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화] 중국의 주거공간

 1  [중국문화] 중국의 주거공간-1
 2  [중국문화] 중국의 주거공간-2
 3  [중국문화] 중국의 주거공간-3
 4  [중국문화] 중국의 주거공간-4
 5  [중국문화] 중국의 주거공간-5
 6  [중국문화] 중국의 주거공간-6
 7  [중국문화] 중국의 주거공간-7
 8  [중국문화] 중국의 주거공간-8
 9  [중국문화] 중국의 주거공간-9
 10  [중국문화] 중국의 주거공간-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문화] 중국의 주거공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중국의 주거공간의 의의



본론.
Ⅰ. 중국의 가옥의 종류
1. 사합원
2. 요 동
3. 이롱주택(석고문)
4. 객가(客家)의 방어용 주택 토루(土樓)

Ⅱ. 중국의 주거 형태를 구성하는 요소들
1. 물리적 요소
2. 사회 문화적 요소


Ⅲ. 중국의 보편적인 주택형태 - 사합원
1. 북경의 주택 - 사합원
2. 사합원의 공간구성
3. 사합원의 공간적 해석
4. 오늘날 북경의 주거환경


결론.
본문내용
서론. 중국의 주거공간의 의의

중국의 주거공간에는 중국인의 세계관과 종교관 그리고 그들의 사회 구조와 가족구조가 그대로 반영되어 있고, 세세하게는 개개인의 일상생활의 모습이 그곳에 투영되어 있다. 중국은 특히, 국토가 광대하고 지리, 기후 등의 자연조건과 지역적인 건축 재료 등의 차이로 인하여 각 지역의 가옥에는 여러 유형들이 존재하고 있고, 이를 알아봄으로써 중국인의 삶의 방식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이해해 보려고 한다.




본론.


Ⅰ. 중국의 가옥의 종류
1) 사합원
사합원은 명료한 위계질서를 가진 중국의 전통주거 유형이다. 그것은 원자(院子)라고 불리는 중정을 둘러싸고 건물들이 배치되는 중정형 주택이다. 이같이 하나의 중정을 둘러싸는 네 건물로 구성되는 전형적인 사합원의 공간구성은 이미 한대(漢代; B.C.206~A.D.220)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합원은 전통 중국 사회를 지배해 온 유교의 제도가 구현된 주택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베이징과 같은 도시지역에서 사합원은 후통(胡同 호동)이라고 불리는 골목길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2) 요 동
산서, 섬서, 감숙, 하남 등 황토고원 지대 주민들은 그 지역의 지질, 기후, 지형 등의 조건에 알맞은 요동이라 불리는 독특한 동굴집을 짓고 살았다.
시베리아로부터 세찬 바람에 실려온 누런 흙들이 쌓여서 이루어진 황토고원은 두께가 200m에 달하는 곳도 있다. 이 지역 사람들은 황토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황토를 파서 집을 지었는데, 그 방법에는 대개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천연 토벽에 가로로 동굴을 판 것인데, 보통 여러 개의 동굴을 서로 연결하거나 상하의 여러 층을 연결하였다.

3) 이롱주택(석고문)
이롱주택 (석고문)은 19세기 후반 상하이(上海)가 근대도시로 발전되는 과정에서 나타나 오늘까지 상하이시 중심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도시 집합주거 유형이다. 1850, 60년대 상하이 조계(租界)의 인구가 증가하자 영국상인 등 부동산업자들은 측벽을 맞댄 2층의 목판 목조가옥을 지었다. 그 후, 1870년경 방화(防火)를 위하여 목판을 벽돌벽으로 개량한 것이 이롱주택(里弄住宅)이라는 유형으로 자리잡는다.
참고문헌
손세관. 『 넓게 본 중국의 주택 (중국의 주거문화上) 』. 열화당미술책방. 2001
손세관. 『 깊게 본 중국의 주택 (중국의 주거문화下) 』.열화당미술책방. 2001
안옥희,윤재웅, 배정인 공저.『 주거학의 이해 』. 기문당. 1998
변성규. 『 중국 문화의 이해 』. 학문사. 200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