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학과 사회윤리학

 1  윤리학과 사회윤리학-1
 2  윤리학과 사회윤리학-2
 3  윤리학과 사회윤리학-3
 4  윤리학과 사회윤리학-4
 5  윤리학과 사회윤리학-5
 6  윤리학과 사회윤리학-6
 7  윤리학과 사회윤리학-7
 8  윤리학과 사회윤리학-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윤리학과 사회윤리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윤리학과 사회윤리학
○ 목 차
1. 윤리학의 이해
1) 윤리학의 개념
2) 도덕과 윤리
2. 윤리적 관점
1) 생존 본능과 인간다움 (양옥경)
3. 사회윤리학의 이해
1) 사회윤리학의 개념
2) 사회윤리의 특성
2. 사회복지윤리학
1. 사회복지의 윤리
1) 사회복지 윤리관
2) 사회복지윤리의 원칙
(1) 사회복지윤리의 중요성
(2) 사회복지윤리의 원칙
본문내용
윤리학은 고대 그리스 소크라테스(Socrates), 플라톤(Platon),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s)등에 의해 처음으로 체계화되었다. 그리고 윤리학(ethics)에 대한 학명을 최초로 쓴 사람은 아리스토텔레스이다. 그는『 니코마코스 윤리학(Ethika nicomachean)』이란 책에서 덕을 지성적, 의지적, 즉 품성적인 것이라 했고, 특히 품성적인 것에 대하여 상세히 논함으로써 이것이 후세에 ta ethika(성격적 습성적 품성적인 것), 즉 ethics라 하게 된 것이다.
윤리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스펜서(Spencer)는 ‘행위 일반의 이론(theory of conduction general)이라 하였고, 존 듀이(Dewey)는 “정사(正邪) 선악(善惡)이라고 생각되어지는 범위에서 행위에 관하여 연구하는 과학이다” 라고 하고, 윤리학의 목적은 정사 선악의 견지에서 행위에 대하여 우리의 판단에 따라 계통적 설명을 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으로는 사람에게 만족을 주는 가치를 가르쳐 주는 학문이고, 또 다른 한편에 있어서는 이념적 가치에 관한 학문이다” 라고 하였다.
2)도덕과 윤리
도덕(morals)이란 말의 한자어인 道德의 道는 밞음(踏) 길(路) 이치(理致) 따름(從) 순함(順) 덕의(德義) 말함 (言) 말미암음(由)의 뜻을 가졌고, 덕(德)은 큼(大) 품행(品行) 은혜(恩惠) 은혜 입음 (荷恩) 태어남 (生) 감화(感化), 그리고 옳음 빛남 착함 아름다움부드러움 온화함 천성의 품성, 능력과 얻음 (得)과 같은 뜻으로 몸에 얻음 체험하여 얻음 (體得), 닦아 체득함 (修身), 깨달아 앎 (攄得) 도를 행하여 얻게 됨 (行道有得) 능력 수양 후의 인격 등의 뜻을 가진 말로, 이 두 글자를 합치면 인간이 마땅히 지켜 행해야 할 훌륭한 도리를 자신의 것으로 여겨 이를 내면화하여 얻은 훌륭한 힘의 뜻이 된다.
『예기(禮記)』에 윤리와 통하능 예(禮)와 악(樂)의 습득이 덕(德 )이라고 한 것을 보면, 윤리와 도덕은 거의 같은 뜻을 가지며, 깊은 관련이 있는 말로써 결국 도덕은 윤리의 내면화된 실천적 사회규범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도덕이란 말에 대한 영어의 morals는 라틴어의 mores(mos의 복수)에서 왔고, 또 독일어의 ‘Sittliche는 ’Sitte에서 온 말로 모두 관습 습득 풍습의 뜻을 갖고 있어 어원에 있어서 도덕과 윤리는 거의 같은 말이었고, 오늘날에 있어서도 일상생활에는 물론, 전문가들 사이에도 엄격하게 구별하지 않고 있으며, 이 두 말을 붙여서 ‘윤리도덕’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처럼 동 서양이 모두 윤리와 도덕을 거의 같은 뜻으로 해석 사용하고 있으나 엄밀한 의미로서는 서로 같은 뜻의 말은 아니다. 즉, 윤리는 인간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도록 하는 데 마땅히 지켜야 할 행위의 규범으로서 선과 악(good and bad), 정과 사(right and wrong) 및 도덕적 의무와 책임(moral duty and obligation)에 관계된 실제적인 도덕규범의 총체이다.
그리고 도덕은 인간이 마땅히 행하거나 지켜 나가야 할 도(道)를 자신의 수양을 통해 이를 내면화하여 자신의 것으로 자각하고 실천하는 행위, 즉 올바른 행동과 잘못된 행동(right and wrong action) 또는 선성과 악성(good and bad characher)을 고찰 판단하여 실천하는 주체적 태도인 것이다. 따라서 윤리는 도덕이 객관화된 사회정신이며 사회규범인 것이다.
한편 윤리(ethics)란 말의 한자어인 ‘倫理’는 사람의 뜻인 ‘人’ 덩어리 집단인 뜻인 ‘倫’이 합해서 이루어진 인륜(人倫) 인도(人道) 도리(道理) 조리(條理) 의리(義理) 차례 (序) 떳떳함 (常) 가림 (擇) 무리(類) 등의 뜻을 가진 ‘倫‘과 구슬의 뜻인 ’玉‘, 마을 무늬 길이 잇수(路程)의 뜻인 ’里‘가 합해서 이루어진 다스림 (治) 올바름 (正) 성품(性品) 이치(理致) 도리(道理) 고침 (修理) 정리(整理) 등의 뜻을 가진 ’理‘의 두 글자로 이루어진 말로서, 서로 다른 뜻의 두 극자가 합해서 이루어졌다고 하기보다 두 글자의 공통적인 의미인 인간집단 (社會) 관계의 도리(道里), 즉 인륜지도(人倫之道)인 것이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진교훈, 1987, 「국민 윤리학 개론」, 형설 출판사
도성달, 유병열, 1996,「사회윤리 이론과 도덕교육」,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라인홀드 니버(이한우 역), 1992,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문예출판사
송재범, 김현수, 2001, 「디지털시대의 직업윤리」, 인간사랑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