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

 1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
 2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2
 3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3
 4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4
 5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5
 6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6
 7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7
 8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8
 9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9
 10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0
 11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1
 12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2
 13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3
 14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4
 15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5
 16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6
 17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7
 18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8
 19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9
 20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고대사회의 신분과 계층
1) 신분, 계급, 계층의 개념 및 정의
2) 관등제의 기원과 성립
3) 관료제 운영과 신분규제
4) 골품제와 양천제


Ⅲ. 고려사회의 신분과 계층
1) 양천제론과 4신분제론
2) 양반과 귀족
3) 중간계층
4) 백정과 정호
5) 향․소․부곡민

Ⅳ. 조선사회의 신분과 계층
1) 조선 초기의 양천제와 국역체제
2) 사족층의 성장
3) 반상제의 확립과 신분제의 변동

Ⅴ.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역사에서 근대와 전근대를 구분하는 큰 지표 중의 하나는 신분제의 존재 여부이다. ‘신분에서 계약으로’라는 표현이 말해 주듯이 신분제는 서구 근대 시민사회의 성립과 함께 역사에서 사라져 갔다. 시민혁명으로 구체제가 무너지면서 만인은 법 앞에서 평등함을 천명할 수 있게 되었고, 혈통에 따라 사회적 지위가 세습되도록 규정된 신분법제는 몇몇 특수한 예를 제외하고는 더 이상 용납될 수 없게 되었다. 불평등 자체가 사라진 것은 아니었지만, 시민사회의 성장에 힘입어 신분제라고 하는 법제적․형식적 불평등체계를 종식시킬 수 있었던 것은 근대사회가 달성한 큰 성과 중의 하나이다.
전근대사회에서는 이러한 신분제를 통해 법제적으로 사회구성원들의 사회적 지위를 규정함으로써 지배체제를 유지하였다. 법제적 신분의 내부에는 각 집단 사이에 실제적인 여건의 차이로 여러 계층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다른 신분이나 계급 사이의 상하 이동은 거의 폐쇄적이었으나 신라와 같이 폐쇄성이 강한 사회를 제외하면 같은 신분과 계급 안에서는 개인의 능력에 따른 계층이동은 어느 정도 가능하였다. 신분제는 한 사회의 모든 구성원의 삶에 직․간접적으로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으므로, 신분제 연구는 당시대의 계층체계의 구명에 목표가 있는 것이지만 나아가 당시 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이해하는 바탕이 된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에 관한 그동안의 연구 성과와 그와 관련된 논쟁점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Ⅱ. 고대사회의 신분과 계층

1) 신분, 계급, 계층의 개념 및 정의

한 사회의 불평등체계를 설명해 줄 수 있는 용어로는 신분, 계급, 계층이 존재한다. 이들 세 용어들은 각각의 용어들이 설명해 줄 수 있는 모습의 한계를 보완해주며 구조화된 사회적 불평등체계를 드러낸다.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기에 앞서, 이들 용어의 개념 및 정의를 명확하게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2003), 『한국사 25.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국사편찬위원회(2003), 『한국사 34, 조선 후기의 사회』
김성우(2000), 「조선시대 ‘사족’의 개념과 기원에 대한 검토」,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작과
비평사
김성우(2001), 『조선중기 국가와 사족』, 역사비평사.
김영심(2009), 「6~7세기 삼국의 관료제 운영과 신분제 : 衣冠制에 대한 검토를 기반으로」, 『韓國古代史硏究』54.
박용운(2008), 「신분제도」, 『고려시대사』, 일지사.
서의식 외(2002),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1』, 솔.
서의식(2003), 「신라 중위제의 추이와 지배신분층의 변화」, 『역사와 현실』50.
역사비평 편집위원회(2002), 「고려시대의 신분제」, 「고려사회의 성격론」 『한국 전근대사의 주요 쟁점』, 역사비평사.
이도학(2003), 『살아있는 백제사』, 휴머니스트.
정동준(2010), 「백제 관등제의 변천과 의사결정구조」, 『한국사연구』149.
풀빛한국사연구회(2008), 『한국사 길잡이 上』, 지식산업사.
하일식(1991), 「6세기 신라의 지방지배와 외위제」.『學林』12・13.
한국고문서학회(2006), 『동아시아 근세 사회의 비교 -신분, 촌락, 토지소유관계』, 혜안.
한국역사연구회(1995), 「신분구조와 직역」, 『한국역사입문②』
한국사특강편찬위원회(2008), 『한국사특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