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

 1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1
 2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2
 3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3
 4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4
 5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5
 6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6
 7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7
 8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8
 9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9
 10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10
 11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11
 12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12
 13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13
 14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14
 15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15
 16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16
 17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덕 - 성실 정직 자주 절제 용기 효도 예절 협동 민주적 대화 준법 정의 배려 애국-애족 평화통일 생명존중 자연애 사랑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도덕
1. 성실
1) 성실의 개념
성의 자원적인 뜻 : 말한 바를 반드시 이루도록 혹은 그렇게 하는 일관하는 마음
실의 자원적인 뜻 : 속이 차게 열매가 여물다
우리말 ‘알차다’와 연관 : 보편적 진리, 도 혹은 법이 속에 꽉 들어 있다.
이 상태를 ‘실’이라 봄
법, 진리, 도가 꽉 찬 것 혹은 말한 바, 곧 진리(법,도)를 이룸으로써 그것에 꽉 찬 것
도가 꽉 찬 상태에 도달하고자 애쓰는 것으로 사람의 도를 이름.
서양의 성실의 덕의 해석
: 성실한 행동이란 것은 특정 가치들에 종사한다, 행한다는 것이며 그 가치들을 진지하게 다룬다는 의미
성실이 도덕적인 덕이 되기 위해서는 어떤 가치에 대해 성실한가에 따라 결정됨
동양의 성실의 덕의 해석
: 성실에 이미, 도, 법, 진리의 개념이 함축되어 있어 그 지향점이 이미 설정되어 있음.
모든 도덕적 덕에 정성스러운 진실한 뜻(성)이 밑바탕이 됨.
2) 성실의 윤리적 의미
①성실은 언행일치의 덕
성실하지 못한 사람은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고 말은 많으며 실천이 부족하다. 그러나 성실한 사람은 실천이 말에 미치지 못함을 부끄러이 여기기 때문에 쉽게 말을 하지 못한다.경(敬)이란 정신을 한 군데에 집중하여 또렷이 깨어있는 엄숙한 상태를 이른 말로서 경은 성에 이르기 위한 방법에 해당된다. 곧 말을 삼가 살펴 해야 함을 지적한 것이다.
②성실은 진실성의 덕
하르트만은 성실을 진실성과 같은 것으로 보았다. 이 진실성은 인간의 도덕적 생활에 있어서 결정적이고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한다고 보고 그러한 진실성의 성격을 ‘성실’이라고 불렀다. 여기서 성실은 무엇에 대해 진실한 것인지 성실의 대상을 세 가지로 구분해보면 자기 자신(자기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 것)과 타인(타인을 대하는 말에 거짓과 속임이 없는 것)에 대해서, 그리고 진리(아무 명분 없이 생각을 바꾸는 것을 거부하는 태도)에 대해 진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③성실은 일관하는 마음, 곧 항구성의 덕
항구성이란 마음의 항상성으로 불변성과 지속성을 의미한다. 모든 덕의 토대로 습관은 도덕적 덕의 완성을 위해 필요한 추진체이며, 성실은 그의 계속적 작동을 보장하는 에너지이자 궁극적으로 덕을 완성시켜주는 활력소
관하는 마음은 인격의 통일성을 가져옴 즉, 자기 자신에게 충실함을 말한다.
④성실은 정성의 덕
정성스러움 : 진실하여 전연 흠이 없는 완전한 상태에 도달하고자 사람이 선을 택하여 굳게 잡고 놓지 않는 태도
이런 태도는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고자 하는 마음자세로 연결됨‘지성이면 감천’,‘진인사대천명’
3)교육내용의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