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 민요

 1  [고전소설] 민요-1
 2  [고전소설] 민요-2
 3  [고전소설] 민요-3
 4  [고전소설] 민요-4
 5  [고전소설] 민요-5
 6  [고전소설] 민요-6
 7  [고전소설] 민요-7
 8  [고전소설] 민요-8
 9  [고전소설] 민요-9
 10  [고전소설] 민요-10
 11  [고전소설] 민요-11
 12  [고전소설] 민요-12
 13  [고전소설] 민요-13
 14  [고전소설] 민요-14
 15  [고전소설] 민요-15
 16  [고전소설] 민요-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소설] 민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민요의 개념
2. 민요의 역사
3. 가창방식
4. 민요의 표현법과 문체
5. 민요의 기능별 분류
6. 민요의 지역별 분류와 특색
본문내용

1. 민요의 개념

민요는 노래로 불리워질 것을 예상하고 만들어진 작품으로 노래로 된 구비문학이다. 노래말은 율문으로 특수한 율격으로 얽혀졌다. 민요는 노래로 불려지므로 가요에 속한다. 謠(요)는 고정된 曲式(곡식)과 창법의 지배에서 벗어나고 악기의 반주가 없는 노래를 가리킨다. 歌는 그 이외의 모든 노래 즉 고정된 곡식과 창법의 지배를 받으며 현악기 관악기의 반주를 수반하는 노래를 의미하는바 민요는 전자에 속한다. 곧 민요는 그 발생에 있어서 고정된 곡식의 지배를 받지 않고 악기와 관계없으며, 고정된 창법에 구애되지 않은 채 자기 감정에 따라 자유롭게 불려졌으며 듣는 사람에 매이지 않고 즉흥적으로 불려졌다. 따라서 옛날 사람들은 민요를 반주 없는 노래 즉 徒歌(도가)라고 불렀다.
민요란 용어는 예부터 사용된 것은 아니다. 풍요, 향가, 속요, 동요, 소리, 국풍, 타령, 민간가요 등으로 불렸다. 특히 농부들이 일터에서 부른 노래를 소리라고 하였다.
대중들의 생활현장 노동 또는 집단적인 운동 속에서 크게 발달 전파되었다. 민요는 입으로부터 입으로 전승되며 노동 현장에서, 휴식할 때, 그리고 선동이나 시위행진에서 집단적 대중 전체가 부를 수도 있다. 민요는 작자가 알려진 것이 드물지만 그 내용을 보면 그것이 어느 계층의 사람들로부터 애창되고 봉사되고 있는가를 알 수 있다. 작자가 없다는 점에서 다른 시가와는 달리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자생되었다. 즉, 민요는 비전문적인 민중의 노래이다. 무가는 무당, 범패는 승려, 시조나 가사는 전문적인 소리꾼, 판소리는 광대와 같은 전문가에 의해 불려졌지만 그러나 민요는 비전문가인 민중에 의하여 불려진다. 민요는 민중에 의하여 널리 불릴 뿐만 아니라 성격과 기능도 민중의 생활을 그대로 드러낸다. 또한 폭넓게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자유롭게 개작되면서 그 시대의 정신을 담고 있다. 민요연구를 통해 민중들의 시대정신을 알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