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이해 훈민정음모음제작원리

 1  훈민정음의 이해 훈민정음모음제작원리-1
 2  훈민정음의 이해 훈민정음모음제작원리-2
 3  훈민정음의 이해 훈민정음모음제작원리-3
 4  훈민정음의 이해 훈민정음모음제작원리-4
 5  훈민정음의 이해 훈민정음모음제작원리-5
 6  훈민정음의 이해 훈민정음모음제작원리-6
 7  훈민정음의 이해 훈민정음모음제작원리-7
 8  훈민정음의 이해 훈민정음모음제작원리-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훈민정음의 이해 훈민정음모음제작원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훈민정음의 이해
Ⅰ. 서론
Ⅱ. 훈민정음의 기원
1. 고전 기원설
2. 범자 기원설
3. 몽고 파스파 문자 기원설
Ⅲ.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1. 자음 제작의 원리와 조직
2. 모음 제작의 원리와 조직
Ⅳ. 훈민정음의 초 종성체계
Ⅴ. 결론
Ⅰ. 서론
언어란 그 민족의 정체성을 이루는 주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언어는 그 민족의 뿌리와 영혼을 형성한다. 한국 민족은 오랫동안 고유의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여 왔다는 사실에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전체 민족이 고유의 문자를 사용하지는 않았다. 조선시대에 양반층이 한글을 ‘언문(諺文)’ 이라고 무시하며 사용하지 않았던 것이 사실 현대에도 그대로 이어져오고 있다. 사회의 저명인사나 지식인들이 방송에서 너도 나도 경쟁적으로 영어를 섞어서 사용하는 모습, 실생활에서도 영어를 잘하지 못하면 대학 진학이나 취업이 불가능한 상황을 보았을 때 한국 민족의 영혼과 생활을 지배하는 것은 한글이 아닌 영어인지도 모른다. 기러기 아빠의 자살이나 영어 발음을 위해 몇 개월 안 된 영아의 혀를 수술하는 등의 기사를 보면 영어를 향한 한국 국민의 집착과 간절한 사모는 병적일 정도이다. 세계에서는 한글의 합리성과 우수성에 찬사를 보내는데 정작 당사자인 우리 민족은 한글을 무시하고 있다. 이는 우리 민족이 한글에 대하여 잘 모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훈민정음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행되어야 하고 또 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야 할 필요가 있다.
Ⅱ. 훈민정음의 기원
1. 고전 기원설(古篆起原說)
훈민정음이 옛 한자를 모방하였다는 설이다. 제102권 세종 25년(1443) 음력 12월 30일 그믐조에,
이달에 임금이 몸소 언문 28자를 지었는데 그 글자는 고전을 모방하였고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어 합한 연후에야 글자를 이룬다.
라는 부분이 있다. 또 정인지의 해례 서문에서도 ‘글자는 고전을 모방하였다’ 라고 되어 있다. 이는 훈민정음이 중국 옛글자인 고전을 어느 정도 모방했다는 고전기원설의 근거가 된다. 세종대왕 때의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 등의 훈민정음 반대 상소문은
설혹 말하기를 언문(諺文)은 모두 옛 글자를 본받은 것이고 새로 된 글자가 아니라 하지만 글자의 형상은 비록 옛 전자(篆字)를 모방하였다 할지라도 소리로써 글자를 합하는 것이 모두 옛 것에 반대되니 실로 의거할 때가 없사옵니다. 《세종실록》 제 103권 세종 26년 음력 2월 20일조
라며 중국 옛 글자를 모방하였음을 전제하고 있다.
고전기원설은 훈민정음이 바로 고전 글자에서 왔다는 것이 아니라 꼴을 본떠서 글자를 만들어 놓았는데 그 상형(象形)한 것이 고전의 글자와 비슷한 모양이 되었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허웅『한글과 민족문화』(1974년 12월) 66면
2, 범자기원설(梵字起原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