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 및 7차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

 1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 및 7차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1
 2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 및 7차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2
 3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 및 7차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3
 4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 및 7차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4
 5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 및 7차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5
 6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 및 7차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6
 7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 및 7차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7
 8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 및 7차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8
 9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 및 7차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9
 10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 및 7차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10
 11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 및 7차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11
 12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 및 7차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 및 7차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사회과의 역사

< 7차 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 >
1. 개정의 기본 방향
2. 개정의 중점
3. 사회과의 개념 및 최종 목표
4. 사회과의 학습 요소, 내용의 선정 및 조직
5. 사회과 교수·학습 전략 및 강조점
6. 중학교 사회과의 특성
7. 총괄 목표
8. 내용 선정의 기준

II. 사회과의 목표

III. 사회과의 교수학습 방법

IV. 사회과의 평가
본문내용
I. 사회과의 역사

우리나라에서 사회과교육이 시작된 것은 1945년 해방 이후의 일이지만, 바람직한 시민을 양성하기 위한 사회생활에 관한 교육은 전통사회부터 있어 왔다. 전통사회에서 사회과라는 독립적인 교과가 존재한 것은 아니지만, 사회생활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나 태도 등을 교육하였다. 그리고 개화기와 일제 치하에 이르러 근대적인 사회과학을 가르치면서, 만국사, 만국지리 등의 역사·지리 교과목과 정치, 경제, 법률 등의 사회과학을 교육하기 시작하였다
현재와 같은 형태의 사회과교육이 나타난 것은 해방 이후의 일로서, 1945년 이후 미군정 하에서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시의 사회과 모형에 기초해서 사회과교수요목이 제정되었다. 이 교수요목은 사회 기능을 중심으로 선정된 주제들을 바탕으로 동심원 확대 방법에 따라 내용을 구성하고, 문제해결학습을 강조하여 '생활 경험형 교육과정'을 지향하였다.

제1차 교육과정은 1954년에 6·25가 끝나고 정부가 부산에서 서울로 돌아온 이후에 이루어졌다. 제1차 교육과정은 교과 중심 교육과정과 함께 경험 중심 교육과정을 동시에 지향하고 있었다. 사회과교육과정에서는 내용을 통합적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통합교과로서의 성격을 뚜렷이 하였고, 교과서 명칭도 '사회생활'이 되었다. 이 시기에 사회과는 초등학교를 완전히 통합형으로 만들고, 중학교는 지리, 역사, 일반사회로 나누고, 고등학교는 지리, 역사, 일반사회, 도덕 등의 교과목으로 나누었다.

제2차 교육과정은 1963년에 이루어졌는데 5·16 군사정변 후 민족주체성과 경제성장 내용을 강화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사회과 편제는 우선 교과의 명칭이 '사회생활과'에서 '사회과'로 바뀌었고, 사회생활과 내의 반공·도덕 내용이, 학교 교육 활동 전체에 관련된 '반공·도덕 생활' 영역으로 분리되었다. 학교급별을 보면, 초등학교는 역시 완전통합형이었고, 중학교는 지리, 역사, 기타의 사회과학을 중심으로 하는 일종의 광역형 통합형이었으며, 고등학교는 일반사회, 국사, 세계사, 지리 등으로 분리되어 있었다.

제3차 교육과정은 '국민 교육 헌장' 이념 구현이라는 국가·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기본 개념의 이해와 지식의 구조적 학습 및 탐구 능력 등을 중시하는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사조가 반영된 것이었다. 그 결과, 기본개념의 이해, 지식의 구조적 학습, 탐구 방법과 능력을 강조하는 사회과학 교육으로서의 사회과 성격을 중시하여 교육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