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시가] 민요의 연행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성 -『일노래』와 『아라리』를 중심

 1  [구비시가] 민요의 연행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성 -『일노래』와 『아라리』를 중심-1
 2  [구비시가] 민요의 연행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성 -『일노래』와 『아라리』를 중심-2
 3  [구비시가] 민요의 연행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성 -『일노래』와 『아라리』를 중심-3
 4  [구비시가] 민요의 연행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성 -『일노래』와 『아라리』를 중심-4
 5  [구비시가] 민요의 연행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성 -『일노래』와 『아라리』를 중심-5
 6  [구비시가] 민요의 연행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성 -『일노래』와 『아라리』를 중심-6
 7  [구비시가] 민요의 연행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성 -『일노래』와 『아라리』를 중심-7
 8  [구비시가] 민요의 연행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성 -『일노래』와 『아라리』를 중심-8
 9  [구비시가] 민요의 연행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성 -『일노래』와 『아라리』를 중심-9
 10  [구비시가] 민요의 연행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성 -『일노래』와 『아라리』를 중심-10
 11  [구비시가] 민요의 연행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성 -『일노래』와 『아라리』를 중심-11
 12  [구비시가] 민요의 연행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성 -『일노래』와 『아라리』를 중심-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시가] 민요의 연행적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성 -『일노래』와 『아라리』를 중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民謠의 특성
Ⅲ. 『일노래』의 특성
Ⅳ. 『아라리』의 특성
Ⅴ. 『일노래』와 『아라리』에서 나타나는 性의 차이점
1. 화자 설정의 양상
2. 性적 표현의 양상
3. 性적 소재의 대상화 시각
Ⅵ. 나가며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민요는 창자가 노래하는 시간과 청자가 듣는 시간이 동일한 동시성을 지니고 있는 공유물이다. 그리고 이러한 민요의 특성은 민요의 향유자들이 서로 큰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따라서 민요는 집단적인 시학의 양상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장르라고 할 수 있으며, 한민족 공동의 전통성에 의한 구조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기록문학과 비교하여 생성론적 입장에서 공감대에 기반을 두고 있는 이러한 민요의 특성은, 민요의 소재와 내용이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향유층의 생활상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는 형태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것은 연행자의 위치나 연행되는 상황에 따라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민요에서 性을 소재로 다루고 있는 경우 성에 대한 관심과 욕구는 성별에 관계없이 본능적으로 동일하게 주어져있지만, 이것이 연행될 때는 연행자의 성별과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일노래’중 남성 연행자들에 의해 주로 노래된 ‘모내기 소리’ 같은 경우 종교적이고 주술적인 의미로 性에 대한 직설적인 묘사들을 찾아볼 수 있지만, ‘아라리’중 유희요에 속하는 여성 창자들에 의한 노래들은 이와 반대되는 양상들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性을 소재로 하고 있는 민요는 특정한 기능의 민요에 한정되어 나타나지 않고 노동요나 유희요 등 민요의 여러 종류에 널리 나타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으며, 각 기능요의 연행자 성별에 따라 이것이 다른 관점에서 연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좌혜경, 韓國民謠의 辭說構造 硏究,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2
김헌선, 한국 구전민요의 세계, 지식산업사, 1996
강등학, 한국 민요의 현장과 장르론적 관심, 집문당, 1996
박경수, 한국 민요의 유형과 성격, 국학자료원, 1998
조경만, 전남지역 논일노래 및 관련 연행의 세계, 농민의 일과 놀이,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