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구비문학론] 민요

 1  [한국구비문학론] 민요-1
 2  [한국구비문학론] 민요-2
 3  [한국구비문학론] 민요-3
 4  [한국구비문학론] 민요-4
 5  [한국구비문학론] 민요-5
 6  [한국구비문학론] 민요-6
 7  [한국구비문학론] 민요-7
 8  [한국구비문학론] 민요-8
 9  [한국구비문학론] 민요-9
 10  [한국구비문학론] 민요-10
 11  [한국구비문학론] 민요-11
 12  [한국구비문학론] 민요-12
 13  [한국구비문학론] 민요-13
 14  [한국구비문학론] 민요-14
 15  [한국구비문학론] 민요-15
 16  [한국구비문학론] 민요-16
 17  [한국구비문학론] 민요-17
 18  [한국구비문학론] 민요-18
 19  [한국구비문학론] 민요-19
 20  [한국구비문학론] 민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구비문학론] 민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기 전에
2 민요의 개념 및 특성
3 민요의 사적 전개
4 민요의 연구사 개략
제1기 민요연구
제2기 민요연구
제3기 민요연구
5 민요의 분류와 종류별 양상
가 노동요
1) 노동요의 개념과 범주
2) 노동요의 분류와 기능별 양상
나 의식요
1) 의식요의 개념과 범주
2) 의식요의 분류와 종류별 양상
다 유희요
1) 유희요의 개념과 범주
2) 유희요의 분류와 종류별 양상
6 민요의 기능론
7 민요의 가창 방식
8 민요의 사설론
가 사설의 구성 형식
나 사설의 내용과 성격
다 사설의 구연 양상
9 민요 전승의 의미
10 민요의 현대적 활용①
11 민요의 현대적 활용②
12 마치면서
본문내용
1. 들어가기 전에

'민요', 명칭 자체가 민중의 노래이다. 민중은 바로 우리 민족이며, 노래는 우리의 생활을 드러낸다. 바로 민요는 우리 민족의 생활을 드러내는 또 하나의 장르적 위치를 차지한다.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를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노라면 그 당시 우리네 민족이 무엇을 입고 마시고 즐겼는지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세밀한 표정 묘사와 몸의 움직임을 통해서 그네들의 감정들까지 파악할 수 있다. 민요도 마찬가지이다. 민요의 음악적 부분과 사설의 조화를 통해서 우리네 민족의 생활과 애환 그리고 삶의 전반적인 모습을 느낄 수 있다. 이어질 본 조사는 먼저 민요의 개념과 특성으로 시작하여 현대적 수용에 이르기까지 개괄적인 설명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더욱 중요하는 것은 민요도 또 하나의 예술로서 수용자의 태도와 감상자의 마음가짐일 것이다. 단순히 민요의 개괄적인 설명에 그치지 않고, 민족적 정서에 한껏 취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어떨까 한다.

2. 민요의 개념 및 특성

민요는 생활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익히게 되는 것으로 전문성이 약하다. 민요는 전문성이 없는 일반적인 민중의 노래라는 점에서 노래로 된 다른 구전물과 구별된다. 민요는 민중들이 그들의 일상적인 삶을 통해 불러온 노래이다. 민요는 민중들이 자신들의 생활에 필요하여 부르는 노래다. 민요는 기본적으로 스스로 즐기고 만족하기 위해서 부른다. 민요는 듣는 이 없이 혼자 부를 수 도 있고 모두 다 함께 노래에 참여할 수도 있다. 또는 여럿이 있으면서 창자와 청자의 관계가 미리부터 정해져 있지 않다. 민요는 민족적으로 지역적으로 그리고 계층적으로 그 고유성이 강하게 유지되는 노래다. 민요는 민중의 생각을 보다 직접적으로 자유롭게 담아낼 수 있는 민중만의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민요는 삶의 환경과 내용에 따라 민요의 종류는 달라진다. 민요는 민중의 문학 중에서도 다른 장르보다 민족적 고유성을 보다 잘 간직한다.

-민요는 구전물의 하나로서 비전문적인 민중이 삶의 필요에 따라 불러온 노래이다. 그러기에 민요는 기능적이며, 자족적인 성격을 보이며, 또한 계층적, 지역적, 민족적인 고유성을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민요는 구전 문학 가운데서도 기층적 성격이 가장 강한 장르라고 할 수 있다.

3. 민요의 사적 전개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2,3,4권 지식산업사


민요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우리는 신석기시대 농업사회의 형성에서 그 시발점을 찾을 수 있다. 밭을 갈고 씨를 뿌리고 곡식을 거두는 일을 여럿이 함께 하면서 손발을 맞추고 흥을 돋우는 데 노래가 긴요한 구실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