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

 1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1
 2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2
 3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3
 4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4
 5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5
 6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6
 7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7
 8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8
 9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9
 10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10
 11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11
 12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12
 13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13
 14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14
 15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15
 16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16
 17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17
 18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18
 19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19
 20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주5일제와 한국교회의 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A. 연구의 동기 와 문제 제기

Ⅱ. 본론
A. 주5일 근무제의 성경적 고찰
1. 노동에 대한 성경적 고찰
B. 성서에서의 안식일 개념
1. 어원적 고찰
2. 성경적 기원
a. 구약에서의 안식일
b. 신약에서의 안식일
1) 예수전후 시대 유대인들의 안식일
2)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안식일
3) 메시아직의 선포
4) 하나님 나라의 긴급성 선포
c. 안식일의 의미
1) 하나님의 천지창조를 기억하고 묵상하는 안식일
2) 구속의 기념으로서의 안식일
3.안식일의 의미
C. 성서에서의 주일개념
1. 어원적 고찰
2. 구약적 기원
3. 신약적 기원

Ⅲ. 주5일 근무제의 논쟁 배경
A. 주5일제 근무제의 사회적 배경
1. 주5일 근무제의 사회적 의미
a.산업형태에 대한 영향
b. 사회문화에 대한 영향
2. 사회적 반응
a. 불교계의 반응
b. 카톨릭의 반응
B. 선진국의 주5일 근무제의 실태
1. 주5일 근무제가 미국교회에 미친 영향
2. 주5일 근무제가 유럽교회에 미친 영향
C. 주5일 근무제가 교회에 미칠 영향
1. 교회로부터 이탈현상
2. 여가 중심적인 삶과 향락적 문화의 양상
3. 삶의 세속화의 가속
4. 교회의 긴장상황

Ⅳ. 주5일 근무제와 교회
A. 주5일 근무제를 준비하는 교회
1. 쉼과 자연이 있는 교회
2. 가정사역 중심으로 하는 교회
3. 예배의 파워와 영성훈련으로 하는 교회
4. 수양관 중심으로 하는 교회
5. 사회 선교적으로 하는 교회

Ⅴ. 주5일 근무제와 교회의 방향성
A. 기독교적 의미의 안식일과 주일에 대한 확고한 개념정립
B. 교회성도들의 안식을 위한 프로그램
C. 말씀과 삶의 일치를 위한 영적 각성의 프로그램
D. 교회와 가정의 신앙적 연계성을 위한 프로그램
E. 교회와 사회의 변화를 위한 프로그램
F. 기독교 문화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G. 목회자와 신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H.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과 사역
I. 친척과 지역사회와의 관계회복에 대한 교육
J. 농촌교회와 연계와 자연친화적 프로그램
K. 토요일은 성도들의 신앙을 실천하는 기회로 활용.
L. 교회성도들의 자기발전을 위한 기회를 제공
M. 청소년들의 공동체적 신앙생활을 위한 교육

Ⅴ.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A. 연구의 동기 와 문제 제기

주5일 근무제는 한국의 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 중에서 시급하게 방향정립이 요구되는 과제이다. 2002년 5월 은행권을 중심한 금융노사가 주5일 근무제를 7월부터 시행할 것을 결정한 후에 정부와 재계 그리고 노동계를 중심으로 주5일 근무제에 대한 첨예한 입장들이 대치 혹은 조정되어지면서, 이제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입법화를 추진하고 있다. 아직은 노사정위원회에서의 3자간의 절충과 결론이 필요로 하지만 한국사회에서의 주5일 근무제의 전면적인 시행은 이해당사자들 뿐만 아니라 모든 한국인들에게 당연시 되어지고 있다. 문제는 7일 가운데 하루를 더 쉬는 것으로 여긴다면 간단하지만, 사회에서 현재 시행하고 있는 기존의 휴일과 휴가 제도를 유지한 채 주5일 근무제가 시행 된다면, 한국은 연간 휴가일 수가 153-163일에 이르게 된다. 이는 일본 129-139일, 영국 132-137일, 독일 140일, 미국 142일, 프랑스 145일을 훨씬 초과하는 ‘노는 것에서는 천국’이 바로 한국이 된다는 결론이다. 김영복, “여가문화와 신앙생활”, 『신학사상』118집 (서울:한국신학연구소, 2002 가을),p. 39.

주5일 근무제와 관련하여 떠오르는 이슈는 바로 여가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구체적인 활용 그리고 건강한 여가프로그램의 진행일 것이다. 목표를 향하여 좌우를 살피지 않고 맹목적으로 성공을 일궈낸 ‘일하는 나라’에서 이제는 삶의 질이 강조되는 ‘쉼의 나라’로의 변화는 한국인들의 의식의 전면적인 변화와 적응을 요구하고 있다. 과연 한국인들은, 특히 경제인구의 중추에 있는 30, 40 그리고 50대의 사람들은 늘어나는 공휴일에 여가문화를 만끽할만한 능력이 있는 가?는 심각하게 문제시된다. 이들은 한국에서의 삶이 과다한 노동과 이에 따른 육체적 피로 증후군에 걸려 살아 왔기 때문에, 여가와 쉼에 대하여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여가문화는 더욱 세속화의 길에 빠져들 수 있다.
한국의 교회는 이 땅에서 큰 역사를 이루어 왔다. 한국의 사회가 변화, 발전 그리고 성장하여 왔듯이 한국의 교회도 한국의 경제성장 보다도 더 빠른 성장을 이루어 온 것처럼 여겨진다. 성장에 따른 필연적인 어두운 면이 한국교회에도 존재하고 있다. 한국사회의 퇴폐, 향락 그리고 사치의 현상이 바로 ‘타락한 인간’들의 본성에 의한, 즉 인간 문명의 지향점인 세속화인 것은 당연시 여겨진다.
참고문헌
Calvin, J. 『기독교 강요』. 양낙홍 역.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88.
Marshall, paul. Thine is The Kindom. 한화룡 역. 『기독교 세계관과 정치』. 서울: IVP, 1997.
Paul, K. Jewett. 옥한음 역. 『주일의 참뜻: 성서적 신학적 역사적 고찰』. 서울: 개혁주의 신행협회, 1975.
Victor, M. Solomon. 김명자 역. 『유대인의 생활방식』.서울: 종로서적, 1980.
“통계청 사회 조사지표”
『동아일보』, 2001년 9월.
『디지털 법보』, 2001년 12월 26일자 637호 21일.
『현겨레 신문』, 2003년 10월 10일.
고영민. 『구약성서 히브리어 사전』. 서울: 기독교신문사, 1982
고용수, “21세기를 향한 교육과정 개선방향 -장로회신학대학원 신학교육을 중심으로-”, 『교회와 신학』28호(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6), 313-355.; 전국신학대학협의회 편, 한국신학과 신학교육(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94).
고용수. “교육목회를 위한 교육구조” 『교육목회』16, (1989): 9.
권용근. “쉼을 위한 교회의 가르침.” 『교육목회』255, (2000): 7-8
김동기, “종교정황에 따른 신앙심과 스트레스 상황의 신앙적 대처에 대한 연구: 기독교와 카톨릭의 비교”, 『인문과학논집』2집 (1996, 용인:강남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김명용. 『열린신학 바른 교회론』. 서울: 장로회 신학대학교 출판부, 1997.
김상구.『일상생활과 축제로서의 예배』. 서울: 이레서원, 2002.
김상수. “주5일 근무제와 교회성장 방안.”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숭실대 기독교학 대학원, 2004.
김상훈. “교회관의 갱신은 가능합니다.” 『목회와 신학』 4 (2004): 119.
김세윤. “참 안식, 그것은 예수님이 가져오신다.” 『