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

 1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1
 2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2
 3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3
 4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4
 5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5
 6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6
 7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7
 8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8
 9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9
 10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10
 11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11
 12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12
 13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13
 14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14
 15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15
 16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16
 17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17
 18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18
 19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월사집 연행가 백팔번뇌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작품 속에 나타난 세계관의 변화
- , , 를 중심으로 -
목차
1. 서론
2. 역사 전개와 세계관의 변화
1) 이정구의
2) 홍순학의
3) 최남선의
3. 결론
1. 서론
본 발표문은 동아시아 한문문명권에서 실시된 책봉체제에 의한 중국의 영향력에 따라 한국이 가지는 세계관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가를 살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결국, 시야를 좁혀서 살펴보면 중국의 한문학이 한국 문학에 어떤 영향력을 미쳤는가 하는 점을 평가할 수 있는 잣대 역할도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어느 정도 변화 발전된 면이 있긴 하지만 중국한문학의 영향을 고스란히 받은 한국한문학이 한국 문학사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했으며 한국역사에서 어떤 구실을 했는가를 평가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조동일은 한문문명권을 중심으로 문명권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따라 또는 얼마만큼 문명권의 영향력을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중심부, 중간부, 주변부’ 조동일, 『세계문학사의 전개』, 지식산업사, 2002. 259쪽
로 나누었다. 즉, 공동문어문학이 압도적인 중국을 중심부로, 공동문어문학인 한자와 민족어문학인 향찰, 이두, 한글 등이 힘겨루기를 했지만 근대 이전까지는 공동문어문학인 한자가 우세했던 한국을 중간부로, 공동문어문학과 민족어문학이 대등한 지위를 차지한 일본을 주변부로 칭했다.
본 발표문에서는 조동일이 동아시아문명권에서 적용시켰던 ‘중심부, 중간부, 주변부’의 원리를 한국 내에서 범위를 축소하여 재적용하여 보겠는데, 시대의 변천에 따른 중국으로부터 유입되는 한문문명의 영향력 加減에 따라 ‘중심부, 중간부, 주변부’로 나누도록 하겠다.
근대적 성격이 약간 스며들긴 했지만 공동문어문학이 우세하여 중세적 성격을 띠고 있던 조선중기를 ‘중심부’, 중세적 성격과 근대적 성격이 공존하되 근대적 성격의 비중이 컸던 19세기 중엽인 조선후기를 ‘중간부’로 칭한다. 그리고 한자문학이 남아 있긴 했지만 국문문학이 우세했으며 민족어문학에 대한 열정이 고조되었던 20세기 초인 일제강점기를 ‘주변부’로 칭한다.
‘중심부’는 조선중기 문신이며 대명외교의 최전선에서 외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 차례 연행을 하였던 월사 이정구의 ‘연행시’를 통해 살폈으며 ‘중간부’는 조선후기의 문장가이며 고종조 주청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던 홍순학의 『연행가』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주변부’는 한국 근대문학의 선구자이며 국민문학파의 ‘시조부흥운동’을 주도했던 최남선이 발간한 최초 현대시조집『백팔번뇌』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한국인의 세계관 변화에는 중국의 영향력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중국의 영향력에 가려 세계를 바라볼 수 있는 시력을 키우지 못했다고 단정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2장에서는 중국 국력의 강성에서 쇠퇴, 세계정세의 변화를 한국인은 어떻게 바라보고 있으며 그러한 세계관은 작품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 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또한 한문문명권의 영향력이 더하고 덜함에 따라 한국 문학 내에서 한문학의 중요성은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책봉체제에 입각한 한국한문학을 평가해 보도록 하겠다.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 한시 형식으로 이루어진 월사 이정구의 ‘연행시’ 이명희, 「월사 이정구의 유기 문학 연구」, 충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오세현, 「월사 이정구의 문한활동과 학통 의식」,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박영호, 「월사 이정구의 문학관 연구」, 『복현한문학』5집, 198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