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방언 음운분석

 1  정선방언 음운분석-1
 2  정선방언 음운분석-2
 3  정선방언 음운분석-3
 4  정선방언 음운분석-4
 5  정선방언 음운분석-5
 6  정선방언 음운분석-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선방언 음운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음운체계

2. 음운현상

〈참고 문헌〉
본문내용
․ ‘ㅔ’와 ‘ㅐ’의 구별이 뚜렷하다.
개/게 때(옷에 검게 묻어 더러워지는 것)/떼(새나 짐승이 무리지어 있는 것) 밴다(아이를 배다)/ 벤다(나무를 베다)
․ ‘ㅟ’와 ‘ㅚ’가 단모음(ㅟ, ㅚ)으로 변별되긴 하지만 이중모음(ㅟ[wi], ㅙ)으로 발음되기도 한다.
‣이중모음체계
y계열: ㅑ ㅕ ㅛ ㅠ ㅒ ㅖ ㆉ() ᆖ(감) ㅢ
w계열: ㅘ ㅝ ㅙ ㅞ ㅟ


(3) 운소체계
발화에서 성조보다는 장단을 더 많이 찾을 수 있었다. 장음은 음절이 준 말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이때의 장음은 대립쌍이 없기 때문에 의미를 변별하는 기능이 아닌, 어감을 더 강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음절이 줄어든 것에 대한 보상심리로 일어난 것이다. 아:(=아이), 가:(=그 아이), 거:(=거기) 고조가 실현된 말로는 그 아이를 의미하는 'ˊ가:'를 찾을 수 있었다. 고조가 실현되지 않은 '가:'는 육지에 인접한 바다를 일컫는 말이다.

2. 음운현상
기본적으로 음절 말 중화현상, 비음동화(갓난[깐난]), 평파열음 뒤의 경음화(냅따) 유기음화(낳고[나코], 이렇게[이러케], 이래놓고[이래노코]) 등이 일어난다.

(1) 고모음화
강원도 방언의 특징을 조사하는 중에 ‘간극동화’ 현상이 있다는 것을 많이 볼 수 있었다. 간극동화의 간극이란 소쉬르가 말한 개구도(aperture)를 번역하는 말로 사용된다. 간극에 대한 정의는 학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긴 하나 입 벌림의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ㅂ'과 같은 폐쇄음은 가장 간극이 작고, 'ㅏ'와 같은 개모음은 가장 간극이 큰 소리라고 할 수 있다. 고모음화는 고모음을 택해 될 수 있으면 개구도를 줄이려는 현상이다. 그런데 ㅔ→ㅣ, ㅐ→ㅔ, ㅓ→ㅡ, ㅏ→ㅓ, ㅗ→ㅜ로 변하는 즉, 고모음화 되는 현상이 기존 연구에서 간극동화로 해석되는 것을 보면, 주변의 발음과 비슷한 입 벌림 정도를 유지하기 위해 고모음을 택하는 동화현상이라고 볼 수도 있다.
참고문헌
이진호,《국어 음운론 강의》,삼경문화사, 2011.
손웅일,〈정선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