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동규론 - 황동규의 문학적 배경 & 시론

 1  황동규론 - 황동규의 문학적 배경 & 시론-1
 2  황동규론 - 황동규의 문학적 배경 & 시론-2
 3  황동규론 - 황동규의 문학적 배경 & 시론-3
 4  황동규론 - 황동규의 문학적 배경 & 시론-4
 5  황동규론 - 황동규의 문학적 배경 & 시론-5
 6  황동규론 - 황동규의 문학적 배경 & 시론-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황동규론 - 황동규의 문학적 배경 & 시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황동규론
Ⅰ. 황동규의 문학적 배경
1. 생애
황동규는 세련된 감수성과 지성을 바탕으로 한 견고한 서정의 세계를 노래해 문학엘리트와 대중 모두에게 사랑받는 시인이다.
그는 1938년 평안남도 숙천(肅川)에서 소설가 황순원(黃順元)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1946년 가족과 함께 월남해 서울에서 성장했다. 황동규가 시에 접근하기 시작한 것은 중학교 시절 서정주가 펴낸 『작고시인전』을 읽고 그 가운데 특히 윤동주와 김소월의 시에 빠지면서부터이다. 그가 처음으로 외부에 글을 발표했던 것은 고등학교 1학년(1953) 때 『학원』지의 산문 부분에 입선했을 때이다. 이후 그는 『좁은 문』, 도스트예프스키의 소설, 보들레르 랭보 릴케 등의 시, 그리고 『두시언해』와 같은 책들을 읽으면서 문학적 교양을 쌓았다. 그를 사로잡았던 것은 영미시가 아니라, 프랑스 시였다. 그러나 황동규가 스스로 자신과 가장 가까운 시인으로 생각한 것은 예이츠인데 이는 예이츠가 ‘삶과 시를 일치시키려고 애쓴 시인’이기 때문이었다.
그는 1957년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에서 영어영문학 학사 및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1958년 서정주(徐廷柱)에 의해 시 가 『현대문학』에 추천되어 시인으로 등단한다. 그 후 많은 작품 활동과 함께 1966∼1967년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학한 후 1968년부터 서울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강의하였다. 이때 마종기, 김영태와 3명의 공동시집 『평균율 1』을 출간하고 현대문학상을 수상했다. 1970∼1971년에는 미국 아이오와대학교 연구원으로 수학했으며, 1987∼1988년 미국 뉴욕대학교 객원교수로 활동했다. 2002년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교수 등을 거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Ⅱ. 황동규의 시론
1. 한(恨)의 극복 : 여행모티브 황동규 『겨울노래』, 지식산업사 : “여행은 일종의 가출이다. 일단 자기가 잘 알고 있는 세계를 떠난다는 의미에 있어서 그렇고, 새로운 세계와 자진해서 부딪치려는 자세에 있어서도 그렇다. (중략) 그것이 여의치 않을 때 정신적으로나마 가출을 해야 하는 것이다. 좋은 시, 좋은 소설들이 왕복표를 우리에게 준다. 거듭거듭 집에 남아 있기만 한다면 우리는 가축이 될 뿐이다.”
황동규는 한의 바탕이 되는 것은 인내이며 그 기저에서 여성주의와 감상을 만나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한은 『춘향전』뿐만 아니라 김소월이나 한용운의 시에서도 동일하게 발견되는 것으로 그 극복이야 말로 문학의 당면과제라고 여겼다. 이러한 한의 극복을 위해 그의 시가 도입하고 있는 것은 ‘여행모티브’이다. 힘겨운 삶의 여정을 독특한 감수성으로 형상화하고 그 힘겨움을 정직하게 보여줌으로써 내면의 갈등을 극복한 개인의 변모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2. 낯설게 하기의 지향 : 극서정시
황동규는 ‘삶의 낯설게 하기’를 지향했다. 이는 그의 시에 상징과 알레고리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알레고리와 상징의 결합은 황동규에게 있어 초월적인 것과 일상적인 삶의 합일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알레고리와 상징을 통해 황동규의 시는 애매성 가지게 되어, 해석의 난해성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같은 맥락의 창작의 방법으로 서정시의 양식에 극적 구조를 도입한 ‘극서정시’를 보여주게 된다. 극서정시 극서정시가 일반적인 서정시의 양식에서 벗어났다는 소리는 아니다. 단지 서정시와는 다른 표현 양식으로서 삶의 체험을 극화하기 위한 극의 구조적 장치를 지닌 시 형식으로써 도입된 것이다.
란 극이 들어 있는 서정시로, 시가 죽지 않고 살아나는 방법이다. 반전이나 깨달음, 거듭나기 등 시안에서 무슨 일인가 일어나는지를 표현하는 것으로 시에서 드라마와 같은 인간의 변화, 그것이 정신의 것이든, 행동을 위한 것이든, 의식의 것이든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