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학] 문제중심학습(PBL)

 1  [교육공학] 문제중심학습(PBL)-1
 2  [교육공학] 문제중심학습(PBL)-2
 3  [교육공학] 문제중심학습(PBL)-3
 4  [교육공학] 문제중심학습(PBL)-4
 5  [교육공학] 문제중심학습(PBL)-5
 6  [교육공학] 문제중심학습(PBL)-6
 7  [교육공학] 문제중심학습(PBL)-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공학] 문제중심학습(PBL)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문제중심학습의 개념

2.문제중심학습의 근본원리

3. 문제중심학습의 특징 및 목적

4. '문제'의 성격과 문제해결과정

5. 문제중심학습의 단계

6. 문제중심학습 진행

7. 문제중심학습의 중요성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제중심학습은 강의법을 지양하고, "문제(Problem)"를 제시하여 그것의 해결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진다. 실제 사회에서와 같은 복잡하고 비구조적이며 실제적인 특성을 지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은 문제 해결을 위한 학습목표를 토론을 통하여 스스로 정하고, 역할을 분담하여 개별학습 과제를 정하고,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서 관련 지식을 익히고, 문제해결능력 및 협동학습능력과 자율학습능력을 기르는 학습자중심의 학습으로 이루어진다. 한마디로 학습자들이 당면하고 있거나 당면하게 될 수 있는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과 결과를 통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 학습모형이다. 이러한 문제중심학습은 1969년 캐나다 McMaster 의과대학에서 하나의 교육방법으로 시작되었다. Barrows는 의과대학에서 교수로서 활동하면서 느꼈던 기존 교육환경의 비현실성, 부실성 등의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PBL을 채택하였다.
PBL은 상대주의적 인식론에 바탕을 둔 구성주의의 학습모형이다. 상대주의적 인식론으로서의 구성주의의 특징은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을 강조한다. 즉, 지식은 개인의 인지작용에 의해서만 습득되고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속해 있는 사회의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그리고 사회구성원으로 참여함으로서 지식을 습득한다고 본다. 이러한 PBL의 인식론은 학습구조를 자율학습과 협동학습으로 구성되어지는 이론적 근거가 된다. 또한 지식의 구성이 인지적 작용과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구성된다는 것은 학습자의 직접 체험학습과 특정 사회에 대한 문화적 동화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참고문헌
강인애. 문제중심학습: 또 하나의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모형, 구성주의 교육학, 교육 과학사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정보화시대와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서울: 문음사.
강인애. 문제중심학습과구성주의 이론,21세기를 향한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제
강인애, 이민수, 김종화, 이인수(1999).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의 개발 사례: 초등, 고등, 대학교 의 경우. 교육공학연구. 15(1), 301-330.
박성익. 수업방법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변영계, 김영환(1996).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Allen, D. e., Duch, B. J. & Groh, S. E.(1996). The power of problem-based learning
http://blog.naver.com/hongjig/140008622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