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의 미학]잡가에 나타난 유흥성

 1  [고전시가의 미학]잡가에 나타난 유흥성-1
 2  [고전시가의 미학]잡가에 나타난 유흥성-2
 3  [고전시가의 미학]잡가에 나타난 유흥성-3
 4  [고전시가의 미학]잡가에 나타난 유흥성-4
 5  [고전시가의 미학]잡가에 나타난 유흥성-5
 6  [고전시가의 미학]잡가에 나타난 유흥성-6
 7  [고전시가의 미학]잡가에 나타난 유흥성-7
 8  [고전시가의 미학]잡가에 나타난 유흥성-8
 9  [고전시가의 미학]잡가에 나타난 유흥성-9
 10  [고전시가의 미학]잡가에 나타난 유흥성-10
 11  [고전시가의 미학]잡가에 나타난 유흥성-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의 미학]잡가에 나타난 유흥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잡가의 담당층과 특성
3. 잡가에 나타난 유흥성
4. 현대 대중 가요에 나타난 유흥성
5. 결론
본문내용
잡가의 담당층은 민간 연예집단인 남자소리꾼을 비롯하여, 기생 중에서도 격이 매우 떨어지는 삼패기생과 같은 천기층, 그리고 유랑연예집단으로서 전통적으로 형성되어 왔던 사당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잡가의 생산은 일반 소비자와 분리되어 있다. 잡가의 담당층들은 물질적 가치에 기초한 경제적 목적을 위하여 이러한 노래들을 생산하였다. 대부분의 담당층들은 서울의 사대문 안이나 밖에 거주하고 있었고 서울의 삼패기생들의 거주와 활동무대인 삼패바닥에서 그들과 함께 활동하였다. 또한 지방의 경우에 있어서도 소리꾼과 천기들의 활동 무대는 평양을 비롯한 진주, 대구 등 상공업이 발달한 도시이다. 담당층들은 어느 정도 근대적 모습을 띠고 있는 도시의 서민 대중들을 향유층으로 끌어 들였다. 잡가의 향유층도 도시적 직업을 가지고 도시에 사는 대중들이었다. 이들은 조선 후기 상공업이 번창한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고 상품의 생산 및 수공업을 담당하였다. 또한 임금노동 등에 의한 새로운 생활 방식을 도모하고, 물질적 재화를 획득하고자 했던 대중들은 잡가의 향유층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잡가는 도시성과 상업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잡가의 담당층이 원래는 봉건체제 내의 하층적 집단에 국한되어 있었지만, 19세기 일대를 통해선 소위 중인 가객층이나 고급기생과 같은 예도적 지조를 견지했던 상층의 연예집단과 사대부집단으로 까지 확산되어 갔다. 더군다나 평양과 같은 지방 도시의 노래와 서울의 노래가 상호 교류되었던 것은 광범위한 개방성을 나타내고 있다.
잡가의 이러한 광범위한 개방성은 사설에서도 드러난다. 판소리를 다듬어 차용하고, 지방 농촌지역의 민요까지 부르며, 한시의 구절을 차용하고, 사설시조를 확장하여 휘몰이 장단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더군다나 위와 같은 요소들이 2가지 이상의 것들이 잡다하게 섞여 한 제목으로 묶여지는데 통일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는 잡가가 기존의 것, 익숙한 것들을 받아들여 가락에 용해시키는 유연성은 지녔으나, 의미의 일관성을 보이는 창조적 재현에는 이르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잡가의 담당층들은 통속화되면서 창조적 역량을 발휘하지 않고 이왕에 있던 내용에 역동적 가락을 담는 것에 치중하게 되었다.
이러한 통속적 요소 통속성은 진지함과 엄격함을 탈피한 가벼움, 향럭을 위한 것. 수요 창출에 가치를 두는 것. 소모적인 것을 본질로 한다. 따라서, 통속성은 문제를 제기하기 보다는 흥미위주의 내용으로 흐르게 되어 수요층의 퇴영적․소극적 의식에 영합하는 모습이다.
를 가진 잡가는 대중적 기반을 바탕으로 유흥적 속성을 구현하게 되었다.
하고 싶은 말
1. 이노형, 「한국 근대 대중가요의 역사적 전개 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논문, 1992
2. 임형택․고미숙,「한국고전시가선」, 창작과 비평사, 1997
3. 노미원, 「1910년대 유행한 잡가의 한 고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속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5
4. 이노형, 「잡가의 유형과 그 담당층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7
5. 하희정, 「잡가의 장르적 성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7
6. 고미숙, 「대중가요의 선구, 20세기초반 잡가 연구」『역사비평』1994년 봄, 역사문제연구소, 1994
7. 고미숙, 「20세기 초 잡가의 양식적 특질과 시대적 의미」『창작과 비평』88, 창작과 비평사, 1995
8. 박애경, 「유행과의 형성과 과정 연구」『연세어문학』25,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3
9. 박애경, 「조선후기 시가 통속화 양상에 대한 연구-잡가를 중심으로」『연세어문학』,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