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지학] 질소고정하는 단생미생물에 대하여

 1  [초지학] 질소고정하는 단생미생물에 대하여-1
 2  [초지학] 질소고정하는 단생미생물에 대하여-2
 3  [초지학] 질소고정하는 단생미생물에 대하여-3
 4  [초지학] 질소고정하는 단생미생물에 대하여-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지학] 질소고정하는 단생미생물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질소고정하는 단생미생물
1. 호기성 미생물
2. 조건적 혐기성 미생물
3. 절대적 혐기성 미생물
4. 광합성 미생물
5. 기타의 단생 질소고정 미생물
각각의 미생물에 대하여 설명
본문내용
1888년에는 R. Koch의 순수배양용 고형배지가 개발되었고, 이어 근류균의 순수분리도 Beijerinck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1893년 S. N. Wingradsky는 질화세 균의 분리에 사용된 집적 배양법을 이용하여 혐기성 질소 고정균을 분리하였다. 즉 당과 무기염류만으로 된 무질소 배지에 흙을 접종하여 산소제한 조건에서 혐기성 질소 고정균인 Clostridium pasteurianum을 분리한 것이다. 1901년 Beijernck는 Winogradsky의 방법으로 조건을 바꾸어서 다른 종류의 탄소원을 이용하여 호기적 조건에서 토양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Azotobacter chroococcum과 수권에 분포하는 Azotobacter agite의 2종의 호기성 질소 고정균을 분리하였다. 그러나 이 Azotobacter의 질소고정이 켈달 법으로 증명된 것은 수년 후(1908년)의 일이었다.
이렇게 하여 오늘날 대표적 질소 고정균이라고 생각되는 공생적 질소 고정균, 혐기적 질소 고정균 및 호기적 질소 고정균이 순수 분리되어, 20세기에 들어와서는 미생물에 있어서의 질소고정의 연구가 개시되었다. 이 가운데 근류균-콩과식물의 공생류는 농업상 중요하며, 그 질소 고정량이 자연계에서 가장 많고, 또한 공생계가 생물학적으로 흥미 있는 현상이므로 널리 각 방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졌었다.
그중 현재 전형적인 단생 질소 미생물로 인정되고 있는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참고문헌
1. 송승달, 질소고정, 1983, 민음사.
2. W. G. 홉킨스 지음, 권덕기 외 4명 옮김, 식물생리학, 2001, 을유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