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밀꽃 필 무렵 의 상징론적 해석

 1  메밀꽃 필 무렵 의 상징론적 해석-1
 2  메밀꽃 필 무렵 의 상징론적 해석-2
 3  메밀꽃 필 무렵 의 상징론적 해석-3
 4  메밀꽃 필 무렵 의 상징론적 해석-4
 5  메밀꽃 필 무렵 의 상징론적 해석-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메밀꽃 필 무렵 의 상징론적 해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메밀꽃 필 무렵》의
상징론적 해석
1. 서론
2. 본론
(1)달빛과 메밀꽃의 백색 이미지
(2)시간, 공간적 배경의 상징성
(3)나귀의 상징성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작가는 자신이 작품에서 자신의 의도를 상징을 통해 은밀히 드러내기도 하며 대놓고 드러내기도 한다. 반면 우리는 작품을 읽을 때, 작품안에 등장하는 요소에 주목하며 그 요소들의 의미를 파악하는 과정을 통해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기도, 자신만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기도 하며 작품을 해석해나간다. 이것이 작가가 의도하였던 의도하지 않았던 간에 우리는 작품의 요소에서 무엇인가 얻어내려고 하는 욕구가 있으며 작품을 읽어나가는데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다. 염상섭의 비오는 날에서는 소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비’가 어둡고 축축하고 불긴한 이미지를 고조시키며 주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이처럼 작품 안에서의 상징성에 주목하여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을 살펴도록 하겠다.
2. 본론
(1) 달빛과 메밀꽃의 백색 이미지
이 작품에서는 달밤의 정경 묘사나 백색의 메밀꽃의 배경 설정을 통해 허 생원과 성 처녀와의 원초적인 순수한 사랑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달밤에는 그럼 이야기가 격에 맞거든.”
조선달 편을 바라는 보았으나 물론 미안해서가 아니라 달빛에 감동하여서이다. 이지러는 졌으 나 보름을 가제 지난 달은 부드러운 빛을 흐븟이 흘리고 있다. 대화까지는 칠십 리의 밤길. 고 개를 둘이나 넘고 개울을 하나 건너고 벌판과 산길을 걸어야 된다. 달은 지금 긴 산허리에 걸 려 있다. 밤중을 지난 무렵인지 죽은 듯이 고요한 속에서 짐승 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콩포기와 옥수수의 잎새가 한층 달에 푸르게 젖었다.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장 선 꼭 이런 날 밤이었네. 객줏집 토방이란 무더워서 잠이 들어야지. 밤중은 돼서 혼자 일 어나 개울가에 목욕하러 나갔지. 봉평은 지금이나 그제나 마찬가지나 보이는 곳마다 메밀밭이 어서 개울가가 어디 없이 하얀 꽃이야. 돌밭에 벗어도 좋을 것을, 달이 너무도 밝은 까닭에 옷 을 벗으로 물방앗간으로 들어가지 않았나. 이상한 일도 많지. 거기서 난데없는 성서방네 처녀와 마주쳤단 말이네. 봉평서야 제일가는 일색이었지." 이효석, 문학과지성사, 2007.11.30
여기에서 우리는 허 생원으로 하여금 과거와 현재를 동일시하게 만드는 자연 배경으로서의 달빛과 메밀꽃의 백색 이미지를 대하게 된다. 20년 전 성 처녀와의 일을 아직까지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는 허 생원을 보며 그에게 성 처녀와의 만남이 스쳐지나가는 우연이 아니라 평생을 잊지 못할 아련한 기억임을 알 수 있다. ‘지금이나 그제나’다를 바가 없는 봉평의 메밀밭은 허 생원의 내면에서는 영원한 현재의 공간이다. 메밀밭이라는 공간적 이미지가 허 생원으로 하여금 처녀를 만나고자 하는 마음을 언제나 현재적인 것으로 만들어서 무수히 반복적인 삶을 살 수 밖에 없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더구나 허 생원이 처녀와 만났던 물레방앗간에서도 보이는 곳마다 메밀밭이어서 개울가가 어디 없이 하얀 꽃이었다. ‘소금을 뿌린 듯이’ 희게 빛나는 메밀꽃은 처녀에 대한 허 생원의 그리움을 순수하고 원초적인 서정의 이미지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그것은 또한 허 생원과 처녀와의 만남을 성스러운 것으로 만들고 있기도 하다. 처녀에 대한 그리움이 허 생원의 가슴에서 좀처럼 지워지지 않는 것은 그들의 인연이 성스런 것임을 반증한다. 따라서 허 생원과 처녀에게 20년 가까운 세월은 통시적인 개념으로 존재할 수 없다. 처녀와의 만남이 있었던 물방앗간에서의 일은 그래서 언제나 현재적인 의미를 띠게 되어 시간성을 뛰어넘는다. 물방앗간의 물레방아가 내포하고 있는 원의 상징적 의미가 20년이 넘는 과거의 사건을 언제나 현재적인 것으로 만들고 있는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