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

 1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1
 2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2
 3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3
 4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4
 5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5
 6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6
 7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7
 8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8
 9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9
 10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10
 11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11
 12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12
 13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13
 14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14
 15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
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게 된다. “인간은 왜 살아가는가? 무엇을 위해 살아가는가?” 어느 정도의 지적수준에 도달한 자들은 숙명적으로 자신의 삶의 의미에 대해 고민을 하고, 인간 행동의 특정 기준을 찾으려고 한다. 우리는 이러한 숙명적 질문에 대한 철학자들의 접근법을 통하여 그 해답을 어느 정도 얻어낼 수 있다. 여기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한 덕 윤리학과 실제 사례를 들고, 그의 이론이 초등도덕교과에 어떤 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1.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
인간은 왜 사는가? 인간은 궁극적으로 무엇을 추구하며 살아가는가? 이 질문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이라고 답하였다. 요컨대 인간의 삶의 최종적인 목적이자 선은 다름 아닌 행복이다. 이데아를 현실 세계 바깥에 있는 완전무결한 이상이라고 말한 플라톤에 비해 아리스토텔레스는 보다 현실적이었다. 플라톤의 경우 현실적 인간의 태만과 결함에 대하여 안타깝게 여기는 경향이 있었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우는 사람이 아무리 노력을 해도 이성에 도달할 수 없게 하는 자연적인 여러 한계를 인정하였다. 「서양철학사」램브레히트, 스털링P. 김태길, 윤명로, 최명관 역. 을유문화사. 2001
삶의 최고선은 행복이라고 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성에는 다음과 같은 세 부분이 있다고 하였다.
(1) 이성의 지배를 받지 않는 불합리한 부분
(2) 이성의 지배를 받는 불합리한 부분
(3) 이성적인 부분
그리고 이들 세 부분에 대응하여 세 종류의 탁월성이 있으며, 행복은 이 세 종류의 탁월성을 통해서 오게 된다는 것이다. 인간성 가운데에서 (1)이성의 지배를 받지 않는 불합리한 부분에 대응하는 탁월성으로는 자연적 탁월성이 있다. 이것은 인간의 노력으로 얻어질 수 있는 부분이 아니며 우리들이 흔히 행운이나 기적, 요행으로 부르는 것들이다. 우리는 이 소질을 갖지 못한 사람들을 책망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이 자연적 탁월성을 덕(德)이라고 부르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 그러나 실제로 추한 것 보다는 아름다운 것이 좋고 유약한 것보다는 건강한 것이 좋으며 노예보다는 자유 국가의 시민이 좋은 것이 사실이다. 이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현실주의적 측면이 드러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비록 이러한 행운에 의한 행복은 인간의 힘으로 좌우할 수 없는 것일지라도 행복의 복합적인 면속에 부차적인 요소로서 이러한 행운이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서양철학사」램브레히트, 스털링P. 김태길, 윤명로, 최명관 역. 을유문화사. 2001
비록 이성의 힘으로 우리가 타고난 운명을 어느 정도는 조절할 수도 있겠지만, 끝내는 바꿀 수 없는 부분이 더욱 많으므로 행복과 타고난 행운 사이에 하등의 상관관계가 없다고 말할 수는 없다.
인간성 가운데에서 (2)이성의 지배를 받는 불합리한 부분에 대응하는 것으로서는 도덕적 덕 또는 도덕적 탁월성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적인 덕은 플라톤의 절제와 비슷하지만 보다 현실적이고 다원론적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진술한 바와 같이 인간은 많은 충동과 욕망을 가지고 있다. 이 때 이러한 충동이나 욕망에 있어서 가장 훌륭한 상태는 부족한 상태도 아니요, 과도한 상태도 아닌 그 둘의 중간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중간을 중용이라고 불렀다. 예컨대 용기는 비겁과 무모함의 중용이고, 관후함은 인색과 낭비의 중용이며 절제는 편협한 금욕과 탐닉의 중용이다. 「헬라스 사상의 심층」박종현. 서광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