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교수-학습방법 - 허전 고공가와 이원익 고공답주인가를 중심으로-

 1  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교수-학습방법 - 허전 고공가와 이원익 고공답주인가를 중심으로--1
 2  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교수-학습방법 - 허전 고공가와 이원익 고공답주인가를 중심으로--2
 3  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교수-학습방법 - 허전 고공가와 이원익 고공답주인가를 중심으로--3
 4  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교수-학습방법 - 허전 고공가와 이원익 고공답주인가를 중심으로--4
 5  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교수-학습방법 - 허전 고공가와 이원익 고공답주인가를 중심으로--5
 6  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교수-학습방법 - 허전 고공가와 이원익 고공답주인가를 중심으로--6
 7  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교수-학습방법 - 허전 고공가와 이원익 고공답주인가를 중심으로--7
 8  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교수-학습방법 - 허전 고공가와 이원익 고공답주인가를 중심으로--8
 9  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교수-학습방법 - 허전 고공가와 이원익 고공답주인가를 중심으로--9
 10  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교수-학습방법 - 허전 고공가와 이원익 고공답주인가를 중심으로--10
 11  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교수-학습방법 - 허전 고공가와 이원익 고공답주인가를 중심으로--11
 12  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교수-학습방법 - 허전 고공가와 이원익 고공답주인가를 중심으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교수-학습방법 - 허전 고공가와 이원익 고공답주인가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교수-학습방법
-허전 와
이원익 를 중심으로-
목차
1. 들어가며
2. 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와 교수-학습방법
2. 1. 와 의 개관
2. 2. 와 선정 이유
2. 3. Jigsaw 모형의 개념과 장단점
2. 4. Jigsaw Ⅳ 모형의 개념과 특징
2. 5. Jigsaw Ⅳ 모형에 적용한 와
2. 6. Jigsaw Ⅳ 모형에 적용한 와 지도안 예시
3. 나가며
1. 들어가며
낯선 고어(古語)와 한자, 문체 문제로 인해 학생들은 고전이라고 하면 어렵다고 생각하기 마련이다. 또 고전은 창작, 향유 시점이 현재와는 시간적으로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거리감이 많이 느껴지는 분야 중 하나이다. 특히 고전시가는 시가라는 장르적 특성답게 함축성이나 상징성, 추상적 비유 등을 지니고 있어 학생들에게 더 어렵게 느껴지는 장르이다. 그러니 학생 개개인이 교사들이 일방적으로 주는 지식을 이해하고 자기화하기는 힘들다. 그래서 고전시가를 협동학습의 일종인 Jigsaw Ⅳ 모형에 적용시켜 교수-학습하는 방법을 고안해보았다. 적용시킬 고전시가 장르로는 가사(歌辭) 가사는 시조와 함께 고려 후기에 생겨나 조선조 전 시대에 걸쳐 국문시가의 양대 산맥을 형성하였다. 가사의 개념은 정의하기가 쉽지 않지만 흔히 “가사는 4·4조의 율조가 중심을 이루며, 한 행이 4음보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같은 모양의 행을 반복하는 형태의 시가이다”라고 정의한다.
를 택하였고, 작품으로는 문답가 계열의 가사이자 조선 후기 가사인 허전 와 이원익 을 선정하였다. 많은 고전시가 장르들 중 가사를 택한 이유는 가사가 시조(時調)와 더불어 조선시대 국문시가의 중심을 이루는 중요 장르이기 때문이다. 또 많은 가사 작품들 중 와 를 택한 이유는 본론에서 더 자세히 밝히겠지만 간략하게 학생들이 흥미를 느낄만한 문답가 계열의 가사라는 점, 두 작품의 주제가 확연히 다르다는 점, 적절한 교사의 지도가 더해진다면 작품 전체에 퍼져있는 비유를 통한 표현방식이 학생들에게는 그 의미를 찾게 하는 재미를 준다는 점이 매력적으로 다가왔으며 학생들이 힘들어하는 비유가 작품 전체에 퍼져있기에 학생들이 협동해야하는 Jigsaw 모형을 활용하기에 좋은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와 를 Jigsaw Ⅳ 모형에 적용시키기에 앞서 와 를 개관하고, 왜 이 작품들을 선정했는지를 작품이 지니는 가치로 알아보겠다. 또 Jigsaw Ⅳ 모형이 속해있는 큰 틀에서의 Jigsaw 모형의 개념과 장 · 단점, Jigsaw Ⅳ 모형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Jigsaw Ⅳ 모형에 적용한 와 를 살펴보겠다.
2. Jigsaw Ⅳ 모형을 활용한 가사 와 교수-학습방법
2. 1. 와 의 개관
는 조선 순조 때 필사된 것으로 보이는 가사로 『잡가(雜歌)』라는 노래책에 실려 있는데 총 52구 110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작품은 임진왜란 직후에 선조가 지은 것으로 널리 알려져 왔으나 이수광의 『지봉유설(芝峰類說)』에 의하면 실제의 작자는 허전(許)이라고 한다. 는 집안의 농사일을 국사(國事)에 비유하여 정사에 힘쓰지 않고 사리사욕만을 추구하는 조정 관리들을 집안의 게으르고 어리석은 머슴에 빗대어 통렬히 비판한 교훈적인 작품이다. 작자는 고공(雇工), 즉 머슴을 내세워 당시 국록을 먹는 신하들의 부패상을 비유적으로 고발함으로써 이를 개선하려는 충정을 펴고자 하였다. 작품에 나타나는 비유를 살펴보면, ‘처음의 한 어버이’는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李成桂)를 비유한 것이고, ‘여드레갈이’는 조선의 팔도를, ‘고공’은 조정의 신하들을, ‘화강도’는 임진왜란 때 쳐들어 온 왜적을, ‘여름짓기’ 곧 ‘농사’는 국사를 ‘밥사발’은 나라에서 주는 녹봉을 각각 비유한 것이다.
에 화답한 가사로 조선 순조 때의 명신이던 이원익(李元翼)이 지은 가 있다. 는 라고도 하는데, 이 작품 역시 『잡가(雜歌)』라는 노래책에 수록되어 전한다. , , 등과 함께 문답가 계열의 가사에 해당된다. 에 화답하는 노래답게 비유적 표현방법을 주로 썼으며, 제재와 주제, 문체와 기교 등에서도 상응하는 수법을 택한다. 내용은 한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를 전민을 거느린 주인과 머슴의 관계에 비유하여 주인이 일방적으로 머슴들에게 열심히 일하라고 채근만 하지 말고 머슴들이 스스로 일을 잘 할 수 있게 대접도 잘 해주어야 한다는 국왕에 대한 풍간(諷諫)으로 되어 있다.
2. 2. 와 선정 이유
와 는 위에서도 밝혔지만 문답가 계열의 가사이다. 문답가 계열의 가사라 하여 작품을 통해 묻고 답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작품은 표현방법은 비슷하나 다른 작자가 썼기 때문에 추구하고 있는 가치는 ‘머슴(신하들)이 일을 잘 해야 농사(나라살림)이 잘 된다’와 ‘머슴(신하들)의 말을 잘 들어야 농사(나라살림)이 잘 된다’는 식으로 서로 똑같은 물음에 다른 답을 내고 있다. 두 작자가 쓴 두 작품이 같은 상황을 두고 다른 해결책을 내 놓고 있기에 학생들에게 당시 세태를 바라보는 서로 다른 관점을 알려줄 수 있을 것 같아 이 작품들을 선정하게 되었다.
와 속에는 이 작품이 창작된 당시의 상황이 잘 녹아있다는 점이 뚜렷해 작품을 더욱 매력 있게 한다. 와 의 장르인 가사는 시조와 함께 조선시대의 대표적 시가 장르로서 당대의 생활사나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 조선 후기 가사 임진왜란(1592~1598)을 기점으로 전기 가사와 후기 가사로 나눈다. 는 임진왜란 이후에 창작된 후기 가사이다. 후기 가사의 주제는 현실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내용이 다수인데, 그 이유는 임진왜란 직후의 사회상과 지배층에 대한 불만에서 찾아진다.
에 해당되는 에도 작품이 창작된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 잘 표현되어 있는데, 임진왜란 이후의 어수선한 상황을 묘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높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