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용어의 역사 레포트

 1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1
 2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2
 3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3
 4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4
 5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5
 6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6
 7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7
 8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8
 9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9
 10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10
 11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11
 12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12
 13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13
 14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14
 15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15
 16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16
 17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17
 18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18
 19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19
 20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차용어의 뜻

2.고대 차용어

3.중세 차용어

4.근대 차용어

5.현대 차용어
본문내용
차용어

체계가 다른 언어체계의 어휘에서 빌려온 단어.
외래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때가 많다.
현대어 속에 다시 도입된 고어나,
어떤 방언이 다른 방언에서 어휘를 취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다른 언어나 방언의 요소를 받아들여 사용하는 것

고대국어

고대국어는 신라 ·백제 ·고구려 3국 시대의 언어를 통칭
오늘날의 국어는 신라어를 근간으로 하고
백제어 ·고구려어의 요소가 섞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신라어를 중심으로 한반도의 언어통일

고대 국어의 특징

한반도에 국가가 생긴 고대 초기부터 중국어의 유입이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측

한문과 함께 문어로 차용된 것이 대부분이나, 직접 구어로 차용된 예도 있음
ex) 배추(白菜), 상추(常菜), 붓(筆), 먹(墨), 자주(紫的), 비단(匹緞)
→ 지금은 고유어처럼 사용

6세기 경, 8세기 경에는 문자 개혁 정책으로 인해 전면적으로 한자를 차용
신라 지증왕 4년(523) 국호를 신라로 정하고 마립간 호칭을 왕이라고 개칭,
관직명, 인명, 지명 등을 한자어로 교체.
8세기 중엽(757) 경덕왕 때 전국의 지명을 한자로 변경

통일신라시대에는 당(唐)과의 교류로 인해 본격적인 한자와 한문의 도입이 가속화

불교가 삼국시대~고려시대의 국교였던 탓에 범어(梵語, 산스크리트어)도 차용
ex) ‘人’: 범어 = 마도사남(摩舍喃) , 우리말 = 사람
‘海’ : 범어 = 보타(普陁), 우리말 = 바다

고대 국어의 어휘

「삼국사기」,「삼국유사」등 고유명사 표기 자료 중 지명자료를 이용해 어휘 연구
복수로 표기된 것이 많음
삼국사기 지리지에 옛 지명을 중국식 2자 지명으로 고친 자료 수록
ex) 수곡성현은 매단홀이라고도 한다. 水谷城縣 一云買旦忽 (권 37 고구려 지리)
마돌현은 마진이라고도 한다. 馬突縣 一云 馬珍 (권 37 백제 지리)

우리 고유의 문자가 없어 한문을 국가 통치, 학술활동, 역사기록에 널리 사용
-최초의 한자어 차용 기록은 신라 지증왕 때 국호와 왕호를 바꾼 것
서야벌(徐耶伐), 사라(斯羅), 사로(斯盧) → 신라(新羅)
거서간(居西干), 차차웅(次次雄), 니사금(尼師今), 마립간(麻立干) →왕(王)

한자어 차용 유형
1) 기존의 고유어와 한동안 공존→ 한자어가 고유어를 밀어내고 정착
2) 우리말 어휘가 형성되기 전에 한자어가 들어와 우리말 어휘로 정착
참고문헌
이광숙, 「한국어에 동화된 독일 차용어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 논문, 2004

이익섭 외,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2001

이현규, 『우리말 우리글의 이해』, 문창사 1995

유재원, 『새국어생활 14-2』, 「외래어의 올바른 수용태도」, 국립국어연구원, 2004 .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