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

 1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1
 2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2
 3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3
 4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4
 5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5
 6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6
 7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세한국어] 중세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며
2. 상징부사의 어형 구성
2.1 단형 상징부사
2.2 첩형 상징부사
3. 전성 상징부사
4. 전성 유형
5. 생리적 의성부사
6. 나가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여러 언어들 가운데 국어처럼 의성어, 의태어를 풍부하게 가진 언어는 드물다. 한자어와 외래어에 떠밀려 고유어의 영토가 날로 좁아져 가고 있는 현실에서, 원칙적으로 모두가 고유어인 의성어 의태어는 우리말의 보물창고이다.
의성어와 의태어는 일반적으로 상징어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의성어와 의태어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상징부사의 범주에서 알아보았다.

2. 상징부사의 어형 구성
상징부사는 크게 단형상징부사와 첩형상징부사로 나눌 수 있다. 단형 상징 부사는 첩형이 아닌 상징 부사를 가리키는 것으로 '툭', ' 탁' 등이 이에 속환다. 완전단형어와 접미단형어의 두 가지가 있다. 첩형상징부사는 비슷하거나 같은 형태의 음절이 중첩되어 있는 형태로서 '퐁당퐁당' '깡충깡충' 등이 이에 속한다. 완전첩형부사와 불완전첩형부사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2.1 단형 상징부사
(1) 완전단형어
완전단형어란 접미단형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접미사가 붙지 않는 독립적인 형태를 말한다. 다음에 드는 상징 부사들은 완전단형어들로, 이를 음절수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