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파킨슨증후군의 이론적 고찰

 1  [한의학] 파킨슨증후군의 이론적 고찰-1
 2  [한의학] 파킨슨증후군의 이론적 고찰-2
 3  [한의학] 파킨슨증후군의 이론적 고찰-3
 4  [한의학] 파킨슨증후군의 이론적 고찰-4
 5  [한의학] 파킨슨증후군의 이론적 고찰-5
 6  [한의학] 파킨슨증후군의 이론적 고찰-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의학] 파킨슨증후군의 이론적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의 및 개요
2) 병리
3) 원인
4) 임상양상
5) 경과
6) 감별진단
7) 치료
8) 파킨슨병의 한의학적 개요
9) 변증시치
10) 침구치료
본문내용
1) 정의 및 개요
파킨슨증(Parkinsonism)은 진전(tremor), 경직(rigidity), 서동증(bradykinesia)과 특징적인 보행 및 자세 장애 등의 증상들이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진 증후군이다. 파킨슨씨병은 특발성 파킨슨증에서 다른 광범위한 신경학적 침범의 증거가 없이 일어나는 만성적이며 진행성의 질환이다.
파킨슨씨병은 1817년 James Parkinson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는데 그는 ‘shaking palsy'라고 명명하였다. 일반적으로 중년이나 노년에 시작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행성의 장애를 보이게 된다. 이 병은 모든 인종에서 일어나고, 성비의 차이는 없으며, 전체 인구 중에서 1000명당 1-2명, 65세 이상에서는 100명당 2명의 유병률을 보일 만큼 흔하다. 파킨슨증의 징후는 노인에서 아주 흔한데, 한 조사에서 65세에서 74세까지의 15%, 85세 이상에선 반 이상에서 검사상 추체외로 질환의 장애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병리
중뇌 흑질의 밀집부(pars compacta of substantia)의 점진적인 세포의 소실이 관찰되며, 호산성 봉합체(Lewy bodies)를 가진 세포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미세한 변화를 다른 신경핵(선조체(striatum)와 담창구(globus pallidus)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 결과 선조체에서의 도파민이 감소하게 되며, 정상적인 도파민 대 아세틸콜린의 비율이 개지게 된다.

3) 원인
파킨슨병의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쌍둥이에서 동시에 발생하지 않는 점으로 보아 유전적인 요소는 크지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환경적인 요인도 명백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1-methyl-4 phenyl-1,2,3,6-tetrahydropyridine(MPTP)으로 오염된 헤로인을 투여한 자에서 파킨슨 양상이 나타나고, 흑질 세포의 선택적인 소실과 선조체와의 연결에 손상에 관찰되었는데, 이로 인해 파킨슨씨병의 원인으로서 외부 독성에 대한 관심이 모아졌다.
‘특발성의 파킨슨씨병(idiopathic Parkinson's disease)'과 ’파킨슨 증후군(Parkinsonism)' 간에는 명확한 구분이 필요하다. 파킨슨 증후군은 특발성의 파킨슨씨병과 유사한 임상 증상을 보이는 일련의 증후군을 말하고, 여기에는 여러 가지 다른 병리학적, 원인적인 배경이 존재한다.
파킨슨 증후군의 원인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 약물 : 특히 도파민 길항제 ; phenothiazine, reserpine, haloperidol
- 외상 : 특히 반복적인 부두 손상 ; 권투
- 뇌혈관 질환 : 특히 기저
참고문헌
1. Rachael Hugh 외. Mosby's crash course;neurology. 서울:도서출판 한우리.
2000:135-40.
2. Lawrence M 외 5명. (오늘의)진단 및 치료 임상의학. 서울:한우리 1999;2:1072-5.
3. Isselbacher TR 외 2명. 해리슨내과학. 서울:정담. 2003;2:2473-8.
4. Michael Donaghy. 신경과학. 서울:한미의학. 2002:89-91.
5. 강화정 외, 심계내과학, 서울:서원당, 2002:468
6. 신현철 외, 진전마비에 대한 문헌적 고찰, 동국대 한의학 연구소 논문집 제4권, 1995
7. 김창환 외, 실용 침구임상, 서울:정담, 2003,65
8. 월오사암침 강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