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학] 17-18세기 조선의 교역과 은

 1  [국사학] 17-18세기 조선의 교역과 은-1
 2  [국사학] 17-18세기 조선의 교역과 은-2
 3  [국사학] 17-18세기 조선의 교역과 은-3
 4  [국사학] 17-18세기 조선의 교역과 은-4
 5  [국사학] 17-18세기 조선의 교역과 은-5
 6  [국사학] 17-18세기 조선의 교역과 은-6
 7  [국사학] 17-18세기 조선의 교역과 은-7
 8  [국사학] 17-18세기 조선의 교역과 은-8
 9  [국사학] 17-18세기 조선의 교역과 은-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사학] 17-18세기 조선의 교역과 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조선과 청나라의 교류

1. 조공책봉과 조공사행제도

2. 사절단이 휴대한 은의 용도와 출처

3. 조선과 청나라의 구체적 교역양상

Ⅲ. 조선과 일본과의 교류

1. 조선의 상황

2. 조선과 일본의 구체적 교역양상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지난 세기 후반까지 아시아의 ‘근대’는 일반적으로 ‘서양의 충격(Western impact)’과 그에 대한 ‘아시아의 대응(Asian response)'이라는 관점에서 설명되어 왔다. 즉, 유럽은 16세기 신항로의 개척 이래 세계로 팽창하는 과정에서 산업혁명을 이룩하였고, 그 결과 유럽의 자본주의와 근대 문명이 세계로 확산되어 갔다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방식을 따를 경우 중국의 경우 1840년 영국과의 아편전쟁에서 패배함으로써 비로소 정체되었던 전근대의 상황에서 깨어나게 되었고, 그 후 유럽 자본주의의 영향 하에서 공업화 혹은 산업화로 불리는 근대화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근대화의 패턴은 동아시아 혹은 아시아 각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역사 발전의 과정이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고전적 화폐사가들의 시각도 이와 다르지 않은데 ‘아메리카의 귀금속 생산-유럽으로의 유입-아시아로의 유출’, 이것이 이들이 그려놓은 큰 그림이다. 이 고전적인 그림이 의미하는 바는 강한 유럽과 유럽 중심의 세계관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유럽은 현지에서는 수요가 아주 약한 먼 이국에서 광산 개발을 주도하여 나머지 지역으로 송출했으며, 무엇보다도 아시아 시장을 개방하는 데에 이 자원을 사용했고, 또 이 과정을 주도하는 가운데 세계 경제에 대한 지배력을 키워간 것이 된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아메리카의 은만 유통되던 것은 아니었고 일본에서도 은이 대량으로 산출되었으며, 일본산 은을 매개로 한 동아시아 내부의 독자적인 화폐유통망이 형성되기도 했다. 즉 ‘아메리카의 귀금속 생산-유럽으로의 유입-아시아로의 유출’이라는 단순한 도식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들이 존재했다. 따라서 17~18세기에 아메리카 산 은이 아닌 일본산 은을 바탕으로 한 유통흐름의 구체적 고찰은 고전적 화폐사가들의 주장에 대한 하나의 반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Ⅴ. 참고문헌

주경철, 2008, 『대항해시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홍성구, 2008, 「조공무역체제론의 재검토」, 『근대 중국 대외무역을 통해 본 동아시아』, 동북아역사재단.
유적, 2009, 「淸나라시대의 對조선무역」,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하세봉, 1996, 「80년대 이후 일본학계의 “아시아 교역권”에 대한 논의 - 학문적 맥락과 논의를 중심으로」, 『중국현대사연구』 2.
문경호, 2009, 「은의 유통경로를 통해 본 17~18세기 동아시아의 국제교류」, 『역사와 역사교육』, 19호.
정성일, 「朝鮮의 銅錢과 日本의 銀貨 : 貨幣의 流通을 통해 본 15~17世紀 韓日關係」, 『한일관계사연구』, 20호.
한명기, 1992,「17세기 초 은의 유통과 그 영향」, 『규장각』, 제 15집.
김태훈, 2010, 「17~18세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학설사적 검토」,『동아시아 세계와 임진왜란』,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하고 싶은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