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깔과 숫자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념 그것을 통한 그들의 사상과 문화 숫자와 민속

 1  색깔과 숫자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념 그것을 통한 그들의 사상과 문화 숫자와 민속-1
 2  색깔과 숫자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념 그것을 통한 그들의 사상과 문화 숫자와 민속-2
 3  색깔과 숫자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념 그것을 통한 그들의 사상과 문화 숫자와 민속-3
 4  색깔과 숫자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념 그것을 통한 그들의 사상과 문화 숫자와 민속-4
 5  색깔과 숫자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념 그것을 통한 그들의 사상과 문화 숫자와 민속-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색깔과 숫자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념 그것을 통한 그들의 사상과 문화 숫자와 민속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색깔과 숫자에 대한 중국인들을 관념.. 그것을 통한 그들의 사상과 문화
【숫 자】
-숫자와 민속-
숫자가 언제부터 쓰여지기 시작하였는가 하는 문제는 고증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이지만, 중국은 일찍부터 숫자를 사용하여 점을 치기 시작하였던 것은 확실하다. 이는 원시인류의 일종의 영물숭배의 표현이라 할 수 있으며, 오늘날까지도 줄곧 중국인들의 일상생활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를 들면 결혼할 때에 좋은 날짜를 선택한다거나 하는 등 숫자와 관련된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여 왔다. 과학이 발달되면서 미신적인 풍속이 하나하나 도태되고 있지만, 숫자와 관련된 민속활동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여전히 중국인의 사회활동에 광범위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중국에서 숫자가 민속활동과 관련되어 사용되어 지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이중 가장 많이 보여지고 있는 현상은 숫자에 대한 숭배와 금기이다. 즉 숫자를 인간에게 행복과 재운을 갖다주는 원천으로 간주하여 숭상하는 것이고, 또 다른 경우는 재난과 빈곤을 갖다주는 존재로 여겨서 기피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반드시 어떤 숫자는 숭배되고 또 어떤 숫자는 항상 싫어하는 식으로 고정불변적인 것은 아니다. 같은 숫자라 하더라도 지역과 상황에 따라서 행복의 화신으로 숭상되기도 하고 혹은 재난의 상징으로 기피되기도 한다. 숫자에 대한 사람들의 관념에 관해서 그 수많은 경우를 일일이 다 열거할 수는 없지만 대략 다음과 같은 경우를 들 수 있겠다.
첫째, 숫자를 하나의 상징으로 보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홀수는 하늘이나 양성의 사물, 남녀 중 남자, 해와 달 중 해, 낮과 밤 중 낮 등등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고, 짝수는 땅이나 음성, 남녀 중 여자, 해와 달 중 달, 낮과 밤 중에 밤 등에 속하는 상징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그래서 고대 중국에서는 5를 결혼의 상징으로 삼았다. 왜냐하면 5는 양성 숫자 중 제일 앞에 있는 3(남성을 의미)과 음성의 숫자인 2(여성을 의미)가 결합한 것이기 때문이다. 1은 모든 숫자의 기원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홀수의 범주에 넣지 않는다. 이를 근거로 주나라(B.C 12세기 ~ B.C 3세기) 시절에는 남자는 30세에 결혼하고 여자는 20세에 시집가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즉 남녀의 결합은 30+20(3+2)의 결합이 되어 양과 음의 결합인 천지의 결합을 의미하는 것이 된다.
둘째, 숫자와 중국인의 민속활동 중 가장 두드러지고 있는 것으로 숫자의 해음현상에 의해 길흉과 연계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숫자 ‘4’(si, 쓰)는 발음이 죽을 ‘사’(si, 쓰) 와 같아서 기피되고, 숫자 ‘9’(jiu, 지우)는 그 발음이 ‘오래가다, 영원하다’의 ‘구’(jiu, 지우)와 발음이 같아서 환영받는 경우이다. 그래서 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 4층은 일반적으로 기피되는 경향이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어떤 건물에 들어가면 아예 4층이라는 표식이 없고 대신 5층으로 표기하는 것도 이로부터 유래된 것이라 할 수 있다. ‘6’(liu, 리우)은 봉록을 의미하는 ‘록’(lu, 루)과 발음이 유사하고 ‘8’(ba, 빠)은 ‘돈을 벌다’ 라는 뜻의 ‘발재’(fa cai, 파차이)의 ‘발’(fa, 파)과 유사해서 많은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숫자이다. 그래서 거리의 가게에서 파는 온갖 물건들에 각종의 가격표가 붙어있지만, 가격표의 끝자리 숫자는 8로 끝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다. 이는 물건을 파는 상인들이 돈을 많이 벌게 해달라는 바람이 담겨져 있는 것이다.
4나 9 등의 숫자가 반드시 무조건 좋고 나쁜 경우로만 인식된다고 할 수는 없다. 중국 남쪽 지방인 복건성에서는 9의 발음이 개 ‘구’ 와 비슷해서 그다지 환영받지 못하고 있으며, ‘4’는 ‘만사가 뜻대로 된다’라는 뜻의 ‘사사여의’중 ‘사’의 발음과 유사해서 좋은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지역도 있다.
숫자의 발음 뿐 아니라 모양을 가지고 활동에 결부시키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사四.육六.팔八은 글자의 모양이 모두 갈라지는 형상을 하고 있어서 이별이 연상되기도 한다. 그래서 하북성 일대에서는 노인들의 나이에 ‘팔’이 들어가는 해에는 ‘팔’의 숫자를 입에 올리지 않는다. 혹 정말로 세상과 이별할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서이다. 또 중국의 많은 지역에서는 ‘칠불출문, 팔불귀가’의 관습이 있어 7이 들어가는 날, 예를 들면 7일. 17일. 27일에는 먼길을 떠나지 않고, 8이 들어가는 날에는 귀가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여러 해석 중 팔의 숫자 모양이 결별을 뜻하기 때문이라는 견해도 있다.
숫자를 가지고 유추하여 좋은 숫자와 나쁜 숫자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우가학파의 창시자인 공자는 73세에 죽었으며 맹자는 84세에 세상을 떠났다. 이들 두 사람 모두 중국인으로부터 추앙 받는 성인들이다. 후세 유학자들에게는 자신들이 존경하는 성인들이 세상을 하직한 나이를 넘어서 더 산다는 것은 언감생심이었다. 그러한 영향으로 인하여 오늘날까지도 노인들은 73세나 84세가 되는 해를 액년으로 간주해서 매우 조심한다.
또 안휘성 일대에서는 ‘8’을 불길한 숫자로 간주한다. 왜냐하면 사람이 죽으면 여덟 명이 메고 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지역에서는 사람이 상가에서 식사를 할 때에 매 식탁에 여덟 사람이 앉으며, 요리도 역시 여덟 개만 나온다. 평상시에는 물론 이런 숫자 안배는 기피된다. 신부가 친정을 떠나 신랑집에 갈 때에도 절대로 여덟 명으로 일행을 삼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