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문법론] 특수조사 범주 설정의 문제점

 1  [한국어문법론] 특수조사 범주 설정의 문제점-1
 2  [한국어문법론] 특수조사 범주 설정의 문제점-2
 3  [한국어문법론] 특수조사 범주 설정의 문제점-3
 4  [한국어문법론] 특수조사 범주 설정의 문제점-4
 5  [한국어문법론] 특수조사 범주 설정의 문제점-5
 6  [한국어문법론] 특수조사 범주 설정의 문제점-6
 7  [한국어문법론] 특수조사 범주 설정의 문제점-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문법론] 특수조사 범주 설정의 문제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序言
1.1 연구 목적 및 방법
1.2 연구사
2. 특수조사의 일반적 정의
3. 학교 문법의 특수조사 범주 설정 기준과 한계
4. 특수조사 범주 설정에 대한 다른 학자들의 견해
4.1 홍사만
4.2 성광수
4.3 채완
5. 結語
본문내용
1.1 연구 목적 및 방법

학교 문법에서 우리말 조사는 크게 격조사, 접속조사, 특수조사로 분류하고 있다. 조사는 대체로 자립성이 있는 말에 연결되어 그 말이 다른 문장 요소들과의 다양한 문법적 관계나 통사 의미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고 논의되어 왔다. 조사에서 단순한 자격 표시 외에 앞 말에 특수한 뜻을 더해 주는 독특한 성격을 지닌 것을 특수조사라 한다. 그러나 현 문법연구는 특수조사의 목록이나 분류에 대한 기준이 아직 명확하지 않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특수조사의 목록과 그 분류 기준이 논자마다 다른 것은 그 기능과 특성에 대한 시각의 차이 때문이라고 본다. 즉, 다른 범주와의 유사성으로 특수조사의 구분 경계가 불투명하게 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특수조사의 일반적 특성을 접미사, 격조사, 구문조사(접속조사)에 각각 비교함으로써 특수조사의 특성을 재정립하며 그 목록을 재검토해 보겠다. 또한 학자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특수조사 범주 설정의 타당성에 대한 나름대로의 견해를 제시해 보겠다.

1.2 연구사

현 문법에서 특수조사의 연구는 상당히 다양한 만큼 그 명칭과 목록 또한 학자마다 달리 나타난다. 우선 최현배에서는 도움토씨 목록으로 “는/은, 도, 만, 마다, 부터, 까지, (이)야/(이)야말로, (이)ㄴ들/(이)라도, (이)나/(이)든지, (이)나, 조차, 마자, (이)나마, 커녕, 치고(서)/으로(서), 밖에/안으로/가운데, 서껀”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최현배의 분류에서 논자에 따라 특수조사를 보태거나 빼어 그 목록으로 제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성광수, 「격표현과 조사의 의미」. 서울: 도서출판 월인, 1999.
홍사만, 「국어 특수 조사 신연구」.서울: 도서출판 역락, 2002.
채완, 「특수조사 목록의 재검토」. 국어학 23, 1993.
한국어학회, 「국어의 격조사」.서울: 도서출판 월인, 1999
이선의, 「국어의 조사와 의미역」.한국 문화사, 2004
남기심, 「국어 조사의 용법」.서광학술자료사, 1993.
한용운, 「언어 단위의 변화와 조사화」.한국 문화사, 2003.
남기심․고영근,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3.
이관규, 「학교문법론」, 서울: 도서출판 월인,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