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학생의 과학교수방법

 1  청각장애학생의 과학교수방법-1
 2  청각장애학생의 과학교수방법-2
 3  청각장애학생의 과학교수방법-3
 4  청각장애학생의 과학교수방법-4
 5  청각장애학생의 과학교수방법-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청각장애학생의 과학교수방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청각장애학생의 과학교수방법』


과학은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의 분야를 포괄하는 통합적인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과학은 다른 사회분야와는 비교가 되는 특성, 즉 생각하는 방법, 탐구방법, 언어체계 등을 가지고 있다. 즉, 주변에 쉽게 접할 수 있는 자연이나 사물을 보고, 듣고, 느끼면서 많은 것을 발견하고 주변에 호기심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호기심은 단순한 지식의 전달이 아닌 사물과 현상을 의미 있게 이해하고 조절하는 실증적․논리적․과학적 사고를 통해 충족하게 된다. 이러한 사고 형성을 도와주는 것이 바로 과학인 것이다.
과학을 이렇게 광범위하게 정의하면 과학교육은 모든 교육과정의 기초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과학교육은 청각장애학생들에게 있어 경험적인 기반을 확대하여주고, 사회활동에 중요한 기술과 지식을 제공할 수 있다. 과학학습에 있어서 실제적인 경험은 필수적이나, 과학개념을 배우기 위해서는 충분하지 않다. 과학의 언어에 대한 접근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청각장애학생들의 과학의 언어에 대한 개념 이해를 위해 사전경험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과학에 접근한다면 과학개념에 대한 이해는 더욱 활성화 될 것이다.
이러한 접근을 위해 필요한 것이 구성주의적 접근이다. 구성주의에서 지식은 외부 세계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구성으로 간주하며, 지식 획득 즉, 학습은 개인에게 ‘진리의 덩어리’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구성이라고 본다. 학습자를 수동적인 지식 수용자로 보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하는 주체자로 간주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구성주의 관점은 사전지식을 기초로 한 능동적인 구성이다. 학생들은 그들의 사전지식을 기초로 스스로 새운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비록 모든 개인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여야 한다고 하지만, 그 구성 과정은 항상 사회적 구성 요소를 수반하므로 지식은 항상 어떤 사회적 상황 속에서 구성된다고 본다.
구성주의적인 접근을 바탕으로 청각장애학생들을 위한 과학 문해 교수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1. science reading
과학 text와 주제, 과학, 과학 text에 대한 독자의 경험과 기억,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의 science reading 과정 중에서 이해에 대해 협상함으로써 독자는 의미를 생성한다. science reading의 사회 구성주의 모델은 사전지식(prior domain and topic knowledge), 전략(science reading strategies), 의미 생성에 대한 초인지적 인식(metacognitive awareness)과 실행 통제(executive control)를 중요한 것으로 간주한다. 의미생성은 독자의 초인지적 인식과 실행 통제에 의해 조정되며(Garner, 1994), 초인지는 과제, 주제, 사고에 대한 지식의 의식적인 자기-평가(self-appraisal) 즉, 인식(awareness)이고, 실행 통제(executive control)는 인지적 과정과 관련된 의식적인 자기-관리(self-management)이다(Jacobs & Paris, 1987). Jacobs & Paris는 self-appraisal과 self-management를 세 가지
참고문헌
Harry G. Lang and John A. Albertini (2001). Construction of Meaning in the Authentic Science Writing of Deaf Student. Journal of Deaf Studies & Deaf Education, 6(4), 105-122.
Holliday, W. G., Yore, L. D., & Alvermann, D. E. (1994). The Reading-Science Learning-Writing Connection: Breakthroughs, Barriers, and Promises. Journal of Deaf Studies & Deaf Education, 5(1), 105-122.
Yore, L. D. (2000). Enhancing Science Literacy for All Students With Embedded Reading Instruction and Writing-to Learn Activities. Journal of Deaf Studies & Deaf Education, 5(1), 105-122.
강인애 등 (2002). 구성주의와 교과교육. 서울: 한국교원대학교 초등학교연구소. 문음사.
김지숙․김영욱 (2002). 시각자료와 설명자막의 활용이 청각장애학생의 과학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언어청각장애연구 7(3), 144-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