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정세태를 보여준 소설 몽당치마

 1  인정세태를 보여준 소설 몽당치마-1
 2  인정세태를 보여준 소설 몽당치마-2
 3  인정세태를 보여준 소설 몽당치마-3
 4  인정세태를 보여준 소설 몽당치마-4
 5  인정세태를 보여준 소설 몽당치마-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정세태를 보여준 소설 몽당치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wrap container section_cen section_cen_fix content cont_flex_area previewContent readFrame 인정세태를 보여준 소설 "몽당치마"
1 서론
2 본론
1)“동불사댁”의 형상을 통해 본 정신적 미
2)소설이 가지는 의의
3)작품의 구조적 특징
3 결론
1 서론
"몽당치마"는 중국 연변 조선족 작가 림원춘 선생님이 자신의 어머님의 이야기를 담은 단편소설이다. 이 소설은 1983년 발표되자 중국단편소설우수문학상, 중국소수민족문학상, 길림성소수민족문학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1985년부터는 중국고등학교교재에 이용되었으며 중국 연변사범학교교재에도 이용되었다.
이 소설에는 정치적풍운을 헤가르는 거대한 사건이나 인심을 격동시키는 장면 또는 곡절적인 전개도 없이 일상적이고 평범한 생활장면들이 묘사되여있다. 즉 아들딸들의 잔치나 로인의 회갑잔치 그리고 명절쇠임 등 우리 민족의 생활에서 흔히 있게 되는 세태적이고 일상적인 생활을 묘사하고있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자질구레한 세태적생활의 기록에서 지나친것이 아니고 친척간의 오고가는 정이나 민족생활의 기본특징을 형상화하면서 세태적인 인정세계의 밑바닥에 흐르고있는 사회적미덕을 발굴하여 내고있는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우리 시대의 인간들에게서 형성되고있는 아름다운 인간관계의 토대로 되고있다. 소설이 가지는 사상미학적의의는 우선 여기에서 뚜렷이 보여지고있다.
우리 민족은 재래로 친척래왕을 중히 여기며 그것을 자랑으로 삼고있다. 명절이나 희사가 있을 때면 친척들은 서로 찾아다니면서 생활의 기쁨을 나눈다. 그러나 이 전통적인 민족풍속생활 모두가 자기 뜻대로만 진행되는것은 아니다. 거기에서 복잡다단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면서 각종 희비극을 낳고있다. 왜냐 하면 가정 또는 가문은 사회의 한 구성부분으로서 거기에 사회생활의 본질적측면이 반영되여있는바 사회인간들의 사상도덕수양의 여하가 친척들사이의 인간관계에 반영되여있기때문이다. 하여 화목한 가문이 있는가 하면 화목하지 못한 가문도 있고 도덕적인 인간관계가 있는가 하면 비도덕적인 인간관계도 있으며 아름다운 생활이 있는가 하면 비극적인 생활도 있다. 한마디로 말해서 사회적인간들의 부동한 도덕규준이 가문의 인간관계를 결정하는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가문의 생활은 사회생활의 축도라고도 할수 있다. 단편소설 《몽당치마》는 바로 한 가문의 이와 같은 생활을 반영하고 있다.
2 본론
1)“동불사댁”의 형상을 통해 본 정신적 미
동불사댁은 홀몸으로 네식솔을 거느리고있다나니 생활난에 허덕이게 되였고 따라서 친척들의 희사같은 때에 아무런 부조도 하지 못한다. 이로 하여 일부 친척들에게서 멸시를 받는다. 하지만 그에게는 선량하고 순박한 인정미와 근로한 두손이 있다. 친척들의 희사가 있을 때면 입보다 손발을 먼저 놀리는 그는 언제나 일손을 도와 한몫 막아나선다. 하여 친척들은 일손이 딸릴 때면 그를 생각한다. 그러나 《먹어라 써라》하는 때마다 자리를 피하는바 부조를 하지 못하는것을 가슴아파한다. 그리고 친척들이 주는 옷견지나 돈을 받고선 《이렇게 신세만 져서…》하며 눈물을 흘린다. 따라서 생활이 펴이여간 시기에도 그의 인간적인 아름다운 마음은 변함없는바 지난 시기의 자기처럼 생활난에 허덕이는 《나》를 동정하고 진심으로 도와나선다. 동불사댁은 가면이나 겉치례와도 인연이 없는바 솔직하고 진실하며 사리가 밝다. 따라서 생활의 세파를 겪어온 그는 일부 친척들의 돈을 첫자리에 놓고 표리부동하게 행동하는 행위에 대해서 통책한다. 그러나 가문에서 《녀호걸》 《집안의 자랑》으로 불리우는 조양천댁은 인간적 량심이란 꼬물만치도 없는 이기주의적인 인간이다. 그는 언제나 자기를 앞세우고 자기를 높이기 위해 애쓰면서 질투, 시기, 가면으로 특징지어진다. 따라서 돈 있고 지위가 있는 친척들에게는 아첨하고 빈궁한 친척은 기시한다. 작가는 이와 같이 엄연하게 구별되는 두 인물의 성격을 대조시키면서 아름답고 고상한 정신적미덕을 추구하고있는바 동불사댁의 순박하고 선량하며 아름다운 인정성, 고상한 도덕적정조를 두드러지게 발굴하여 보다 돋보이게 하였다. 실로 동불사댁은 가문의 진정한 녀호걸이며 자랑찬 맏동서이다.
동불사댁의 성격적특징은 《나》와의 대조를 통하여 더욱 풍부하고 심각하게 부각되였다. 이 두 인물은 다같이 비극적인 운명의 시련을 경과하였으며 순박하고 성실하며 근로한 공통성을 갖고있다. 그러나 그들은 또 정신적미덕의 높낮음의 차이를 보여주고있다. 《나》는 성격상에서 내재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반면에 동불사댁은 개방성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생활의 시련속에서 《나》는 나약하고 비감적이지만 동불사댁은 강의하고 침착하며 생활적경험이 풍부하다. 하여 동불사댁은 《나》의 생활의 인도자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