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도 일본 문화의 복합결합체

 1  차도 일본 문화의 복합결합체-1
 2  차도 일본 문화의 복합결합체-2
 3  차도 일본 문화의 복합결합체-3
 4  차도 일본 문화의 복합결합체-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차도 일본 문화의 복합결합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일본 문화의 복합결합체-
와비차의 완성자라고 하는 센노리큐를 처음 알게 된 것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일대기를 다룬 이라는 책을 통해서였다. 20권 짜리 장편 소설의 중반부에 가서야 등장하는 이 인물은 사카이 항의 상인 출신으로,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다도 스승이자 조언자로서 폭넓은 지식과 소양, 뛰어난 안목에 다도에 대한 굳건한 믿음과 죽음을 불사하는 소신을 지닌 인물로 그려지고 있었다. 대검을 휘두르며 전국을 호령하는 용맹한 무사들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에서 그의 캐릭터는 상당히 개성적인 것이었다. 비록 무력을 지닌 인물은 아니지만, 지략과 신념 그리고 찻잔 하나로 간빠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총애를 받는 인물이 된다. 억울한 누명을 쓰고 결국 히데요시의 명에 의해 자결함으로서 더 이상 에는 등장하지 않게 되지만, 그의 존재는 오랫동안 뇌리에 남는 것이었다.
그리고 수업 시간에 ‘다성’으로서 그를 다시 만났을 때, 주저 없이 그가 모든 걸 바쳐 이뤄내고 지켜온 ‘다도’에 대해 생각해 보려 한다.
사람들이 물을 마시는 이유는 단순히 목마름을 달래려는 생리적인 욕구만은 아니다. 사람이 즐기는 음식들이 그렇듯이, 물을 마시는 것도 단순히 목을 축이는데 그치지 않고 그것을 개발하여 더욱 맛있는 음료를 추구하며, 그것을 즐기는 특별한 방법을 만들어 낸다는 것은 어느 정도 수준의 문화가 발달한 나라에서는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현상이다. 프랑스의 포도주 문화나, 독일의 맥주 문화, 한, 중, 일 삼국의 차 문화는 모두 이런 맥락으로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일본인들이 차를 마시는데 기울이는 관심과 마시기 위한 문화적 격식들은 이방인의 시각에서 볼 때 정말 독특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차는 원래 부처님에게 공양하기 위한 것으로, 중국에서 유래되어 약용으로, 스님들의 음료로 쓰였다는 점은 한, 중, 일 삼국의 공통적 특징이다. 그러나 일본의 다도는 전문 다도인들이 등장하여 격식과 절차를 만들어가면서 단순히 차를 마시는 행위가 아닌 하나의 도(道)로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다인들에 의해 차를 마시는 때와 장소, 그리고 차를 달이고 접대하는 절차가 일일이 정해졌고, 불교의 선 정신과 불교의식을 다도의 정신세계와 의식에 응용해서 다도들 통해 정신 수양을 꾀하고자 했다. 즉, 다도를 통해서 선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선의 경지란 다도의 경지와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상이 싹텄다.
다도에 주목할만한 가장 큰 특징은 일본의 여러가지 문화가 복합적으로 결합한 형태를 띠고 있다는 것이다. 다실 밖에는 일본인의 우주관, 세계관을 엿 볼 수 있는 정원이 자리잡고 있으며, 다실은 그 자체로 일본 건축 양식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다도의 소박한 멋을 나타낸다. 다실 내부의 간결한 멋과 족자, 꽃꽂이 등의 장식은 그 자체로도 하나의 독립된 문화로 손색이 없는 것이며, 다도의 찻잔, 주전자 등의 공예품 역시 완성된 하나의 문화로서 존재하는 것이다. 게다가 다도를 주최하고 손님을 접대하는 주인의 발동작과 움직임 하나 하나가 일본 전통극 ‘노’의 그것과 같다고 하니 다도는 그야말로 일본을 대표하는 ‘문화의 결합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1)정원
일본인은 예부터 인간을 자연의 일부라 생각하고 자연과의 공존을 꾀하였는데, 자연을 또 다른 형태로 실생활 속에 옮겨와 감상한 것이 일본의 정원이다.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의 정원은 공통적으로 자연의 경관을 주로 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수목이나 석재 등의 정연한 배치에 의한 기하학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서양식 정원과 대조된다. 그렇지만 자연의 경관미라 하더라도 일본의 정원은 한국과 달리 자연의 재료를 이용하여 자연의 산수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이들이 하나의 조화를 이룬 인공적 공간미를 일천년에 걸쳐 추구해 일본 특유의 정원문화를 이루었다. 집안에 자연 세계를 들여놓는 이러한 정원에는 일본인의 폐쇄성, 작위성, 축소지향성 등이 잘 드러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