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

 1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1
 2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2
 3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3
 4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4
 5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5
 6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6
 7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7
 8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8
 9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9
 10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10
 11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11
 12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12
 13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13
 14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14
 15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15
 16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16
 17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17
 18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18
 19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19
 20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혼의 부정적 영향과 사회적 제도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이혼의 원인과 배경
1) 이혼의 원인
2) 이혼의 배경과 사회적 인식
3) 이혼을 바라보는 이중적 인식
2. 이혼의 종류와 절차
3.이혼 사례

Ⅱ. 본론
1. 이혼에 대한 다양한 접근
1) 대립적 견해
2) 사회적 접근
3) 사회복지적 접근
2.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이혼의 부정적 영향
1) 경제적 어려움
2) 자녀의 적응
3) 이혼자의 심리적 상태
3. 이혼가정에 대한 사회적 제도
1) 외국
2) 국내
4. 이혼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한 대안
1)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2) 사회적 지지
3) 그 밖의 대안

Ⅲ. 결론
결론 및 제언

Ⅳ. 침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이혼의 원인과 배경
1) 이혼의 원인

(1) 이혼의 정의
이혼의 사전적 정의로는 이혼이란 부부가 그 혼인관계를 해소시키는 일로 정의된다.(학원세계대백과, 1993) 이혼이라 함은 법률상으로 유효하게 성립된 부부 쌍방이 생존 중에 협의 또는 재판상의 청구에 의하여 혼인관계를 해소시킴으로서 결혼으로 인하여 발생했던 일체의 효과를 소멸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2012년 인천시 혼인율 전년 대비 0.4%,
이혼율 6.8% 각 각 증가
2013-05-22 KNS 뉴스통신 박상도 기자

2012년 인천시의 혼인과 이혼율이 모두 증가 했다.
2012년 인천시 혼인 건수는 18,079건으로 전년대비 66건으로 0.4% 증가했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 32.0세, 여 29.5세로 전년대비 남자 0.2세, 여자 0.3세 상승한 반면 조(粗)혼인율(인구 1천명당 혼인건수)은 6.5건으로 전년대비 0.1건 감소했다.
초혼 부부 중 남자연상부부 비중은 감소세를 보인 반면 여자연상부부 비중은 증가세를 보였다.
-중 략-

아울러, 2012년 인천시 이혼건수는 7,306건으로 전년 대비 466건, 6.8% 증가 했다.

평균이혼연령은 남자 45.6세, 여자 42.3세이며 조(粗)이혼율(인구 1천명당 이혼건수)은 2.6건으로 전년 대비 0.1건 증가했다.

남자의 주 이혼 연령층은 40대 초반이며, 50대 초반 이혼은 전년대비 15.4% 증가했으며 여자의 주 이혼 연령층은 40대 초반이며, 50대 초반의 이혼은 전년대비 22.7% 증가했다.
혼인지속기간 20년 이상 부부의 이혼이 27.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미성년 자녀가 있는 부부의 이혼 비중은 54.1%, 10년 전 71.5% 대비 17.4%p 감소했다.
협의에 의한 이혼은 전체 이혼 중 76.5%, 10년 전 대비 10.2%p 감소했으며 조이혼율은 중구.동구.남구가 2.9건으로 가장 높았다.

외국인과의 이혼은 671건으로 전년대비 7.0% 증가했으며 총 이혼 중 차지하는 비중은 9.2%로 전년 9.2% 수준이다.

참고문헌
이은주(2008), 이혼가정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최대유사체계분석기법에 의한 4개국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행정법무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지영(2002), 부모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유연성(Resilience) 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경아(2008), 한부모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가족보호요인의 영향에 관한 연구 : 이혼가정을 중심으로, 위덕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석서학위 논문.
성기산(2011), 이혼 예방을 위한 신앙성숙과 이혼 인식 및 이혼 의도와의 상관관계성 연구
, 총신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최경숙(2009), 사회적 지지가 이혼 후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인희(2010), 집단미술치료가 이혼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 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설화(2011),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모자보호시설 이혼여성의 불안,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미경(2009),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이 이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기애(2009), 이혼가정 아동을 위한 스트레스 극복 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조절 및 정서표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재식(2009), 독서치료를 통한 이혼여성의 부정적 정서 회복 과정에 관한 연구, 평택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최정숙(2006). 여성의 이혼과정, 한국 가족치료학회지.
최경숙(2009), 사회적 지지가 이혼 후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김옥경(2012), 이혼을 경험한 중년여성의 자존감 회복에 관련한 연구, 경북외국어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옥선화 외(2006), 이혼자들의 이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 24권 제 1호 통권 제 79권.
이선의(2010), 이혼후의 자녀양육 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한국법과 중국법을 중심으로 인천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