][인도서사시][함경도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 서사시와 구전서사시, 서사시와 오시앙서사시, 서사시와 인도서사시, 서사시와 함경도서사시 분석-3
 4  [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구전서사시][오시앙서사시][인도서사시][함경도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 서사시와 구전서사시, 서사시와 오시앙서사시, 서사시와 인도서사시, 서사시와 함경도서사시 분석-4
 5  [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구전서사시][오시앙서사시][인도서사시][함경도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 서사시와 구전서사시, 서사시와 오시앙서사시, 서사시와 인도서사시, 서사시와 함경도서사시 분석-5
 6  [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구전서사시][오시앙서사시][인도서사시][함경도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 서사시와 구전서사시, 서사시와 오시앙서사시, 서사시와 인도서사시, 서사시와 함경도서사시 분석-6
 7  [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구전서사시][오시앙서사시][인도서사시][함경도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 서사시와 구전서사시, 서사시와 오시앙서사시, 서사시와 인도서사시, 서사시와 함경도서사시 분석-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서사][인도][베트남므엉족][지괴][도덕][제주도본풀이][아이누신화][서사가사]서사와 인도, 서사와 베트남므엉족, 서사와 지괴, 서사와 도덕, 서사와 제주도본풀이, 서사와 아이누신화, 서사와 서사가사 분석
  • [구비서사시][구비서사시 종류][구비서사시 특징][판소리]]구비서사시의 개념, 구비서사시의 종류, 구비서사시의 특징, 구비서사시의 전승, 구비서사시의 역사성, 구비서사시와 판소리, 구비서사시의 해외사례 분석
  • [구비서사시][제주도][아이누][허저족][므엉족]제주도 구비서사시, 아이누 구비서사시, 폴란드 구비서사시, 아프리카 구비서사시, 유고슬라비아 구비서사시, 중국 허저족 구비서사시, 베트남 므엉족 구비서사시 분석
  • [국문학] 한국문학통사 제 3판 7.1~7.9 <조선전기>요약
  • [졸업 논문]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현대적 가치 고찰: 교육적·문화적 효용성을 중심으로
  • 서사무가 특징, 서사무가 유형, 서사무가 바리공주 형성, 서사무가 바리공주 전개, 서사무가 바리공주 줄거리, 서사무가 바리공주 되풀이현상,쟁점
  • [국문학] 무가, 설화
  • [고전, 문학사,]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2,3> 요약
  •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 유래,신화,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 주거,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와 고산족, 아이누(아이누족, 아이누민족)와 만주족, 아이누(아이누족,아이누민족)와 제주도 구비서사시
  • [세계신화- 동양신화]세계신화 : 동양신화과 서양신화 모두 총정리 조사자료
  • 소개글
    [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구전서사시][오시앙서사시][인도서사시][함경도서사시]서사시와 창세서사시, 서사시와 구전서사시, 서사시와 오시앙서사시, 서사시와 인도서사시, 서사시와 함경도서사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서사시와 창세서사시

    Ⅲ. 서사시와 구전서사시

    Ⅳ. 서사시와 오시앙서사시

    Ⅴ. 서사시와 인도서사시

    Ⅵ. 서사시와 함경도서사시
    1. 무속의 굿거리가 다양하고 온전히 살아있다
    2. 함경도의 굿에서 연행되는 무속서사시가 종류도 다양하고 질·양의 측면에서 풍부하다는 특징이 있다
    3. 함경도의 무속서사시의 소재적 원천이 다양하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특징이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한국 창세서사시의 전승권역은 현재 확인된 바로는 함경도와 평안도의 북부지역과 제주도지역이 중심이라 할 수 있다. 경기도 오산의 은 1930년대에 조사·보고된 이후 현재까지 더 이상의 전승이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다만 시루말이나 시루배달이라는 이름으로 祭次가 이어지고 있을 따름이다. 동해안지역에서는 창세서사시가 독립적으로 온전하게 전승되지 못하고 의 일부로 수용되어 미륵과 석가의 인세차지 경쟁 신화소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전승되고 있을 뿐이다. 이외의 다른 지역에서는 현재까지 창세서사시가 전승되었거나 전승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된 바 없다. 다만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미륵과 석가의 인세차지 경쟁담이 무속서사시가 아닌 산문의 신화로 몇 편이 전승되고 있어 그 잔영을 더듬어 볼 수 있다.




    ≪ … 중 략 … ≫




    Ⅱ. 서사시와 창세서사시

    은 사람이 죽었을 때 행하는 굿에서 부르는 장편 巫歌라고 보아도 큰 무리가 없다. 무가를 모(mo)라고 부른다. 모(mo)의 구연은 장례 절차 가운데 핵심적인 의례에 해당한다. 모(mo)를 구연하는 사람은 옹‧어우(ông ậu), 보‧모(bố mo), 옹‧모(ông mo)라고 불리는 남성이다. 亡者의 혼을 부르고, 예언을 하기도 하며, 특별한 능력을 가진 사람으로 특별한 임무를 수행한다고 인정된다고 하니 우리로 친다면 무당(박수)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 김헌선(1997), 한국 구전서사시의 역사적 전개, 한국구비문학회
    - 김헌선(1999), 함경도 무속서사시연구, 한국구비문학회
    - 박종성(1999), 한국 창세서사시 연구, 태학사
    - 백은주(2010), 현대 서사시에 나타난 서사적 주인공의 변모 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 신재관(2002), 인도 서사시의 전승과 연구동향, 한국구비문학회
    - 이주영(2012), 한국 중세 서사시의 서사 구성 방식과 장르적 특질, 서강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