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마 유치환의 「깃발」

 1  청마 유치환의 「깃발」-1
 2  청마 유치환의 「깃발」-2
 3  청마 유치환의 「깃발」-3
 4  청마 유치환의 「깃발」-4
 5  청마 유치환의 「깃발」-5
 6  청마 유치환의 「깃발」-6
 7  청마 유치환의 「깃발」-7
 8  청마 유치환의 「깃발」-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청마 유치환의 「깃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오세영의 글 검토
1) ‘깃발’의 상징성
2) 언어의 등가성에 기초한「깃발」의 분석
3. 「깃발」의 해석상의 문제점
4. 결 론
본문내용
1. 서 론

청마 유치환(1908~1967)은 1931년 시 「정적」을 에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장했다. 그가 남긴 문학적 흔적을 보면, 『청마시초』(1939)를 비롯하여『생명의 서』(1947), 『울릉도』(1948), 『청령일기』(1949), 『보병과 더불어』(1951), 『청마시집』(1954)(여기에 『기도가』와『행복은 이렇게 오더니라』가 포함된다.), 『뜨거운 노래를 땅에 묻는다』(1960), 『미루나무와 남풍』(1964) 등의 시집과 『유치환시선』(1958), 『동방의 느티』(1959),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1965) 등 해방 전부터 1960년대까지 해방 전의 시인으로는 가장 많은 작품집을 내놓았다.
청마시에 대한 최초의 작가적 관심은 서정주로부터 시작한다. 서정주는 유치환을 자신과 같이 생명파로 묶어 1930년대 한국시단에 새로 등장한 유파로 설정하였다. 서정주, 『한국의 현대시』, 일지사, 1969, p.190
김춘수는 청마가 울혈(鬱血)된 감정의 심부(深部)를 노래하며 시인으로 출발한 센티멘트의 서정시인이며 서정시인으로서의 기질과 저항하기 위하여 감정을 압살하고자 의지의 세계를 표방하였으나 실패하였다고 했다. 김춘수, 「유치환론」, 『문예』, 초하호, 1953.6, p.71
김춘수의 의견을 따르면 청마 시의 본질은 의지가 아니라 애상적인 감정이며 이 생리에 저항하기 위해 의지를 표방한 것이 된다. 이숭원도 이와 같은 입장으로 청마시의 의지적 면은 시인 자신의 고백대로 시에 나타난 의지적 면은 연약한 내면을 감추기 위한 허세로 귀결된다고 하였다. 이숭원, 「靑馬詩 연구의 반성과 전망」, 『근대시의 내면세계』, 새문사, 1988, p.289

문덕수는 독일철학과 노장사
참고문헌
각주에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