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계 소설론] - 한문소설 서옥기 창작에 미친 판소리의 영향

 1  [판소리계 소설론] - 한문소설 서옥기 창작에 미친 판소리의 영향-1
 2  [판소리계 소설론] - 한문소설 서옥기 창작에 미친 판소리의 영향-2
 3  [판소리계 소설론] - 한문소설 서옥기 창작에 미친 판소리의 영향-3
 4  [판소리계 소설론] - 한문소설 서옥기 창작에 미친 판소리의 영향-4
 5  [판소리계 소설론] - 한문소설 서옥기 창작에 미친 판소리의 영향-5
 6  [판소리계 소설론] - 한문소설 서옥기 창작에 미친 판소리의 영향-6
 7  [판소리계 소설론] - 한문소설 서옥기 창작에 미친 판소리의 영향-7
 8  [판소리계 소설론] - 한문소설 서옥기 창작에 미친 판소리의 영향-8
 9  [판소리계 소설론] - 한문소설 서옥기 창작에 미친 판소리의 영향-9
 10  [판소리계 소설론] - 한문소설 서옥기 창작에 미친 판소리의 영향-10
 11  [판소리계 소설론] - 한문소설 서옥기 창작에 미친 판소리의 영향-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판소리계 소설론] - 한문소설 서옥기 창작에 미친 판소리의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문소설 서옥기 창작에 미친 판소리의 영향
Ⅰ. 머리말
Ⅱ. 서사전개와 부분의 독자성
Ⅲ. 다층적 의미 구현 양상
1)신분제 모순
2)부세제도의 폐해
3)그 밖의 문제점
Ⅳ. 부분의 독자성과 주제의 양면성
Ⅴ. 맺음말
Ⅰ. 머리말
송사형 우화소설인 鼠獄記는 김태준의 『증보조선소설사』 김태준 저, 박희병 교주, 『증보조선소설사』, (한길사, 1990)
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다. 그는 이 작품을 백호 임제(1549~1587)의 所作이라 했으나 다른 근거를 제시하지는 않았고, 현재는 대다수 연구자들이 조선 후기에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하지만 정확한 연대와 작자는 알 수 없는 상황이다. 70년대 김광순에 의해 해제적인 수준의 문헌 연구가 이루어졌고 김광순, 鼠의 擬人類小說의 상호관계,『常山 이재수박사 환력기념논문집』, 1972
, 정학성이 처음으로 작품의 주제와 소설사적 가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연구했다. 정학성, 우화소설 서옥기의 소설사적 가치, 『한국고전산문연구』, (동화출판사, 1981)
그는 서옥기를 봉건사회의 구조적 모순 특히 환납제의 폐단을 비판하고 있는 작품으로 파악했다. 그의 견해는 후대의 연구자들에게 일정한 영향을 미쳤는데, 그의 연구 방법과 견해를 그대로 수용한 경우도 있고 신영주, 쥐를 의인화한 우화소설 연구, 상명여대 석사논문, 1986; 주영효, 서류 우화소설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논문, 1995
, 그의 견해 중 쥐는 탐관오리를 상징, 풍자한 것이라는 시각 만을 따른 경우도 있다. 김재환, 한국동물우화소설의 연구, 동아대 박사논문, 1988
대부분의 우화소설 연구자들이 이 작품을 사회적인 시각으로 보았는데 비해 이헌홍은 우리 고전소설의 대다수가 중세적 이데올로기의 구현이라는 교훈적 효용 아래 향유된 것들임에 반해 서옥기나 와사옥안은 비판이나 흥미 그 자체의 목적으로 읽혀지고 있다 하고, 이들 작품은 行刑 업무에 밝은 실무자가 자신들의 업무에 얽힌 사연의 한 단면을 희화적으로 그려본 것이라 하였다. 이헌홍, 『한국송사소설연구』, (삼지원, 1997), 398면
이들 연구가 서옥기를 우화소설이나 송사소설 중의 한 작품으로서 다루고 있는데 비해 장시광은 작품 자체의 가치를 중요시 하였다. 그는 기존의 연구가 주제적 연구에 치우쳤다는 데에 이의를 제기하고 서옥기의 창작 방식에 주목하여 전고, 대립, 반복의 세가지 방식으로 창작이 이루어졌음을 밝히고 내용 고찰에까지 연결시켰다. 장시광, 서옥기의 창작방식 연구, 『동양고전연구』 12, 동양고전학회, 1999
그 후속으로 작가의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서옥기는 조선시대의 사회 상황이 우의적으로 펼쳐져 있으며, 그 가운데서도 특히 중세의 강고한 신분질서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고 파악하였다. 논의의 결과를 토대로 서옥기는 민중들의 개아의식이 일어나고, 민중들이 중세 봉건 체제의 부조리를 인식하며 체제에 저항하던 시대, 구체적으로는 19세기 이후에 지어진 것으로 추측했다. 또 작가는 상당한 학식이 있는 지식인으로 그러한 사회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비판적으로 바라보았던 인물이라고 결론 내렸다. 장시광, 서옥기의 작가의식 연구, 『관악어문연구』24, 1999
본고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 결과를 충분히 받아들여 서옥기의 창작 연대를 19세기 이후로 상정하고 작가의식이 투철하게 반영된 사회 비판적 소설로 인정하는 위에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먼저, 서사 전개를 살펴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순차단락으로 나누어 구조적 짜임을 제시할 것이다. 그 다음 판소리의 주요한 특징 중의 하나인 부분의 독자성이 작품 창작에 수용된 양상을 살펴보고, 주제구현 양상의 다층성을 고찰할 것이다. 그런 다음 그것이 부분의 독자성과 어떤 관련을 가지는지 알아보고 판소리의 특징 중 하나인 주제의 양면성이 작품 속에 구현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