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와 애니메이션 속 `광의의` 중국 신화

 1  만화와 애니메이션 속 `광의의` 중국 신화-1
 2  만화와 애니메이션 속 `광의의` 중국 신화-2
 3  만화와 애니메이션 속 `광의의` 중국 신화-3
 4  만화와 애니메이션 속 `광의의` 중국 신화-4
 5  만화와 애니메이션 속 `광의의` 중국 신화-5
 6  만화와 애니메이션 속 `광의의` 중국 신화-6
 7  만화와 애니메이션 속 `광의의` 중국 신화-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만화와 애니메이션 속 `광의의` 중국 신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만화와 애니메이션 속 중국 신화
2-1. 「최유기」 안에 『서유기』 있다
2-2. 「성전」 안에 ‘불경신화’ 있다
2-3. 「봉신연의」 안에 ‘선화’ 있다
2-4. ‘소년음양사’ 안에 ‘12천장’, ‘산해경’ 있다
3. ‘엄숙한 신들’이 주목받지 못하는 이유
4.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2. 만화와 애니메이션 속 중국 신화
2-1.「최유기」 안에 『서유기』 있다
『서유기』는 명나라 때 오승은의 저서로, 7세기에 당나라의 현장법사가 타클라마칸 사막을 지나 북인도에서 대승(大乘)불전을 구하고 돌아온 고난의 사실(史實)에 입각한다. 네이버 백과사전 참조.
『서유기』를 과연 신화로 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있을 수 있는데, 오승은이 『서유기』를 집필하기 전인 당나라 말기부터 이미 이를 전설화한 이야기가 전래되었다는 사실과, 『서유기』 자체에 불경신화와 선화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을 생각해볼 때, 완전히 ‘신화’로 보기는 어렵다 할지라도 많은 ‘신화적 요소’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서유기』의 기본 줄거리는 불전을 구해 오라는 당나라 황제의 칙명을 받은 삼장 법사가 손오공, 사오정, 저팔계와 함께 수많은 고난을 헤치고 마침내 목적지에 도달해 끝내 부처가 된다는 이야기이다. 「드래곤볼」, 「날아라 슈퍼보드」등 많은 만화들이 이러한 『서유기』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는데, 미네쿠라 카즈야의 「최유기」도 그 중 하나이다. 사실 『서유기』라 하면 으레 「날아라 슈퍼보드」의 주인공과 같은, 꼬마 원숭이인 손오공과 돼지의 형상을 충실하게 재현해 놓은 저팔계, 그리고 무슨 동물인지 알 수 없는 사오정과 나이가 지긋하신 삼장 법사의 이미지를 떠올렸던 나로서는 「최유기」에 등장하는 늘씬한 8등신의 미남들을 보며 ‘등장인물의 이름이 같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 작품과 『서유기』의 접점을 발견하기 매우 힘들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최유기」 안에 정말 『서유기』가 있는지 알아보자.
맨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사오정, 삼장, 저팔계, 손오공
일단 주인공들의 이름은 현장 삼장,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으로 『서유기』의 주인공들의 이름과 모두 같다. 또한 그들이 모종의 목적을 가지고 함께 서역의 천축으로 향한다는 설정, 그리고 그 여정 동안에 수많은 역경과 시련이 난무하다는 설정 역시 같다. 이렇듯 굵직한 설정은 기본적으로 『서유기』를 충실하게 따르고 있다는 점에서 「최유기」는 확실히 『서유기』를 바탕으로 한 만화임에 틀림없다. 그런데 미네쿠라 카즈야는 여기에서 멈추지 않고 자신의 상상력을 발휘하여 「최유기」라는 새로운 이야기로 재생산해냈다. 이 만화에서 삼장 법사는 머리를 민 노승이 아니다. 어깨까지 오는 금발에 보라색 눈을 가진, 권총을 즐겨 사용하는 미청년이다. 사오정과 저팔계 역시 미청년, 손오공 또한 미소년이다. 그들이 천축으로 향하는 이유는 불전을 구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들이 사는 세계인 ‘도원향’의 균형을 해치는 우마왕의 소생실험을 저지하기 위해서이다. 우마왕의 소생실험은 도원향에서 인간과 평화롭게 공존하고 있던 요괴들을 폭주시켜 도원향의 균형을 깨뜨린다. 이를 저지하라는 불교의 삼불신의 명령으로 인간인 현장 삼장과, 폭주하지 않은 요괴인 사오정, 저팔계, 그리고 손오공은 천축을 향해 여행을 떠나게 된다. 이렇듯 「최유기」는 『서유기』라는 기본적 토대 위에 작가의 상상력을 덧입힌 작품으로, 『서유기』를 토대로 한 많은 만화와 애니메이션 중에서도 수작으로 꼽히는 만화이다. 개인적으로는 오승은의 『서유기』와 「최유기」를 비교해가며 읽는 것도 흥미로운 독서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2-2. 「성전」 안에 ‘불경신화’ 있다
제석천과 아수라왕
「성전(聖傳)」은 CLAMP의 작품으로, 야차왕이 잠들어 있던 아수라를 깨우고, 천계의 독
참고문헌
전인초 외, 『중국신화의 이해』, 아카넷, 2002
미네쿠라 카즈야, 「최유기」, 학산문화사, 1999~
CLAMP, 「성전」, 서울문화사, 1996
후지사키 류, 「봉신연의」, 대원씨아이, 1998~2001

네이버 백과사전(dig.naver.com)
http://deephyesung2.hihome.com/bong.htm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