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을 수 없는 벽 이언진

 1  넘을 수 없는 벽 이언진-1
 2  넘을 수 없는 벽 이언진-2
 3  넘을 수 없는 벽 이언진-3
 4  넘을 수 없는 벽 이언진-4
 5  넘을 수 없는 벽 이언진-5
 6  넘을 수 없는 벽 이언진-6
 7  넘을 수 없는 벽 이언진-7
 8  넘을 수 없는 벽 이언진-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넘을 수 없는 벽 이언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서론-이언진 그는 누구인가-
① 이언진의 약관
② 역관의 사회적 지위
③『호동거실(居室)』
2.『호동거실(居室)』의 구조적 특징
① 6언시
② 백화
3.『호동거실(居室)』속에 담긴 주제
① 골목길
② 병, 빈곤
③ 사회비판
④ 아만(我慢)
4. 문화콘테츠 활용방안

1. 서론-이언진 그는 누구인가-
① 이언진의 약관 이언진, 『골목길 나의 집』, 박희병 번역, 파주: 돌베개, 2009, pp.201-205.
ㆍ영조 16년(1740년): 역관 집에서 탄생. 자는 우상(虞裳), 호는 송목관(松穆館).
ㆍ영조 35년(1759년): 역과에 급제하여 사역원주부 생활을 시작
ㆍ영조 39년(1763년): 통신사(通信使) 조엄을 수행하여 일본으로 파견됨
ㆍ영조 40년(1764년): 일본에서 돌아와 병이 심해짐
일본 유람 전부터 써온『호동거실』을 엮음
ㆍ영조 41년(1765년): 박지원에게 몇 차례 사람을 보내 등
일본에서 지은 시와『호동거실』의 일부 시를 보여줌
ㆍ영조 42년(1766년): 사망
죽기 전 자신이 평생 쓴 글을 불태워 버렸으나
아내가 타다 남은 원고를 수습함으로써 약간의 글이 후세에 전해짐
ㆍ철종 11년(1860년): 후손에 의해『송목관신여고(松穆館燼餘稿)』가 유고집으로 출판
② 역관의 사회적 지위 박희병, 『나는 골목길 부처다』, 파주: 돌베개, 2010, pp.16-18.
ㆍ신분적 경계를 지님-중인 출신으로 기술직, 실무에 전문적 지식을 갖춘 집단이지만
국정 참여는 불가능했음
ㆍ사대부의 세계를 선망하고 동경하나 서민이나 시정인의 생활, 세계에 친숙함
중인층 지식인들은 내적 갈등이나 의식의 분열을 보여주거나 사회에 대한 불만, 불평제기
③『호동거실(居室)』 박희병, 『나는 골목길 부처다』, 파주: 돌베개, 2010, pp.115-116.
ㆍ: 백 수 가량의 연작시
ㆍ호동(): 주로 가난한 하층민이 사는 골목길, 이언진의 자호
ㆍ호동거실(居室): 호동 이언진이 사는 집
서민과 자신의 일체화이자 피지배층인 하층민을 옹호하는 의미
ㆍ구조적 특징: 6언시, 백화구사
2.『호동거실(居室)』의 구조적 특징
①6언시
ㆍ5언시나 7언시가 중심이던 한시의 전통에서 탈피
ㆍ6언시 같은 경우는 호흡이 정식화 되어 있지 않아 ‘2-2-2’, ‘3-3’, ‘2-4’, ‘4-2’, ‘5-1’, ‘1-5’가 모두 가능하다
②백화
ㆍ백화란 고전 한문이 아닌 중국어 구어(口語)를 말한다.
이언진은 6언시와 백화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한시의 틀과 언어의 미학을 바꿨다. 그것은 사대부 지배계급과는 다른 언어의식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3.『호동거실(居室)』속에 담긴 주제 박희병, 『저항과 아만』, 파주: 돌베개, 2009, pp. 5~438.

五更頭晨鍾動 通衢奔走如馳
貧求食賤求官 萬人情吾坐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