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고려가요 가시리

 1  인문어학 고려가요 가시리-1
 2  인문어학 고려가요 가시리-2
 3  인문어학 고려가요 가시리-3
 4  인문어학 고려가요 가시리-4
 5  인문어학 고려가요 가시리-5
 6  인문어학 고려가요 가시리-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고려가요 가시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목차
1.서론
2.본론
2-1. 고려가요
2-2. 가시리
2-3. 가시리와 대중가요
2-4. 가시리와 나
2-5. 다시 써 본 가시리
3.결론
1. 서론
나의 서사에 가장 영향을 준 작품은 무엇이 있을까, 고민하다가 학창시절 배운 작품들 중 가장 마음 깊이 와 닿았던 작품을 떠올렸습니다. 친구들과 교과서 내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작품을 골라보자 했을 때 택했었던 작품. 처음 읽어보고는 바로 마음을 빼앗겼던 작품. 그 작품은 바로 작자 미상의 고려가요인 ‘가시리’였습니다.
너무도 사랑하는 임을 떠나보내야 하면서도 차마 임께서 나를 밉게 보실까 저어하여 붙잡지도 못하고 그저 보내오며 돌아오시기만을 기대하는 그 모습이 참으로 안타깝고도 가련하고 사랑스러운 연심으로 느껴졌기에, 이 노래를 지은 이는 어떤 이일까 상상하기도 하며 친구들과 노래의 아름다움을 논하며 즐거워하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그렇기에 이 레포트에서는 고려가요 ‘가시리’에 대하여 다루어보기로 하겠습니다.
2.본론
2-1 고려가요
고려가요(高麗歌謠)는 주로 민중 사이에 널리 전해진 속요(俗謠)를 뜻하는데 넓게는 고려시가(高麗詩歌) 모두를 포함하며 ‘고려가사(高麗歌詞)’ ‘고려가요’, 줄여서 ‘여요(麗謠)’, 또는 ‘고려장가(高麗長歌)’라는 이름으로도 통합니다. 그러나 좁은 뜻으로는 고려시대의 문학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던 한문학은 경기체가(景幾體歌) 또는 별곡체(別曲體)라 일컫는데, 이와 같은 귀족문학에 반대되는 평민문학의 경우를 흔히 속요라 합니다.
이러한 속요는 평민들 사이에서 대대로 구전되어 내려오다가 우리글이 만들어진 조선시대, 성종 때나 되어서야 궁중악곡으로 채택되면서 문자로 기록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속요는 평민문학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데, 우선 그 작자를 알 수 없다는 점, 평민들의 소박하고 진솔한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 체념적이면서도 해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 구전되어 오면서 노래가 변모되면서 원가의 모습을 찾기 어렵다는 점, 전통적인 율격에 가깝지만 시조와 같은 엄격한 율조상의 제약을 받지 않고 비교적 자유롭게 불리어졌다는 점 등이 그렇습니다. 그러나 가장 큰 특징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행과 행 사이에 삽입되어있는 후렴구입니다. 이러한 후렴구들의 의미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흥을 돋우기 위한 역할을 하는 여흥구이며, 그 당시 연주되었던 악기들의 구음소리일 것이라는 주장이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2-2 가시리
는 작자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가요로, 이명으로 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가시리는 에는 가사 전문이, 에는 귀호곡이란 명칭으로 1장에 대한 가사와 악보가 실려 있습니다. 또한 이형상(李衡祥)의 에 ‘嘉時理(가시리)’라는 제목으로 가사가 실려 있기도 합니다.
가시리의 가사 전문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