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

 1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1
 2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2
 3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3
 4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4
 5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5
 6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6
 7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7
 8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8
 9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9
 10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10
 11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11
 12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12
 13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13
 14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14
 15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15
 16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16
 17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17
 18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18
 19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19
 20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조대 서학 유입과 양상 -수용과 탄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머리말
Ⅱ. 서학 전래 수용
1. 서학 전래
2. 서학 수용
Ⅲ. 서학 인식
1. 과학기술로서 서학
2. 종교로서 서학
Ⅳ. 정쟁의 중심에 선 천주교
1. 천주교 신자들의 입지
2. 정쟁의 도구가 된 천주교
V. 천주교박해와 지하교회로 발전
1. 진산사건(珍山事件)
2.을사, 신해, 을묘박해
3.천주교의 지하교회로 발전
Ⅵ. 맺음말
본문내용

2) 신자들의 생활 조광. 「한국 천주교회사-초기부터 2000년까지」. 『한국천주교회총람1995-2003년󰡕.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4. p382

(1) 신앙생활
박해 시대 신앙의 핵심은 유일신 하느님에 대한 신앙이다. 초기 교회의 신자들이 가지고 있던 유일신 하느님에 대한 신앙은 절대적 하느님의 존재에 대한 인식이고 하느님 이외의 모든 존재를 상대화 하는 역할을 하는데, 당시 사회에서 절대적 존재로 인식되고 있던 왕권(王權)을 상대적인 것으로 인식하여 성리학적 윤리 교범의 권위에 도전함으로 보였다. 이에 신자들 가운데 몇몇은 당시 사회를 지탱하는 신분제의 권위를 부정하고 이를 타파하려하고 천주교만이 정학(正學)임을 강변하기도 했다.
박해 시기의 신자들은 조선이 가지고 있는 그 밖의 정신적 문화적 유산과 자신의 신앙을 조화롭게 해석할 수 있었다. 당시 사회에서 가장 존중되던 가치 충효였고 하느님을 대군부로 섬기는 충효의 영성을 실천하였다. 그런데 당시 집권층에서는 천주교를 불충불효의 종교로 규정, 무부무군(無父無君)이라 매도하였다. 이에 대한 대항논리는 그들의 천주교 신앙에서는 충효가 전제됨, 충효의 전통적 가치를 하느님에 적용 했고, 하느님의 충신이 되고 효자가 되기 위해서 자신의 목숨을 기꺼이 버릴 수 있었으며, 그들은 하느님의 선배와 열녀가 되어서 하느님에 대한 의리를 지키고자 하였다. 이처럼 그들은 조선의 전통적 가치와 그리스도교 신앙을 창조적으로 조화시켜 나갔다.
그리고 그들이 하나님을 섬기는 데에 실천한 충효는 유교적 가치일 뿐 아니라 불교적․무교적(巫敎的) 가치이기도 하였다. 초기 교회의 신자들이 자신의 교리를 이해하는 데에 배경 사상으로 당시 조선의 문화인 불교나 도교, 민간신앙 등 여러 종교문화가 들어가 작용한 것이다.
교회가 창설된 직후부터 조정에서는 천주교 신앙을 금지하였다. 그럼에도 초기 교회의 신도들은 조정의 탄압을 각오하면서 자신의 신앙을 실천해 갔고 신심 생활을 계속해갔고 창서 직후부터 일반 민중을 위하여 한글 교리서를 번역하여 보급했다. 또, 당시 신자들은 박해시대의 교회에서는 순교자들의 기록으로 용기를 길렀다. 「성녀 아가타」,「성녀빅토리아」등 로마시대 순교자들의 전기를 읽으며 신앙을 증언할 용기를 얻었고 한국 순교자들의 기록을 소중히 간직하며 순교자들을 자신의 모범으로 삼고자 했다.

참고문헌



강준만. 「제1장 천주교 박해」. 󰡔한국 근대사 산책 1권󰡕.인물과 사상사. 2007. p23.
고을희. 「정조대(正祖代) 서양 선교사와 양박(洋舶) 영입 시도」.『 敎會史硏究』No.25. 한국교회사 연구소. 2005. p263-315
김가람. 「이가경의 척사 활동과 공서파 형성에 끼친 영향」. 『敎會史硏究』No.30. 한국교회사연구소. 2008. p 47-73
노대환.「정조대 서양 과학기술의 수용과 정조의 서학 정책」. 『泰東古典硏究』. 제21집 2005. p127-171.
‘___’. 「19세기 전반 西洋認識의 변화와 西器受用論」. 『한국사연구』Vol.95 .한국사연구회. 1996. p109-137.
‘___’.「정조와 서학 수용」.『선비문화』. 제6호. 서울 : 남명학연구원. 2005. p14-19.
류인열, 「한국 천주교 전래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9. p.12-21.
박종현.「초기 한국 천주교의 변증론」,『교회사학』Vol.4 No.1, 한국기독교회사학회 . 2005. p22.
박현모. 「西學과 儒學의 만남 : 18C末 천주교 논쟁과 정조의 대응」. 『정치사상연구』 . 2001. p.1-25
方熙敎.「조선 후기의 천주교 전래 과정과 그 반향」. 서울신학대학교. 1979. p.19-74
백신욱. 「19세기 조선사회의 사상적 동향과 천주교」. 건국대 대학원. 2007. p.1-62
부남철.「유교적 학자군주 정조의 종교정책」.『한국정치학회보』제37집 2호. 한국정치학회. 2003. p47-65.
변주승. 「신유박해의 정치적 배경」.『韓國思想史學』vol.16 No.1. 한국사상사학회. 2001. 91-98
신복룡. 「천주학의 전래와 조선조 지식인의 고뇌 -마태오 리치를 유념하면서-」. 『한국정치학회보』Vol.31 No.2. 한국정치학회. 1997. 122-123쪽. 재인용.
조광. 󰡔한국 천주교회사-초기부터 2000년까지󰡕. 한국천주교회총람1995-2003년.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4. p37.
‘---’. 「조선후기 서학의 수용층과 수용논리」. 『역사비평』제25호. 역사문제연구소. 1994. p282-293.
‘---’.「천주교 초기 박해의 원인에 대한 재검토」. 『사목』 Vol.34 No.7.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사목). 1974. p36-42
안재순.「정조의 서학관」.『東洋哲學硏究』제27집. 東洋哲學硏究會. 2001. p59-86.
元載淵.「正祖代 西學과 天主敎 普及」. 서울大 大學院, 한국사론. 학위논문(석사): 국사학. 1991.
이동구.「조선후기 정치에 미친 서학의 영향 연구」. 동국대 대학원. p37-45.
이미진. 「조선후기 천주교 ‘女敎人 共同體家’의 형성과 변천과정 - 4대 박해를 중심으로 -」. 『성신사학』 Vol.12ㆍ13 . 동선사학회. 1995. p77-98.
이백훈. 「조선후기 천주교 수용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 『연세사회학』제3호.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1979. p123-138
이성배.「전통문화와 기독교의 갈등문제」.『인문과학연구』Vol.1.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1998. p155-185.
최석우. 「한국교회의 창설과 초창기 이승훈의 교회활동」. 『韓國敎會史의 探究』Ⅱ. 한국교회사연구소. 1991. p61-68
이원순. 「19세기 내포지방의 천주교 확산」. 󰡔대한지리학회지󰡕. Vol.34 No.4. 1999. p395-418
‘___’.「천주교의 수용과 전파 - 천주교박해와 지하교회로의 발전」. 『한국사』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2003. p109
전종익. 「정조시대 천주교 전래와 평등」.『法史學硏究』. 제40호. 2009. p.105-137
정용국.「조선시대 사상과 정치에 의한 천주교 수용의 배타성 연구」. 협성대 신학대학원. 학위논문(석사): 역사신학. 2000.
정태식. 「정조(正祖)대의 천주교 박해 과정에서 나타난 성리학의 역사성」. 『사회와 역사』60. 한국사회사학회. 2001. p11-33
차기진.「천주교의 유입과 지배층의 대응논리」. 『역사비평』제25호. 역사문제연구소. 1994. p294-30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